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산업혁명과 융합

산업혁명과 융합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병욱, 李丙旭, 1949-
서명 / 저자사항
산업혁명과 융합 / 이병욱 지음
발행사항
파주 :   21세기사,   2022  
형태사항
354 . : 천연색삽화 ; 25 cm
ISBN
9791168330085
서지주기
참고문헌(p. 337-339)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5150
005 20230508142423
007 ta
008 220118s2022 ggka b 001c kor
020 ▼a 9791168330085 ▼g 9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3.483 ▼2 23
085 ▼a 303.483 ▼2 DDCK
090 ▼a 303.483 ▼b 2022
100 1 ▼a 이병욱, ▼g 李丙旭, ▼d 1949- ▼0 AUTH(211009)150863
245 1 0 ▼a 산업혁명과 융합 / ▼d 이병욱 지음
260 ▼a 파주 : ▼b 21세기사, ▼c 2022
300 ▼a 354 . : ▼b 천연색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37-339)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3 2022 등록번호 1118572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3 2022 등록번호 511057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3 2022 등록번호 1513627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3 2022 등록번호 1118572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3 2022 등록번호 511057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3 2022 등록번호 1513627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산업혁명을 한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산업을 혁신하여 발전시키는 것으로 산업혁명의 핵심은 융합에 있다. 산업사회는 생물처럼 조금씩 변화하면서 진화의 법칙을 따라 계속 진화한다. 산업화가 진전될수록 산업혁명과 융합에 대한 이해가더욱 필요하며, 산업혁명을 성공하려면 융합부터 성공을 하여야 한다.

산업혁명에 성공하면 선진국이 되고 못하면 후진국이 된다. 산업혁명을 한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산업을 혁신하여 발전시키는 것으로 산업혁명의 핵심은 융합에 있다. 산업사회는 생물처럼 조금씩 변화하면서 진화의 법칙을 따라 계속 진화한다. 산업화가 진전될수록 산업혁명과 융합에 대한 이해가더욱 필요하며, 산업혁명을 성공하려면 융합부터 성공을 하여야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병욱(지은이)

·연세대학교 공학사 ·Georoge Washington University 전산학 석사 ·중앙대학교 전산학 박사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명예교수 ·한국인터넷정보학회 명예고문 ·T&S 드론연구소 대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CHAPTER 1 개요
1.1 산업혁명
1.2 융합
1.2.1 융합의 기원
1.2.2 융합의 조건
1.2.3 융합의 미래
1.2.4 거북선 이야기
1.3 인지과학
1.3.1 인지과학의 구성
1.3.2 메타인지(metacognition)

CHAPTER 2 산업혁명과 문명
2.1 문명의 발전
2.1.1 기술과 문명
2.1.2 문명의 융합
2.2 문명의 교류
2.2.1 전쟁과 문명의 교류
2.3 산업혁명의 미래
2.3.1 산업혁명의 미래

CHAPTER 3 융합과 산업혁명
3.1 융합 환경
3.1.1 융합 기반 환경
3.1.2 융합 관련 학문
3.2 디지털 융합
3.2.1 왜 디지털인가?
3.2.2 디지털 융합 사례
3.3 산업혁명과 융합
3.3.1 융합의 조건

CHAPTER 4 4차 산업혁명
4.1 드론
4.1.1 드론의 원리와 역할
4.1.2 드론의 미래
4.2 메타버스
4.2.1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4.2.2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4.2.3 증강가상/혼합현실/확장현실
4.3 암호화폐
4.3.1 디지털 화폐
4.3.2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4.4 호모커넥투스
4.4.1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4.4.2 클라우드
4.4.3 구독 경제
4.4.4 공유 경제와 융합
4.4.5 전술 통합 시스템
4.5 3D 프린터
4.5.1 3차원 모델링
4.5.2 3차원 인쇄
4.5.3 마감처리
4.6 반도체
4.7 딥러닝
4.7.1 심층 신경망과 기계학습
4.7.2 딥러닝과 융합
4.8 사물인터넷
4.8.1 사물인터넷 정의
4.8.2 사물인터넷 융합
4.8.3 사물인터넷의 미래

CHAPTER 5 산업혁명과 기계
5.1 일하는 기계
5.1.1 노동하는 기계
5.1.2 기억하는 기계
5.2 생각하는 기계: 튜링 기계
5.2.1 자동기계 이론
5.2.2 튜링기계
5.3 자기증식 기계
5.3.1 호드 립슨의 자기증식 기계
5.3.2 생물의 번식과 DNA
5.3.3 폰 노이만의 자기증식 기계
5.4 알고리즘
5.4.1 유클리드 알고리즘
5.4.2 알고리즘과 기계의 미래

CHAPTER 6 진화론과 융합
6.1 진화론
6.1.1 생명의 나무
6.1.2 진화론의 원리
6.1.3 진화의 실례
6.1.4 진화론의 영향
6.2 진화심리학
6.2.1 진화심리학의 출현
6.2.2 진화심리학의 문제 해결
6.2.3 비만의 대책은 무엇인가?
6.2.4 자연선택 축소안
6.2.5 자연선택 강화안
6.3 뉴로 마케팅
6.3.1 진화심리학과 마케팅
6.3.2 뉴로 마케팅의 실례

CHAPTER 7 인지과학과 융합
7.1 신경과학
7.1.1 신경계의 발달
7.1.2 신경계 구조와 기능
7.1.3 두뇌
7.2 인공지능
7.2.1 인공지능의 기반 학문
7.3 철학
7.3.1 철학의 분야
7.3.2 인식론과 논리학
7.3.3 거짓말쟁이의 역설(liar paradox)
7.4 언어학
7.4.1 언어와 사고의 관계
7.4.2 변형생성문법과 보편문법
7.5 심리학
7.5.1 심리학의 발전
7.5.2 정보처리체계
7.6 인지과학과 융합
7.6.1 지식과 이성
7.6.2 이성과 비이성의 융합

CHAPTER 8 뇌과학과 융합
8.1 뇌의 정체성
8.1.1 지능과 뇌
8.1.2 뇌와 정체성
8.2 뇌의 발생
8.3 뇌의 구조와 기능
8.3.1 뇌의 구조
8.3.2 뇌의 기능
8.4 의식의 흐름
8.4.1 기억과 상기
8.4.2 의식의 흐름
8.5 의식 조절 물질
8.5.1 생각을 출현시킨 신경전달물질
8.5.2 생각을 바꿔주는 호르몬

CHAPTER 9 컴퓨터와 융합
9.1 소프트웨어
9.1.1 마음과 컴퓨터
9.1.2 의식
9.1.3 의식과 소프트웨어
9.1.4 두뇌와 소프트웨어
9.2 컴퓨터의 진화
9.2.1 개인용 컴퓨터의 진화
9.3 신경망 모델
9.3.1 신경망의 구조
9.4 컴퓨터의 철학적 이해
9.4.1 로고스 중심주의와 기호논리학
9.4.2 표상주의(presentationism)와 컴퓨터

CHAPTER 10 산업혁명과 예술
10.1 창의성
10.1.1 아름다움
10.1.2 창의성의 정의
10.1.3 창의성 계발
10.1.4 창의성 교육과 학습
10.1.5 창의성과 뇌과학
10.2 예술
10.2.1 복제 시대의 예술
10.2.2 소비 시대의 예술
10.3 지적재산권과 윤리
10.3.1 지적재산권
10.3.2 윤리
10.4 창의성과 융합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규연 (2023)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2023)
박보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