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5134 | |
005 | 20220120142338 | |
007 | ta | |
008 | 220118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2431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425 ▼2 23 |
085 | ▼a 616.891425 ▼2 DDCK | |
090 | ▼a 616.891425 ▼b 2014z5 ▼c 12 | |
100 | 1 | ▼a Mansell, Warren |
245 | 1 0 | ▼a 수준체계치료 / ▼d 워렌 맨셀, ▼e 티모시 A. 캐리, ▼e 사라 J. 타이 공저 ; ▼e 정지현 역 |
246 | 1 9 | ▼a A transdiagnostic approach to CBT using method of levels therapy : ▼b distinctive features |
246 | 3 9 | ▼a Transdiagnostic approach to CBT using method of levels therap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 |
300 | ▼a 230 p. ; ▼c 23 cm | |
490 | 1 0 | ▼a 인지행동치료 스펙트럼 시리즈 = ▼a Cognitive behavior therapies ; ▼v 12 |
500 | ▼a 부록: 더 읽을거리 | |
504 | ▼a 참고문헌(p. 219-22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ognitive therapy |
650 | 0 | ▼a Psychotherapy |
700 | 1 | ▼a Carey, Timothy A., ▼e 저 |
700 | 1 | ▼a Tai, Sara, ▼e 저 |
700 | 1 | ▼a 정지현, ▼d 1975-, ▼e 역 ▼0 AUTH(211009)63367 |
830 | 0 | ▼a 인지행동치료 스펙트럼 시리즈 ; ▼v 12 |
900 | 1 0 | ▼a 맨셀, 워렌, ▼e 저 |
900 | 1 0 | ▼a 캐리, 티모시 A., ▼e 저 |
900 | 1 0 | ▼a 타이, 사라 J., ▼e 저 |
900 | 1 0 | ▼a Jung, Ji-hyun,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425 2014z5 12 | Accession No. 1118571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발간사 역자 서문 서문 1부 - 이론 01 심리적 고통을 유지하는 사고방식과 행동은 범진단적이다 02 범진단적 과정들이 겹쳐져서 고통을 유지시키는 핵심 과정을 형성한다 03 통제의 현상: 지각, 비교 그리고 행동 04 행동의 통제가 아닌 지각의 통제 05 부정 피드백 고리 06 통제 상실의 근본 원인들 07 통제의 위계: 수준의 상승과 하강 08 갈등 09 재조직화: 비선형적 변화 과정 10 자각과 상상 11 임의 통제가 갈등으로 인한 고통을 유지시킨다 12 유연한 통제를 회복하는 데 주의를 돌리기: CBT, 효과적인 치료, 자연적 회복의 공통 요인 13 대인 간 통제 14 순환적 인과성과 모델 구축 15 모든 것이 지각이다 2부 - 실제 16 설정 조건: 내담자가 기꺼이 말하는 문제 17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내담자가 유연한 통제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자세 18 MOL의 첫 번째 목표: 현재 문제에 대해 질문하기 19 MOL의 두 번째 목표: 중단에 대해 질문하기 20 과거를 활용하기, 현재를 통제하기, 미래를 위해 살기 21 ‘풋사과’: 노출 없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22 첫 회기에 무엇을 말할 것인가 23 치료 회기 수와 빈도 24 증상보다는 고통에 초점 맞추기 25 결과 관찰하기 26 당신 자신의 실제를 평가하기 27 치료 관계: 자유로운 탐색 28 다른 치료와 치료 과정에 MOL을 포함시키기 29 현재 CBT에서 통제 이론을 활용하기 30 말하지 않고 하는 개입: 통제된 변인을 검증하기 부록 / 더 읽을거리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