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5001 | |
005 | 20220118152853 | |
007 | ta | |
008 | 220118s2021 ulka 000c kor | |
020 | ▼a 9791191040074 ▼g 94680 | |
020 | 1 | ▼a 978899244837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843949 | |
040 | ▼a 225006 ▼c 225006 ▼d 225006 ▼d 211009 | |
082 | 0 4 | ▼a 791.43 ▼2 23 |
085 | ▼a 791.43 ▼2 DDCK | |
090 | ▼a 791.43 ▼b 2019z1 ▼c 4 | |
100 | 1 | ▼a 현승훈, ▼d 1971- ▼0 AUTH(211009)4085 |
245 | 1 0 | ▼a 디지털 영상제작 이야기 : ▼b 촬영 편 / ▼d 현승훈 지음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아모르문디, ▼c 2021 | |
300 | ▼a 144 p. : ▼b 삽화 ; ▼c 21 cm | |
490 | 1 0 | ▼a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 = ▼a Amormundi film books ; ▼v 4 |
830 | 0 | ▼a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 ; ▼v 4 |
830 | 0 | ▼a Amormundi film books ; ▼v 4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2019z1 4 | 등록번호 1118570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 4권. 아날로그 필름의 구조에서부터 디지털 카메라의 CCD까지 빛에 의해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창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제작의 원리를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넘나들며 알기 쉽게 풀어놓았다.
디지털 시스템의 최대 장점은 간단한 카메라 조작법만 배우면 누구나 쉽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접근이 용이하다고 해서 누구나 멋진 그림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창의적인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디지털 영상 제작의 기초인 아날로그 제작 원리도 알아야 한다. 이 책에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영상 제작의 기본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냄으로써 영화 제작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질 수 있게 하였다.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는
디지털 세대를 위한 새로운 영화학 시리즈입니다. 각 권마다 영화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이론적 담론들을 주제별로 나누어 담았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이론부터 최신의 논의까지, 다채로운 비평적 접근을 통해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습니다. 이미지 없이 혹은 한두 장의 스틸 사진으로 영화를 논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동영상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큰 주제에서 작은 주제로 심화되는 방향으로 구성하였으며, 한 권 한 권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연관을 갖도록 기획하였습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넘나드는 영상제작의 기초 강의
아날로그 필름의 구조에서부터 디지털 카메라의 CCD까지 빛에 의해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창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제작의 원리를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넘나들며 알기 쉽게 풀어놓았다.
디지털 시스템의 최대 장점은 간단한 카메라 조작법만 배우면 누구나 쉽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접근이 용이하다고 해서 누구나 멋진 그림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창의적인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디지털 영상 제작의 기초인 아날로그 제작 원리도 알아야 한다. 이 책에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영상 제작의 기본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냄으로써 영화 제작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질 수 있게 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현승훈(지은이)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대학원에서 디지털 영상제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석사를, 호주 시드니대학교에서 Film and Digital Image 전공으로 제작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영상예술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목원대학교 TV?영화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영화연구소 씨네포럼의 연구위원, 한국콘텐츠학회 학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 영상 편집 1, 2급』(공저)과 『디지털 넌리니어 영상편집의 이론과 기술』(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영화 예고편에 대한 관객인식유형의 Q방법론적 연구」, 「국내 3차원 입체영상산업의 구조와 문제점」, 「디지털 3차원입체 애니메이션의 촬영과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Ⅰ. 영화 필름의 기원과 이미지 생성원리 1. 필름(빛 그림틀)의 어원 2. 필름 위에 이미지가 그려지는 원리 3. 알기 쉬운 필름 현상 4. 필름의 은입자와 해상도 5. 영화필름의 종류 Ⅱ. 아날로그로 이해하는 디지털 1. 아날로그 vs 디지털 2. 디지털의 이진법체계 3. 픽셀과 비트맵 이미지 4. 압축이란 무엇인가? 5. 무압축, 비손실 압축 그리고 손실 압축 6. 인코딩과 비트레이트 7. 코덱과 컨테이너에 대해서 Ⅲ. 필름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영화촬영 원리 1. 가현운동과 간헐운동 2. 셔터와 조리개 3. 렌즈의 종류 4. 피사계 심도 5. 필름 노출 6. 색온도와 화이트밸런스 7. 디지털 필름, CCD와 CMOS에 대해서 8. 풀프레임과 크롭 이미지 센서의 차이 Ⅳ. 영화제작의 비교: 아날로그 vs 디지털 1. 필름시대의 영화제작 과정 2. 상업영화가 디지털이어야만 하는 이유 3. 대세는 디지털 시네마? 4. 그래도 필름은 필름이다 5. 디지털로 그린 또 다른 세계,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술 나오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