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795 | |
005 | 20220114150658 | |
007 | ta | |
008 | 220113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59968367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6013879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808.5071 ▼2 23 |
085 | ▼a 808.5071 ▼2 DDCK | |
090 | ▼a 808.5071 ▼b 2021 | |
100 | 1 | ▼a 서종훈, ▼d 1973- ▼0 AUTH(211009)24176 |
245 | 1 0 | ▼a 화법교육론 = ▼x Speech education theory / ▼d 서종훈 지음 |
260 |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21 | |
300 | ▼a 560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541-557)과 색인수록 | |
536 | ▼a 본 저서는 2021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g (202110093)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5071 2021 | 등록번호 1118568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5071 2021 | 등록번호 1118583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교육 현장의 말하기와 듣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의 전반적인 문제를 다룬 현장조사 연구 결과물이다. 각 담화의 개념과 위상의 문제에서부터 말하기 평가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부면을 다루었다. 특히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담화의 개념이나 위상, 그리고 말하기 평가의 익숙한 논의에서부터 유창성이나 즉흥성, 주제 전개와 같은 비교적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다.
담화 개념에서부터 평가까지 교육의 실제성을 기반으로
화법교육 전반의 문제 다뤄
이 책은 국어교육 현장의 말하기와 듣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의 전반적인 문제를 다룬 현장조사 연구 결과물이다. 각 담화의 개념과 위상의 문제에서부터 말하기 평가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부면을 다루었다. 특히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담화의 개념이나 위상, 그리고 말하기 평가의 익숙한 논의에서부터 유창성이나 즉흥성, 주제 전개와 같은 비교적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다.
담화의 ‘개념과 위상’에서는 그간 교육 현장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혼잣말을 본격적인 담화로 다루었다. 아울러 실존과 의미의 두 차원에서 대화, 웅변과의 관계 측면에서 연설, 언어자각 측면에서의 협상 담화가 논의되었다.
‘유창성’과 ‘즉흥성’은 비교적 국어교육 현장에서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속성들이다. ‘유창성’은 말하기 수월성 추구와 관련되고, ‘즉흥성’은 말하기 맥락이나 말하기 교육의 실제성(authenticity)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다양한 담화와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그 밖에 이 책에서는 준언어적 표현으로서 말하기와 듣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쉼(pause)’, 말하기의 주제 전개와 관련된 발화 요소와 의미 구조, 그리고 말하기 평가와 관련된 문제가 일부 담화를 중심으로 다루어졌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개념과 위상 제1장 혼잣말 제2장 대화 제3장 연설 제4장 협상 제2부 유창성 제5장 대화의 비유창성 제6장 발표의 유창성 수준 제7장 수업 시연의 유창성 제3부 즉흥성 제8장 즉흥적 말하기란 무엇인가? 제9장 즉흥적 말하기의 의미 구조 제10장 즉흥적 말하기와 준비된 말하기 제4부 준언어적 표현 제11장 ‘쉼(pause)’의 유형과 인식 제12장 ‘쉼’의 발생과 속성 제5부 주제 전개 제13장 주제 전개와 발화 요소 제14장 주제 전개의 미시와 거시구조 제6부 평가 제15장 발표에 대한 수행평가 사례 제16장 대화의 평가 가능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