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792 | |
005 | 20220114144534 | |
007 | ta | |
008 | 220113s2021 ggkaf b 001c kor | |
020 | ▼a 9788955017779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011956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656 ▼2 23 |
085 | ▼a 616.891656 ▼2 DDCK | |
090 | ▼a 616.891656 ▼b 2021z7 | |
245 | 0 0 | ▼a 미술치료의 윤리적 딜레마 : ▼b 20개국 50인의 임상가 이야기 / ▼d 오드리 디 마리아 편집 ; ▼e 박소정 [외]역 |
246 | 1 9 | ▼a Exploring ethical dilemmas in art therapy : ▼b 50 clinicians from 20 countries share their stories |
260 | ▼a 파주 : ▼b 신영사, ▼c 2021. | |
300 | ▼a 669 p., 도판 [4]장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판 ; ▼c 25 cm | |
500 | ▼a 공역자: 곽민정, 김유미, 김승은, 이현정 | |
500 | ▼a 부록: A. 개인치료실 계약서, B. 챕터 저자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그들의 해결방안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rt therapy |
650 | 0 | ▼a Art therapy ▼x Moral and ethical aspects |
650 | 0 | ▼a Art therapists ▼x Professional ethics |
700 | 1 | ▼a Di Maria, Audrey Evans, ▼e 편 |
700 | 1 | ▼a 박소정, ▼e 역 |
700 | 1 | ▼a 곽민정, ▼e 역 |
700 | 1 | ▼a 김유미, ▼e 역 |
700 | 1 | ▼a 김승은, ▼e 역 |
700 | 1 | ▼a 이현정, ▼e 역 |
900 | 1 0 | ▼a 디 마리아, 오드리,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21z7 | 등록번호 1118568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술치료의 윤리적 딜레마: 20개국 50인의 임상가 이야기>는 미술치료사로 일하면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일인칭의 관점에서 상세히 기술한 전 세계적인 컬렉션을 제공한다. 차별과 포용, 비밀보장, 임상의 범위 등의 주제에 따라 묶인 각 챕터에서 20개국 출신의 숙련된 미술치료사들은 임상가 역할의 다양성, 내담자의 진단, 그리고 문화적 맥락에 관한 어려운 상황들을 탐색한다.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스스로의 행동방침을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실수와 성공을 인식하고, 독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중요한 교훈과 윤리적 시사점이 강조된 다양한 일화를 중심으로 하는 이 책의 독특한 방식은 현재와 미래의 미술치료사뿐만 아니라 다른 정신건강 전문가들에게도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역자 서문
이 책의 원편집자인 오드리 디 마리아 교수님의 권유로 공저자로 참여하며, 디 마리아 교수님이 제시한 책의 가이드라인에서 인상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이 읽기 어려운 전문적이고 학술적이거나 자료에 근거한 연구를 위한 책이 아니며, 둘째, 치료사로서 개인적으로 경험한 윤리에 대한 실제적인 고민이 일인칭의 시점으로 생생하게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윤리’에 대한 대부분의 저서는 딱딱하거나, 때로는 너무 당연해서 지루하거나, 반대로 정작 실제 현장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의 해답은 찾기 어려운 인상이 강했다. 특히 미술치료 분야에 특화된 윤리에 대한 저서는 더욱 찾기 힘들었기에, 나는 이 책이 매우 기대되었다.
한국어판 번역과정에서 먼저 이 길을 걸어간 이들이 경험담을 나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나는 미술치료 전공생들에게 입학과 동시에 자신이 가진 치료사의 이상과 현실을 먼저 점검하도록 하는데, 그것은 치료사의 실수, 고민 및 경험담을 공유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같은 곳에 뿌리를 둔다. 우리가 흔히 마주하게 되는 윤리적 딜레마는 명확한 흑백으로 규정되기보다는 무수히 다양한 회색의 스펙트럼에 걸쳐 있기에 항상 새로운 문제들이 대두하며, 그에 따라 치료사는 늘 자신의 윤리의식을 점검하고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 담긴 미술치료 임상가들의 실제 이야기는 독자가 가진 윤리라는 회색의 스펙트럼을 보다 풍성하고 밀도 있게 (더군다나 재미있게!) 채워준다. 이 책은 디 마리아 교수님이 저자들을 모으고, 또 집필하는 과정에서 점점 발전을 거듭하며 무려 20개국에서 활동하는 50인의 미술치료 임상가들의 이야기로 채워지는 결실을 맺게 되었다. 윤리와 문화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저자들이 대표하는 문화적 배경의 다양성은 상당히 고무적이며 이 책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준다.
이 책의 각 저자들이 다룬 내용은 계속 유효하며, 누군가에게는 현재 진행형이자 미래일 것이다. 이는 저자들의 이야기가 지닌 생생한 생명력과도 큰 연관이 있기에 번역과정에서 그 생생함을 담기 위해 더욱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책이 현재와 미래의 미술치료사 및 미술을 치유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위로와 용기 그리고 지혜를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목차
제1부 수면 밑을 들여다보기 1. 윤리적인 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들 [오드리 디 마리아] 2. 사전동의와 그 이상의 것들: 미술치료사의 윤리적, 임상적, 재정적, 법적 책임의 갈림길에서 개인치료 계약의 위치 [앤 밀스] 제2부|윤리적 딜레마 선입견, 차별, 배제 3. 태풍 이후: 우리는 미술재료를 가져갔고 그들은 커피를 원했다 - 마리아 레지나 A. 알퐁소 4. 미술치료사냐고요? 네 맞아요. 목회자냐고요? 그것도 맞아요!: 미술치료사가 이중역할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 - 마티나 E. 마틴 5. 편견이 옳을 때도 있을까?: 미술치료사, 슈퍼바이저, 그리고 교수로서 국제적으로 일하는 것에 대한 윤리 - 하이디 바르도 6. 문화적으로 적응하는 미술치료 임상: 과연 이것이 윤리적일까? - 메르세데스 발베 테르 마트 7. 더 이상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중증 및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성인 병동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윤리적 임상 - 데어드레 M. 코간 8. 그저 별 볼일 없는 늙은이가 아니라오: 소외된 문화 안에서 자율성과 존중을 추구하는 사람들과의 미술치료 - 에머리 허스트 마이클 9. 사회적 불의를 바로잡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미술치료 훈련의 경계를 초월하고 변화시키기 - 헤일리 버만 10. 치유적 언어의 통역: 문화의 고려 없이 미술치료를 윤리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 - 박소정 11. 새로운 길을 가는 것: 캐나다 토착 미술치료의 윤리적 고려사항 - 제니퍼 비비안 비밀유지 12. 함께, 그러나 따로: 참전용사 및 그들의 가족과의 미술치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 - 폴라 호위 13. 그렇지만 나는 당신이 무슨 말을 하려는지 이해하는걸요…: 통역사가 참여하는 미술치료 - 일레인 S. 골드버그 14. 증인으로서의 윤리와 도덕성: 전문가 증인으로서의 미술치료사 - 데이비드 E. 구삭 15. 그 누구도 혼자 살 수는 없다-특히 섬에서는 더더욱: 서인도 제도에서의 미술치료 - 카리나 도널드 16. ‘내담자’가 다수일 때: 집단, 가족, 커플 미술치료에서의 비밀보장 - 매리 엘렌 러프 17. 철창에 갇힌 청소년: 소년원에서 근무하는 미술치료사가 직면한 윤리적 문제 - 제인 스콧 이해충돌 18. 프랑스의 미국인 미술치료사: 30년간의 유럽 미술치료사 교육과 슈퍼비전 및 임상 - 엘리자베스 스톤 19. 팔기 위한 작품?: 영리적 목적으로 내담자의 작품을 이용하는 것 - 리사 래이 갈록 20. 칠레에서의 미술치료: 새롭게 부상하는 전문직의 윤리적 과제와 딜레마 - 파멜라 레예스 H. 21. 난 장애가 있는 게 아니라 특별한 거예요: 특수교육이 필요한 아동의 발전하는 세계에서 마주한 미술치료사의 윤리적 문제 - 로리 모리-헤슬러 22. 신의 은총이 없다면, 누구나 그렇게 될 수 있다: 노숙하는 이들에게 제공하는 미술치료와 기타 서비스의 윤리적 과제 - 그웬돌린 M. 쇼트 23. 내 잘못도 아니에요: 산재를 입은 사람에게 미술치료를 제공할 때 마주치는 윤리적 쟁점 - 도널드 J. 커쳐 24. 내가 가장 참기 힘든 열 가지 윤리적 애로사항: 정신과 세팅에서 일하는 직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성찰 - 샬롯 G. 보스턴 25. 정교(政敎)의 분리: 복합외상, 섭식장애, 해리성 정체성장애가 있는 사람을 둘러싼 교구 정치, 제3자 지불자 그리고 미술치료 - 미셸 L. 딘 여러 가지 역할 26. 사실 홍콩은 작은 마을이랍니다: 공동체 안에서의 미술치료와 다중관계 - 조던 S. 포타시 27. 이중역할의 길과 장벽: 연구자로서 미술치료사의 윤리 - 리처드 캐롤란 28.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사이를 맴돌며: 가나인 미술교육자의 윤리적 관점 - 마비스 오세이 29. 모든 것이 학문적이지는 않다: 미술치료 교육에서 발생하는 비학문적인 윤리문제에 대한 고찰 - 매리 로버츠 30. 친권 종료에 대한 증언: 조기 중재 프로그램에서의 미술치료와 사례 관리 - 셰릴 도비-코플랜드 31. 미술치료사/미술교사: 치료 환경과 학교 환경에서 윤리적으로 임상하기 - 바버라 만델 임상의 범위 32. 우크라이나 내담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본능적 외상반응 모델의 적용: 윤리적 고려사항 - 이리나 나탈루시코 33. 앱, 원격보건, 그리고 미술치료: 디지털 세대를 위한 온라인 치료와 윤리적 문제들 - 엘렌 G. 호로비츠 34. 안전한 공간, 기준, 그리고 ‘직감’: 미술치료 훈련 집단의 윤리 및 문화적 다양성 - 다이앤 월러 35. 그렇다면 누가 우선시되어야 할까?: 트라우마 장애를 위한 협동적 치료로서 미술치료 - 탈리 트립 36. 기억력 향상을 위해 그리기를 적용할 때의 윤리적 우려: 아이슬란드에서 수행된 연구 - 우누르 오타르도티르 37. 인도에서 미술치료사로서 일한 첫해: 윤리, 문화, 실행 그리고 슈퍼비전의 문제 - 산기타 프라사드 38. 일본 학교 환경에서의 소규모 미술치유 회기 프로그램 - 유리코 이치키, 메르세데스 발베 테르 마트 39. GPS 없이 여행하기: 최초의 100% 온라인 미술치료 석사과정 프로그램 만들기 - 페넬로페 오르 40. 미술치료에서 윤리적 치료 렌즈를 확대하기: 시각적인 발언의 자유와 통합적 스튜디오 환경 - 마이클 A. 프랭클린 전이와 역전이 41. 펼쳐진 책: 사별한 미술치료사는 사별한 내담자와 어떻게 거리를 유지하는가? - 샤론 스트라우스 42. 남자들이 그렇지: 남성, 윤리, 그리고 미술치료 - 마이클 프렛저 43. 방에 색 입히기: 거주형 약물 및 도박 중독치료에서의 미술치료 - 토드 C. 스토넬 44. 가자(Gaza)는 달랐다: 중동 미술치료의 여정에서 생긴 윤리적 문제 - 시린 야이시 45. 미술작업은 모두 윤리적인가?: 호주 미술치료 교육생의 반응미술작업이 내포하는 딜레마 - 페트리샤 페너, 리비 번 46. 미술치료 슈퍼비전의 다중적 역할: ‘엘 듀엔데(El Duende)’를 사용한 단일 캔버스 프로세스 페인팅 - 아비 밀러 47. 트라우마와 전위적 공격성: 스웨덴의 난민들과 함께 일하는 미술치료사 - 캐서린 로저스 존슨 권력남용 48. 신념이 없다면, 어떤 것에든 속아 넘어갈 것이다: 옳지 않은 것에 대항하여 용기를 낸다는 것 - 레슬리 밀로프스키 제3부|종결의 그림 49. 치료를 매듭짓지 않은 채 미술치료를 종결하기: 아동의 장기치료 종결의 윤리적 문제 - P. 구시 클로러 50. 미술치료사가 내담자보다 먼저 떠날 준비가 되었을 때: 개인치료실 문을 닫을 때의 윤리적 문제 - 데보라 A. 굿 부록 A: 앤 밀스의 개인치료실 계약서 부록 B: 챕터 저자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그들의 해결방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