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790 | |
005 | 20220114144004 | |
007 | ta | |
008 | 220113s2021 ggkad b 001c kor | |
020 | ▼a 9791130818771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601387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30.951 ▼2 23 |
085 | ▼a 330.951 ▼2 DDCK | |
090 | ▼a 330.951 ▼b 2021z4 | |
100 | 1 | ▼a 김인규, ▼g 金寅圭 |
245 | 1 0 | ▼a 신시대 중국의 미래 = ▼x The future of China in a new era / ▼d 김인규 |
246 | 3 1 | ▼a Future of China in a new era |
260 | ▼a 파주 : ▼b 푸른사상, ▼c 2021 | |
300 | ▼a 30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98-300)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51 2021z4 | 등록번호 1118568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국 경제 전문가인 김인규 교수의 『신시대 중국의 미래』가 푸른사상사에서 출간되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한 이후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부르짖고 있다. 이 책에서는 중국의 정치·경제·국제관계 분야의 변화를 진단하고 그 향방을 예측함으로써 한국의 미래 발전을 위한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과연 중국의 시대는 도래하는가?
한국, 중국의 미래에 대비하라!
중국 경제 전문가인 김인규 교수의 『신시대 중국의 미래』가 푸른사상사에서 출간되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한 이후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부르짖고 있다. 이 책에서는 중국의 정치·경제·국제관계 분야의 변화를 진단하고 그 향방을 예측함으로써 한국의 미래 발전을 위한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신시대 중국의 도래와 경제 성장
중국 경제는 개혁개방 이래 고도성장을 보여주며 세계 각국의 이목을 끌고 있다. 마오쩌둥의 주도하에 공산당 혁명을 이루어 신중국을 수립하고, 덩샤오핑의 주도로 개혁개방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급속한 경제발전을 달성했다. 2012년 시진핑 중국주석이 집권함에 따라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체제를 선언하며, 모든 국민이 풍족하고 편안한 사회를 누리는 ‘샤오캉 사회’를 달성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몽’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은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했고, 군사력에서도 미국을 바짝 쫓고 있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미국을 추월해 세계 최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등장함에 따라 미국과 중국과의 패권 경쟁에 전 세계가 집중하고 있다. 『신시대 중국의 미래』의 저자 김인규 교수는 중국 정부의 정책을 기반으로 한 신시대 중국의 경제 전략과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전망한다.
‘두 개의 100년’과 ‘중국의 꿈’ 달성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제18차 당대회에서 ‘두 개의 100년’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맞는 2021년까지 ‘전면적 샤오캉 사회’의 건설을 완성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49년까지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로 발전시키겠다는 것이 요지이다. 나아가 중국 정부는 2035년까지 ‘기본적인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에 매진하고, 2050년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건설’을 위한 목표 2단계를 제시한다. 이에 저자는 시진핑과 중국 공산당이 염원하는 ‘중국의 꿈’이 실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공산당 국가의 폐쇄적이고 권위적, 비민주적인 정치체제로 인한 한계를 지적하며, 중국 경제의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신시대 중국의 미래를 조망하고 있다.
중국의 미래에 따른 한·중 관계의 비전
중국의 사회주의가 새로운 역사적 좌표에 직면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첨단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체계적인 경제 전략을 세워 세계 경제대국의 꿈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중국의 경제 전략과 비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한·중 간의 무역 규모와 정치, 외교, 안보 등의 측면에서 중국은 가장 중요한 국가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저자는 21세기 한·중 공존 발전의 백년대계를 준비해야 함을 강조한다. 중국의 시대를 대비하여 이웃 국가와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하고, 한국 미래 발전에 영향을 끼칠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준비해야 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인규(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베이징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베이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연구중심 전임교수, 하버드대학교 페어뱅크센터 교환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석좌교수, 베이징대학교 TIF연구소 주비위원, 중국정경문화연구원 수석 부원장 등을 맡아 중국 정치·경제 및 국제통상(FTA) 분야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1995년 한국 건설업체 중국 지사장으로 파견되어 다양한 자산 개발·운용 프로젝트를 수행한 것을 시작으로, 정통 중국 경제 전문가로서 한국 중소·중견기업의 중국 진출을 지원하고, 한·중 지방정부 및 기업 간 교류 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 한·중 합자법인 부회장, 중국 대형 로펌 고문, 중국경제망(中國經濟網) 평론위원 등을 거쳐 현재 중국 공신부(工信部) 수석 고문, 중국 쿤밍시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 농식품 중국 진출 길라잡이』 『신시대 중국 경제』 등이 있다.

목차
■ 프롤로그 | 중국의 시대는 오는가? 제1장_ 중국 경제의 미래 01 신시대 중국의 경제 전략 오위일체 발전 / 뉴 노멀 / 두 개의 100년 / 신흥산업 발전 전략 / 지역 발전 전략 / 4차 산업혁명 육성 / 저탄소 순환경제 육성 / 현대적 서비스산업 육성 02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업무 보고 / 글로벌 리딩 국가 03 중국 경제의 미래 자립경제 모델 가동/ 비즈니스 환경 개선 / 미·중 간 격차 축소 / 미래의 중국 경제 제2장_ 중국 부의 향방 01 국가 주도 성장 경제성장 모델 전환 / 중국식 국가자본주의 개혁 02 세계의 시장 광활한 내수 시장 / 제조업 강국 / 무한한 중산층 / 폭발적 전자상거래 시장 03 디지털 G1 모바일 인터넷 강국 / 디지털 G1의 꿈 / 디지털 위안화 발행 04 4차 산업혁명 선도 벤처 창업 열풍 / 유니콘 기업 급증 / 반도체 자립 / 4차 산업혁명 굴기 05 신흥산업 급성장 금융시장 / 환경산업 / 건강산업 / 실버산업 / 종자산업 / 우주항공산업 / 문화콘텐츠산업 제3장_ 중국 정치의 전망 01 중국 정치권력의 핵심, 공산당 중국만의 공산당 / 중국 공산당 권력구조 /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 공산당 일당독재의 정당성 02 시진핑 리더십 정치 개혁과 1인 집권 체제 / 공격적 현실주의 / 마오쩌둥의 향수 03 중국인들의 정치 인식 공산당 만세 / 중국식 민주주의 04 중국 정치의 전망 불안한 공산당 / 국익 우선, 애국주의 강화 / 대국굴기, 전랑외교 / 불확실한 미래 제4장_ 중국의 신시대 01 미·중 패권 전쟁 예고된 전쟁 / 문명의 충돌 / 신형대국관계 / 신냉전 시대의 도래 / 미국의 동맹우선주의 02 중국의 꿈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 백년대계 03 중국, 미래로 가는 길 정치 민주화 / 경제 현대화 04 중국의 시대 중국의 G1 전략 / 차이나 드림 / 신시대 중국 ■ 에필로그 | 중국의 시대를 대비하라! ■ 참고자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