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564 | |
005 | 20220113110305 | |
007 | ta | |
008 | 220113s201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84116665 ▼g 04300 | |
020 | 1 | ▼a 9788984113503(세트) |
035 | ▼a (KERIS)BIB000014468430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001.3 ▼a 755.94309519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09z1 ▼c 75 | |
100 | 1 | ▼a 전상인, ▼g 全相仁, ▼d 1958- ▼0 AUTH(211009)108232 |
245 | 1 0 | ▼a 공간으로 세상 읽기 : ▼b 집·터·길의 인문사회학 / ▼d 전상인 지음. |
260 | ▼a 서울 : ▼b 세창, ▼c 2017 | |
300 | ▼a 252 p. : ▼b 삽도 ; ▼c 23 cm | |
490 | 1 0 | ▼a 석학人文강좌 ; ▼v 75 |
504 | ▼a 참고문헌(p. 234-248) 색인수록 | |
536 | ▼a a교육부 주최, 한국연구재단 주관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의 지원을 받아 출판된 책임 | |
650 | 8 | ▼a 사회학[社會學] |
830 | 0 | ▼a 석학人文강좌 ; ▼v 75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09z1 75 | Accession No. 1513580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창출판사 석학인문강좌 75권. 우리 사회가 처한 경제부국과 공간빈국 사이의 극명한 대조를 다룬다. 툭하면 선진국 진입을 떠들고 걸핏하면 OECD 회원국을 말하지만 막상 삶의 공간에 투영된 ‘근대화의 기적’은 아직도 개발도상국 수준이다. ‘언제나 공사 중’인 이 나라의 생활공간은 전쟁터 아니면 난장판이다. 전통도 없고 문화도 없으며, 평화도 없고 정의도 없는 공간빈국 대한민국의 원인을 이 책은 집과 터, 그리고 길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감수성과 통찰력 및 상상력의 부족에서 찾고자 했다.
이 책의 문제의식은 우리 사회가 처한 경제부국과 공간빈국 사이의 극명한 대조다. 툭하면 선진국 진입을 떠들고 걸핏하면 OECD 회원국을 말하지만 막상 삶의 공간에 투영된 ‘근대화의 기적’은 아직도 개발도상국 수준이다. ‘언제나 공사 중’인 이 나라의 생활공간은 전쟁터 아니면 난장판이다. 내 평소 소신 가운데 하나는 일상의 공간만큼 선진국과 후진국을 정직하게 구분하는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지난날 압축적 고도성장 덕분에 우리가 사는 집, 우리가 모인 터, 우리가 다니는 길은 놀라울 정도로 업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외형적 성취 이면의 속살은 변명의 여지 없이 후진국이다. 동네 길에 보도블록 하나 제대로 못 까는 나라, 도시를 거저 공산품처럼 다루는 나라가 바로 우리다. 외국인 친구가 한국 사람들은 “창밖에 볼 만한 경관이 없어서” 차만 타면 졸지 않느냐고 했을 때 나는 쥐구멍을 찾고 싶었다. 전통도 없고 문화도 없으며, 평화도 없고 정의도 없는 공간빈국 대한민국의 원인을 이 책은 집과 터, 그리고 길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감수성과 통찰력 및 상상력의 부족에서 찾고자 했다. 한국의 공간지식 및 공간계획 생태계를 공학·기술적 접근이나 부동산 연구가 점령하고 있는 사실이야말로 공간 선진국과의 결정적인 차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유관 학계의 내로라할 만한 스칼러십(scholarship) 부재 또한 불편하지만 진실이다. 관학협력이나 산학협동이라는 미명하에 학문이 시나브로 권력과 자본의 동업자나 하수인으로 전락해 있는 것이다. 보다 살기 좋은 공간은 인간을 말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인문사회학의 저력에 궁극적으로 달려 있다. 이런 믿음이 없다면 공간 후진국의 불명예는 앞으로도 떼기 어렵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전상인(지은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학에서 사회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방문교수, 일본 히도츠바시대학 방문교수와 한국미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세상과 사람 사이》(2004),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2009), 《옥상의 공간사회학》(2012), 《편의점 사회학》(2014), 《공간으로 세상 읽기: 집·터·길의 인문사회학》(2017), 《공간 디자이너 박정희》(2019), 《헝그리사회가 앵그리사회로》(2020) 등이 있고, 역서로는 제임스 스콧의 《국가처럼 보기》(2010), 《지배, 그리고 저항의 예술》(202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_들어가며·6
제 1 장 | 공간과 삶
1. 공간으로 읽기까지·17
2. 한국의 공간지식 생태계·26
3. 공간에서 장소로·32
4. 이 책의 구성·38
제 2 장 | 집
1. 집의 탄생·43
2. 주거공간의 진화·46
3. 주택문제의 대두·52
4. 아파트 주거문명·59
5. 집의 인문학적 위기 ·68
6. 주거의 종말?·75
제 3 장 | 터
1. 터의 뜻·87
2. 마을의 원형과 변형·89
3. 도시와 공동체·99
4. 아파트와 마을 만들기·107
5. 도시의 발명·120
6. 도시계획의 역사·129
7. 도시의 존재 이유·139
제 4 장 | 길
1. 길 위의 인간·161
2. 문명과 교통·167
3. 기차와 철도, 지하철·178
4. 자동차와 도로·195
5. 길의 재발견·208
제 5 장 | 나가며
_참고문헌·234
_찾아보기·249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