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551 | |
005 | 20220113171116 | |
007 | ta | |
008 | 220112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67420428 ▼g 94300 | |
020 | 1 | ▼a 9791167420411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335.4345 ▼2 23 |
085 | ▼a 335.4345 ▼2 DDCK | |
090 | ▼a 335.4345 ▼b 2021z2 | |
100 | 1 | ▼a 蔡昉 |
245 | 1 0 | ▼a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경제학 구축 / ▼d 차이팡, ▼e 장쇼우징 지음 ; ▼e 김애화, ▼e 김민정 옮김 |
246 | 1 9 | ▼a 构建新时代中国特色社会主义政治经济学 |
246 | 3 | ▼a Gou jian xin shi dai Zhongguo te se she hui zhu yi zheng zhi jing ji xue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1 | |
300 | ▼a 498 p. ; ▼c 24 cm | |
490 | 1 0 | ▼a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학습 총서 |
504 | ▼a 참고문헌(p. 478-49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Marxian economics ▼z China |
700 | 1 | ▼a 张晓晶, ▼e 저 |
700 | 1 | ▼a 김애화, ▼g 金愛華, ▼e 역 |
700 | 1 | ▼a 김민정, ▼g 金敏貞, ▼e 역 |
830 | 0 | ▼a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학습 총서 |
900 | 1 0 | ▼a 차이팡, ▼e 저 |
900 | 1 0 | ▼a Cai, Fang, ▼e 저 |
900 | 1 0 | ▼a 장쇼우징, ▼e 저 |
900 | 1 0 | ▼a Zhang, Xiaojing,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345 2021z2 | Accession No. 1118568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학습 총서.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역사와 현실, 미래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해 중국 땅에 뿌리를 내리고, 국민의 염원을 반영하고 시대의 진보와 발전 요구에 부응하는 과학 이론 체계이다.
‘현실에 입각한 실사구시’를 견지하고, ‘문제 지향적 원칙’을 고수하며, ‘시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중심으로 국민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이익 문제 해결에 주안점을 두고,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대업을 순조롭게 추진했다.
항상 당과 국가사업의 장기적인 발전에 맞춰 전면적인 샤오캉사회 건설에서 기본적인 현대화 실현을 거쳐 전면적인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을 건설하는 전략적 포석을 이루었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인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강한 목소리를 냈다.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시대의 질문과 국민의 물음에 과학적으로 답을 했고, 시대와 국민이 제기한 중대한 이론과 현실 문제에 답을 하고 해결하는 가운데에서 마르크스주의 중국화의 최신 성과를 형성하여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위대한 승리를 쟁취하는 과학적 지침이 되었다.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이념적 의미가 풍부하고, 개혁, 발전, 안정, 내정, 외교, 국방, 당과 국가 관리 및 군 관리와 같은 모든 분야를 총망라한 체계적이고 완전무결하며 논리적으로 치밀하고 상호 연계된 사상 이론 체계를 구축했다.
이백의 시구 중에 ‘여러 인재들이 아름답고 밝은 시대에 속하게 되어 시운을 타고 함께 도약하였다[群才屬休明, 乘運共躍鱗]’라는 말이 있다.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었다. 지금은 철학 및 사회과학의 번영과 발전의 시대이자 철학과 사회과학 종사자들의 전도가 유망한 시대이기도 하다. 많은 철학 및 사회과학 종사자들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에 관한 지침을 고수하며 발분도강(發憤圖强)하여 신시대의 철학과 사회과학 발전을 위한 새로운 장을 써내려감으로써 ‘두 개 100년’ 분투 목표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인 중국몽 실현을 위해 새로운 큰 공헌을 해야 한다.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사상은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그 함축적 의미는 다음의 ‘7개 견지(堅持)’에 포함된다. 첫째, 공산당의 집중적이고 통일된 지도를 ‘견지’한다. 이는 중국 경제가 정확한 방향을 따라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중국 인민 중심의 발전 사상을 ‘견지’한다. ‘오위일체(五位一體: 경제 건설, 정치 건설, 문화 건설, 사회 건설, 생태 문명 건설)’의 전면적 배치를 총체적으로 추진하고, ‘4개 전면(四個全面)’1의 전략적 배치를 조화롭게 추진한다. 셋째, 총체적인 국면에 입각해 법칙을 장악한다. 즉 중국 경제 발전의 뉴노멀(New Normal, 新常態)에 적응하고, 시대적 특징에 입각해 뉴노멀을 이끌어가는 것을 ‘견지’한다. 넷째, 자원 배치에 대한 시장의 결정 작용을 ‘견지’한다. 정부의 역할을 더욱 진전시켜, 경제 발전에 대한 체제 메커니즘적 장애를 확실하게 제거한다. 다섯째, 중국 경제 발전 과정에서 주요 모순의 변화에 따르는 거시적 조정을 ‘견지’한다. 자유재량에 맡기면서도 정확한 처방을 내려 공급측 구조 개혁(供給側結構性改革)2의 추진을 경제 업무의 골자로 삼는다. 여섯째, 문제 지향성을 견지한다. 이에 따라 경제 발전 신 전략을 배치하여, 중국 경제·사회의 발전과 변혁에 대해 장기적이고도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생시킨다. 일곱째, 정확한 업무 전략과 방법을 ‘견지’한다.
안정 속에서도 진보를 추구하고, 전략적 초점을 유지하고, 마지노선을 사수하며 한 발 한 발 앞으로 나아간다.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사상은 지난 5년 간 중국의 경제 발전을 추진시킨 이론적 결정체이자,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의 가장 새로운 성과이다. 이는 반드시
장기적으로 견지하고 부단히 발전시켜야 하는, 중국 정부는 물론 공산당의 매우 소중한 정신적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사상은 그 주요 취지가 뚜렷하고, 함의가 풍부하며, 역사를 관통하는, 시대에 부응하는 과학적인 이론 체계이다.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사상은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의 기본 원리와 중국 경제 건설의 실제를 결부시킨 가장 새로운 이론적 성과이자,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건설을 이끌어 나아가는 이론적 기초이다. 또한,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자,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승화와 발전이기도 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시대정신의 정수 위대한 실천의 지침_ 셰푸잔(謝伏瞻) 출판 서문_ 왕웨이광(王偉光) 제1장 개론: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의 구축 제1절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새로운 시대 1. 중국 발전의 새로운 역사적 방향 2. ‘굴기’와 ‘부흥’ 그리고 ‘강성’ 3. 생기와 활력이 넘치는 과학적 사회주의 4. 현대화로 나아가는 길 제2절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경제학 구축의 지도 원칙 1.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 2. 중화 5000년 문명사 3. 개혁·개방 발전의 실천적 경험 4. 서양경제학의 유익한 요소 제3절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의 주요 구성 요소 프롤로그: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이란? 1. 인민 중심의 발전 사상 2. 새로운 시대 사회 주요 모순의 변화 3. 생산력의 해방 및 발전 4. 사회주의와 시장경제의 유기적 결합 5. 정부와 시장의 관계 6. 각측 이익 모순의 조정 7. ‘공평정의’와 ‘공동부유’ 제2장 인식론 및 방법론 제1절 마르크스주의 철학 1. 변증법적 유물론 2. 역사적 유물론 제2절 역사적 인내심과 전략적 신념 1. 역사적 인내심 2. 전략적 신념 제3절 온중구진: 정부정책의 총 기조 1. ‘안정’과 ‘진취’의 변증적 관계 2. 안정: 새로운 구도 확립 3. 진취: 새로운 방향 확립 제4절 혁신적 사고 제5절 마지노선 사유 제6절 문제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의 결합 제7절 시범 사업 제3장 뉴노멀 시대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제1절 뉴노멀 시대에 대한 전면적 인식 1. 세계의 ‘새로운 평범’과는 다른 중국의 ‘뉴노멀’ 2. ‘안식처’가 아닌 중국의 ‘뉴노멀’ 제2절 시간적 차원: 세계 경제 발전의 흥망성쇠 -\ 1. 뉴노멀과 잠재성장률 2. 뉴노멀의 단계적 특징 3. 세계의 ‘새로운 평범’을 선도하는 중국의 ‘뉴노멀’ 제3절 공간적 차원: 세계화를 선도하는 중국의 전략적 선택 1. 역(逆)세계화 조류 2. 세계 경제의 성장 부진 3. 중국의 전략적 선택 제4장 신발전이념 제1절 신발전이념의 함의 1. 발전 법칙에 대한 새로운 인식 2. 발전 목표와 발전 경로의 통일 3. 새로운 시대의 ‘두 단계’ 전략 제2절 혁신발전 1. 혁신발전의 함의 2. 세계의 공동 주제 3. 제1의 발전 동력 4. 미래 발전 잠재력의 발굴 5. ‘모방’, ‘벤치마킹’ 그리고 ‘자주혁신’ 제3절 균형발전 1. 발전의 총체성과 균형성 2. 지역간 균형발전 3. 물질문명과 정신문명 4. 경제건설과 국방건설 제4절 녹색발전 1. 사람과 자연의 조화로운 상생 2. 보호와 발전의 관계 3. 녹색 저탄소 순환발전 4. 환경 거버넌스 체계 완비 제5절 개방발전 1. 국가 번영 · 발전의 필수 과정 2. 개방발전의 새로운 단계 3. 전면적 개방의 새로운 구도 제6절 공유발전 1.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구 2. 공유발전의 성과와 도전 3. 공유발전 이념의 견지와 실천 4. 민생 보장과 개선 제5장 현대적 경제 체계의 구축 제1절 현대적 경제 체계 구축의 필요성 제2절 공급측 구조 개혁의 추진 1. 공급측 구조 개혁의 이론적 근거 2. 뉴노멀 시대의 공급측 시각 3. 공급측 구조 개혁의 실천 제3절 사회주의 시장경제 메커니즘의 완비 1. 사회주의 기본 경제 제도의 완비 2. 소유권 제도의 완비 3. 거시적 조정의 혁신과 완비 4. 현대적 재정 제도 수립과 금융 메커니즘의 완비 제6장 ‘중국지혜’와 ‘중국방안’ 1. 글로벌 거버넌스의 빈곤과 국가의 빈곤 2. ‘중국경험’과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3. 중국 방안: 현대화로 나아가는 길 참고문헌 찾아보기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