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긱 이코노미 시대의 리더와 찐팀이 일하는 방식,) 협업 : 어떤 리더가 자신과 조직을 함께 성장시키고 성공으로 이끄는가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치민
Title Statement
(긱 이코노미 시대의 리더와 찐팀이 일하는 방식,) 협업 : 어떤 리더가 자신과 조직을 함께 성장시키고 성공으로 이끄는가 / 이치민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김포 :   피플벨류HS,   2021  
Physical Medium
300 p. : 삽화 ; 19 cm
ISBN
979119621267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99-30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4534
005 20220113150430
007 ta
008 220112s2021 ggka b 000c kor
020 ▼a 9791196212674 ▼g 03320
035 ▼a (KERIS)BIB000016013673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658.4022 ▼2 23
085 ▼a 658.4022 ▼2 DDCK
090 ▼a 658.4022 ▼b 2021z1
100 1 ▼a 이치민
245 2 0 ▼a (긱 이코노미 시대의 리더와 찐팀이 일하는 방식,) 협업 : ▼b 어떤 리더가 자신과 조직을 함께 성장시키고 성공으로 이끄는가 / ▼d 이치민 지음
246 3 ▼a Gig economy 시대의 리더와 찐팀이 일하는 방식, 협업
260 ▼a 김포 : ▼b 피플벨류HS, ▼c 2021
300 ▼a 300 p. : ▼b 삽화 ; ▼c 19 cm
504 ▼a 참고문헌: p. 299-30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8.4022 2021z1 Accession No. 1118568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오늘날 모든 조직은 낯선 것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살고 있다. 과거에 검증된 지식과 방법으로는 더 이상 현상유지도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게 되었다. 이 책은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일하는 방식’으로 ‘협업’을 제안한다. 새로운 발견과 발명도 ‘오래된 것에 대한 관찰과 재해석’을 통해서 시작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우리가 익숙하게 부르고 있는 ‘팀’ 그리고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협업’이 진짜가 아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아니 ‘본래의 원형과 지향점’을 복원하고 재해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도 당신이 필요하고, 당신도 내가 필요하다’는 상호의존성은, 수평적 ‘협업팀’의 문화를 견인한다. 혼자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원대한 열망’을 느슨하지만 ‘자율과 책임’이라는 가치를 기반으로 시너지를 발휘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디지털시대로의 전환, 유목민의 커리어, 새로운 가치의 발굴기회, 애자일조직, 팀을 통한 낯선 문제해결, 협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리더의 핵심 스킬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조직개발 #팀발달 #팀프로세스 #리더십 #프로젝트관리 #집단지성 #협업 #시너지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성공적 협업 수행’이라는 목적 아래 해체하고 재구성하다!


오늘날 모든 조직은 낯선 것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살고 있다. 과거에 검증된 지식과 방법으로는 더 이상 현상유지도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게 되었다. 이 책은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일하는 방식’으로 ‘협업’을 제안한다.
새로운 발견과 발명도 ‘오래된 것에 대한 관찰과 재해석’을 통해서 시작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우리가 익숙하게 부르고 있는 ‘팀’ 그리고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협업’이 진짜가 아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아니 ‘본래의 원형과 지향점’을 복원하고 재해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도 당신이 필요하고, 당신도 내가 필요하다’는 상호의존성은, 수평적 ‘협업팀’의 문화를 견인한다. 혼자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원대한 열망’을 느슨하지만 ‘자율과 책임’이라는 가치를 기반으로 시너지를 발휘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디지털시대로의 전환, 유목민의 커리어, 새로운 가치의 발굴기회, 애자일조직, 팀을 통한 낯선 문제해결, 협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리더의 핵심 스킬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특히,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리더’라면 충실한 지침이 될 수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현장의 구체적인 사례와 적용에 필요한 절차를 최대한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치민(지은이)

저자는 HR전문가다. 20년 이상 현업에서 HR실무와 리더 경험을 쌓았다. 학부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교육공학과 HRD 그리고 평생교육을 공부하며 검증된 지식을 기반으로 경험을 체계화해왔다. 또한 경계 없는 호기심을 토대로, 늘 새로운 도전과 변화를 동반한 여행을 즐겨한다. 그 과정에서 얻게 된 경험을 성찰해서 배우고, 성장하는 학습을 좋아한다. 국내 대기업에서 글로벌기업까지, 이질적인 산업과 크고 작은 규모의 다양한 조직문화를 직접 경험하며 ‘조직과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이런 경험은 현재 HR컨설턴트 역할 수행의 훌륭한 자원이 되고 있다. 무엇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복잡한 이슈를 팀과 함께 해결하는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이 있다. 집단의 다양성 속에서 경험하는 차이와 갈등이 쉽지 않지만, 그 의미와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공동체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최고의 전략’임을 확신하고 있다. 저자는 복잡하고 딱딱한 ‘개념과 이론’을 구체적이고 유연한 ‘상황과 문제’에 적용하도록 돕는 역할을 자신의 미션으로 고백한다. 협업의 성공을 위해 ‘논리’가 필요조건이지만, ‘심리’가 성공을 결정하는 충분조건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간과 사회의 이슈 해결을 위한 ‘공감을 통해 합의를 이끄는 방법’에 천착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004

1장 -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협업의 개념은 무엇인가?
1. 사례를 통해 보는 협업의 개념 018
2. 유사한 개념들을 통해 보는 협업의 개념 028
3. 전문가의 문헌 연구를 통해 유추해보는 협업의 개념 037
4. 우리가 알고 있던 협업과 팀은 진짜가 아니었다 040

2장 - 협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1. 협업은 인류 발달과 함께 이어온 공통의 문화 046
2. 새로운 문제해결 방식의 필요성 대두 049
3. 협업을 촉진하는 환경의 조성 054

3장 - 협업의 성공 요소는 무엇인가?
1. 협업 만능주의를 경계하라 066
2. 찐 팀의 성공 요소에서 배워라 068
3. 협업 성공 연구에서 답을 찾아라 075

4장 - 협업 기회를 발굴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은?
1.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한 협업 기회 발굴 084
2. 밸류체인 분석을 통한 협업 기회 발굴 093
3. 협업 파트너 발굴 및 협업 제안 103
4. 협업의 목표 구체화하기 111

5장 - 효과적인 협업 팀을 구축하는 방법은?
1. 시너지를 발휘하는 팀 120
2. 팀 발달 단계에서의 리더 역할 123
3. 상호 신뢰의 구축 134
4. 협업 팀 고유의 문화 구축 141

6장 - 협업 추진 과정의 주요 이슈와 해결 방법은?
1. 모호함은 줄이고 명확성은 높여라 152
2. 작업분류체계(WBS) 작성하기 157
3. 과업 실행 담당자 합리적으로 선정하기 164
4. 잠재적인 리스크 관리 계획 수립하기 169
5. 주요 이해관리자 관리하기 173

7장 - 협업 팀의 공통 프로세스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은?
1. 협업 팀의 공통 프로세스 187
2. 협업 팀의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프로세스 192
3. 협업 팀의 문제해결 프로세스 206
4. 협업 팀의 갈등관리 프로세스 211

8장 - 협업 추진 과정에서
집단지성을 이끄는 방법은?
1. 협업의 차별적 특징, 집단지성 225
2. 심리적 안전감의 확보 235
3. 워크숍을 설계하는 방법 239
4. 참여적 의사결정을 이끌기 위한 퍼실리테이션 스킬 245

9장 - 협업 추진
상황별 효과적인 소통 방법은?
1. 저맥락 소통 상황에 맞는 소통 방법 260
2. 정보 전달과 설득력을 높이는 스토리텔링 스킬 274
3. 1 on 1 미팅을 진행하는 스킬 280
4. 협업 팀의 소통을 촉진하는 업무 환경 조성 방법 289

에필로그 296
참고자료 29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Jacobs, F. Rober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