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477 | |
005 | 20220113154623 | |
007 | ta | |
008 | 220112s2021 ulk 001c kor | |
020 | ▼a 9791187332602 ▼g 03670 | |
035 | ▼a (KERIS)BIB00001574836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80.15 ▼2 23 |
085 | ▼a 780.15 ▼2 DDCK | |
090 | ▼a 780.15 ▼b 2021z8 | |
100 | 1 | ▼a 이채훈, ▼d 1959- ▼0 AUTH(211009)8465 |
245 | 1 0 | ▼a 1일 1페이지 클래식 365 : ▼b 오늘도 설레는 하루 / ▼d 이채훈 지음 |
260 | ▼a [서울] : ▼b 사우, ▼c 2021 | |
300 | ▼a 397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15 2021z8 | Accession No. 5110526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클래식 칼럼니스트 이채훈이 클래식 좀 알고 싶은 당신에게 매일 한 곡씩 1년 치 음악을 선물한다. 작곡가의 생일, 곡이 초연된 날,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두 위대한 작곡가의 만남 등등 역사적 의미와 관련된 곡을 그날의 음악으로 고른다. 그날과 관련 있는 곡을 선곡해주니 더 각별하게 다가온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을 우선으로 선곡해서 독자가 더 친근하게 느끼도록 배려한 점도 이 책의 큰 강점이다. 영화나 드라마, 광고에 나온 음악 등 여러 계기로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곡이 많이 나오니 클래식이라는 장벽을 넘기가 훨씬 수월하다. 또한 가볍고 편안한 곡으로 시작해서 점점 길고 진지한 곡으로 나아가도록 배치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클래식과 친해진다.
저자가 들려주는 다양한 이야기도 흥미진진하다. 한 곡 한 페이지마다 흥미로운 포인트를 하나씩 소개해주어 음악을 듣고 싶은 의욕을 갖게 해준다. 저자가 들려주는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함께 QR코드를 통해 음악을 듣다 보면 자연스럽게 작곡가와 멜로디를 익힐 수 있다. 클래식 400년의 역사가 한눈에 보인다.
이 책은 글을 읽으면서 바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모든 곡에 QR코드가 들어 있다. 30년간 TV 프로듀서로 일한 사람답게 재미있는 동영상 링크가 많다. 저자는 독자들이 재미있게 영상을 보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음악 링크를 고르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하루하루 설레는 마음으로
클래식의 숲으로 들어가는 길
클래식 좀 알고 싶은 당신에게 권하는 한 권의 책
클래식 칼럼니스트로, 음악 방송 진행자로 맹활약하고 있는 이채훈이 평생의 음악 사랑을 이 한 권에 담았다. 클래식 좀 알고 즐기고 싶어도 그 많은 곡 중에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막막한 이들, 낯선 음악 용어 때문에 지레 주눅 들어 포기한 이들을 위해 작심하고 1년 치 음악을 선곡해서 들려준다. 클래식의 숲으로 들어서는 길을 발견하지 못해 주변을 맴도는 이들에게 저자는 다정한 길잡이가 돼 준다.
“음악은 혼자 듣는 것보다는 마음 통하는 친구와 함께 듣는 편이 좋습니다. 아름다운 음악, 함께 공감할 사람이 옆에 있으면 금상첨화니까요. 이 책은 ‘친구와 함께 이 곡을 듣는다면 옆에서 어떤 얘기를 해 줄까?’ 하는 마음으로 써 내려간 글입니다.”_‘들어가는 말’ 중에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을 우선 선곡
저자는 365곡을 어떻게 선곡했을까? 우선 그날의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곡을 고른다. 가령 2월 14일 밸렌타인데이에는 엘가의 '사랑의 인사'를 선곡한다. 이 곡은 엘가가 가족들의 반대를 이겨내고 청혼을 받아준 연인에게 약혼 선물로 바친 곡이다. 1월 27일은 모차르트 생일이다. ‘음악의 예수’라 불리는 모차르트는 사랑 가득한 음악을 우리에게 거저 주고 정작 자신은 이해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이날 저자는 모차르트 곡 중에서 생명의 탄생을 예찬한 노래, 우리의 존재를 사랑으로 감싸주는 노래 ‘사람의 몸으로 나시고’를 선곡한다. 이렇게 그날과 관련 있는 곡을 선곡해 들려주니 그 곡이 더 각별하게 다가온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을 우선으로 선곡해서 독자가 더 친근하게 느끼도록 배려한 점도 이 책의 큰 강점이다. 영화나 드라마, 광고에 나온 음악 등 여러 계기로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곡이 많이 나오니 클래식이라는 장벽을 넘기가 훨씬 수월하다. 또한 윤이상, 김순남 등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음악가도 빼놓지 않고 소개하고 있다.
음악과 작곡가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가 가득
저자가 들려주는 다양한 이야기도 흥미진진하다. 불굴의 의지로 영웅적인 삶을 살다 간 음악가로 알려진 베토벤. 실은 그도 잃어버린 동전 한 잎 때문에 버럭 화를 낼 정도로 인간적인 면모를 가진 사람이었다. 궁정 악단을 벗어나 최초의 자유음악가가 되면서 고단하고 힘겨운 삶을 산 모차르트, 피아노 한 대 갖지 못할 정도로 가난했지만 입술 위에 노래를 잃지 않았던 슈베르트의 삶. 한 곡 한 페이지마다 흥미로운 포인트를 하나씩 소개해주어 읽는 재미도 크고, 음악을 듣고 싶은 의욕도 갖게 해준다.
짧고 쉬운 곡부터 시작해 진지하고 긴 곡으로 나아가도록 배치
클래식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은 길고 진지한 곡을 듣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저자는 그 점을 고려해 짧고 쉬운 곡을 책의 앞부분에 배치했다. 뒤로 가면서 점차 길고 진지한 곡을 소개한다. 덕분에 독자는 가볍고 즐거운 마음으로 클래식 산책길에 나설 수 있다. 이 책은 가능하면 앞에서부터 하루 1페이지씩 읽고 듣기를 추천한다. 365일 날마다 음악의 기쁨을 누리다 보면 자연스럽게 클래식 400년의 역사가 한눈에 보인다.
30년 경력의 PD가 고른 재미있는 동영상
이 책은 글을 읽으면서 바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모든 페이지에 QR코드가 들어 있다. 30년간 TV 프로듀서로 일한 사람답게 재미있는 동영상 링크가 많다. 저자는 독자들이 재미있게 영상을 보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음악 링크를 고르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하루 한 곡, 이 책과 함께 설레는 나날을 보내다 보면 어느새 막막하던 클래식의 숲이 한눈에 보인다. 이제 멜로디를 들으면 누구의 어떤 곡인지 알게 되고, 나만의 클래식 리스트를 만들 수도 있게 된다.
* 저자 이채훈의 블로그에서 1년 치 플레이 리스트를 만날 수 있습니다.
http://m.blog.daum.net/ych7340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채훈(지은이)
음악을 전공하고 싶었으나 여의치 않아 서울대 철학과를 다녔다. 키에르케고르와 도스토옙스키에 미쳐서 대학 시절을 보냈다. MBC 다큐멘터리 PD로 입사, 노조 활동을 열심히 하며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중 ‘제주 4·3’, ‘여수 14연대 반란’, ‘보도연맹-잊혀진 대학살’ 편을 만들었다. 클래식 다큐멘터리로는 〈MBC스페셜 모차르트〉 ‘천 번의 입맞춤’, 〈정상의 음악 가족 정트리오〉, 〈21세기 음악의 주역,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 등을 만들었다. “음악이 없는 삶은 오류”라는 니체의 말에 공감하며, 인간과 음악을 관통하는 글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있다. 저서로는 《내가 사랑하는 모차르트》(2006), 《우리들의 현대 침묵사》(2006), 《클래식, 마음을 어루만지다》(2014), 《ET가 인간을 보면?》(2015), 《클래식 400년의 산책》(2015), 《모차르트와 베토벤》(2017), 《소설처럼 아름다운 클래식 이야기》(202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감상곡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