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4468 | |
005 | 20220113144737 | |
007 | ta | |
008 | 220112s2021 kjka b QB 001c kor | |
020 | ▼a 9788968498381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999796 | |
040 | ▼a 224010 ▼c 224010 ▼d 211009 | |
082 | 0 4 | ▼a 330.126 ▼2 23 |
085 | ▼a 330.126 ▼2 DDCK | |
090 | ▼a 330.126 ▼b 2021z3 | |
100 | 1 | ▼a 김일태, ▼g 金逸泰, ▼d 1956- ▼0 AUTH(211009)130233 |
245 | 1 0 | ▼a 사회적경제와 혁신성장 = ▼x Social economy & innovation growth / ▼d 김일태, ▼e 임영언 공저 |
246 | 3 1 | ▼a Social economy and innovation growth |
260 | ▼a 광주 : ▼b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1 | |
300 | ▼a 265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41-25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임영언, ▼g 林永彦, ▼d 1966-, ▼e 저 ▼0 AUTH(211009)116246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126 2021z3 | Accession No. 1118578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126 2021z3 | Accession No. 5110526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오늘날 사회혁신에 관한 연구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수행되고 있다. 사회성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들은 사회적 기업가,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소셜비즈니스, 커뮤니티비즈니스를 키워드로 연구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와 관련하여 혁신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과제로서 존재하는 빈곤, 실업, 건강, 양육, 환경파괴 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이다. 사회적경제와 혁신성장 사이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는 사례들을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혁신이 주목받게 된 계기가 된 것은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전후이며, 전 세계적으로는 2000년 전후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면서 주목받게 된 개념이자 용어이다.
오늘날 사회혁신에 관한 연구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수행되고 있다. 사회성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들은 사회적 기업가,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소셜비즈니스, 커뮤니티비즈니스를 키워드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이라는 관점에서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나 기업의 사회 공헌(Corporate Philanthropy) 등을 연구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 책이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 경제와 관련하여 혁신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과제로서 존재하는 빈곤, 실업, 건강, 양육, 환경파괴 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회적 혁신은 지역이나 조직에 속한 사람들 사이의 가치관 공유와 새로운 관계성의 구축을 통해 혁신성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사회적경제와 혁신성장 사이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는 사례들을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서문 / 04 제1장 머리말 / 17 제1절 연구목적 및 배경 / 19 제2절 사회적경제와 혁신성장의 관계 / 23 제3절 연구내용 / 28 제2장 사회적경제정책의 성립과 이론적 토대 / 33 제1절 사회적기업 육성법과 사회적경제정책 / 35 제2절 사회적기업 육성법의 성립 / 39 제3절 사회적경제의 이론적 토대 / 40 제3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화와 정책형성 / 49 제1절 사회적경제의 제도화과정 / 51 제2절 사회적경제의 시기별 성장 과정 / 58 제3절 사회적기업진흥원 설립과 사회적기업 유형 / 62 제4절 사회적기업 지원대상 및 지원방법 / 65 제5절 사회적기업 육성법 이후 정책 동향 / 68 제4장 한일 사회적경제와 해외 혁신성장사례 / 73 제1절 한일 사회적경제 제도화와 정책형성 / 75 제2절 한일 사회적경제 제도화과정 비교 / 83 제3절 기업혁신 성장사례 / 88 제4절 사회적농업 케어팜과 지역혁신사례 / 115 제5절 산림치유와 지역혁신사례 / 121 제5장 사회적경제와 국내 혁신성장 / 127 제1절 도시재생과 지역활성화 / 129 제2절 도시재생의 제도화과정 / 131 제3절 도시재생의 지역혁신사례 / 139 제4절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 / 151 제6장 사회적경제와 교육 혁신 / 155 제1절 주권자 교육 / 157 제2절 선거권연령 하향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 160 제3절 일본 국정 선거결과 분석 / 170 제4절 선거와 교육 혁신 / 181 제7장 일본의 재일외국인 노동자와 이민제도의 개혁 / 185 제1절 재일외국인 증가와 이민정책 / 187 제2절 외국인 노동자 수용 신제도의 도입 / 189 제3절 외국인 이민 수용과 다문화 공생 사회 대응 / 193 제4절 외국인노동자와 이민제도 개혁 / 203 제8장 코로나?팬데믹과 재일동포사회 / 207 제1절 재일외국인과 재일동포 / 209 제2절 코로나 시대 외국인 정책 / 211 제3절 재일외국인과 재일동포의 코로나 영향 / 216 제4절 코로나와 재일동포 / 225 제9장 맺음말 / 227 참고문헌 / 239 국내 문헌 / 241 해외 문헌 / 244 기타 문헌 / 254 찾아보기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