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928 | |
005 | 20220112120556 | |
007 | ta | |
008 | 220106s2021 ulk 001c kor | |
020 | ▼a 9788999724107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5857218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075021 ▼2 23 |
085 | ▼a 616.89075021 ▼2 DDCK | |
090 | ▼a 616.89075021 ▼b 2021 | |
100 | 1 | ▼a Stein, Michelle ▼q (Michelle B.) |
245 | 1 0 | ▼a 사회인지와 대상관계 척도 : ▼b 일반 평정법(SCORS-G) : ▼b 임상가·상담자·연구자를 위한 종합 지침서 / ▼d Michelle B. Stein, ▼e Jenelle Slavin-mulford 공저 ; ▼e 이종환, ▼e 임종민, ▼e 장문선 공역 |
246 | 1 9 | ▼a The social cognition and object relations scale-global rating method (SCORS-G) : ▼b a comprehensive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
246 | 3 9 | ▼a Social cognition and object relations scale-global rating method |
246 | 3 9 | ▼a SCORS-G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 |
300 | ▼a 366 p. ; ▼c 26 cm | |
500 | ▼a 부록: A. 사회인지와 대상관계 척도 : 일반 평정법(SCORS-G), B. 실증 연구 표 | |
504 | ▼a 참고문헌(p. 341-355)과 색인수록 | |
650 | 1 2 | ▼a Psychiatric Status Rating Scales |
650 | 2 2 | ▼a Behavior Rating Scale |
650 | 2 2 | ▼a Mental Disorders ▼x diagnosis |
700 | 1 | ▼a Slavin-Mulford, Jenelle, ▼e 저 |
700 | 1 | ▼a 이종환, ▼e 역 |
700 | 1 | ▼a 임종민, ▼e 역 |
700 | 1 | ▼a 장문선, ▼g 張文瑄, ▼d 1971-, ▼e 역 ▼0 AUTH(211009)136686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075021 2021 | 등록번호 1118577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075021 2021 | 등록번호 5110523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역자 서문과 제언 들어가는 글 감사의 말 Part 1 역사와 실증 연구 Chapter 01 서론 Chapter 02 SCORS-G의 실증 연구 개관 Part 2 채점 Chapter 03 인간 표상의 복합성(COM) Chapter 04 표상의 정동 특성(AFF) Chapter 05 관계를 향한 정서 투자(EIR) Chapter 06 가치와 도덕 기준을 향한 정서 투자(EIM) Chapter 07 사회적 인과성의 이해(SC) Chapter 08 공격 충동의 경험과 관리(AGG) Chapter 09 자존감(SE) Chapter 10 자기 정체성과 일관성(ICS) Chapter 11 종합 평정: 효과적인 채점 전략 Chapter 12 연습 이야기 Part 3 임상 활용 Chapter 13 임상 실무와 개입에서 SCORS-G 변인의 감별 Chapter 14 치료와 수련감독 과정에서 SCORS-G 기준점의 활용 Chapter 15 접수면담과 심리평가 과정에서 SCORS-G의 활용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