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학교폭력, 그 새로운 이야기 : 학교폭력예방과 학생의 이해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천기, 金仟基, 1957-
서명 / 저자사항
학교폭력, 그 새로운 이야기 = A new story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bullying : 학교폭력예방과 학생의 이해 / 김천기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1  
형태사항
326 p. ; 23 cm
기타표제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학교공동체와 부모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ISBN
9788999725173
서지주기
참고문헌(p. 297-31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3887
005 20220111115819
007 ta
008 220106s2021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25173 ▼g 93370
035 ▼a (KERIS)BIB000015968753
040 ▼a 245011 ▼c 245011 ▼d 211009
082 0 4 ▼a 371.782 ▼2 23
085 ▼a 371.782 ▼2 DDCK
090 ▼a 371.782 ▼b 2021z2
100 1 ▼a 김천기, ▼g 金仟基, ▼d 1957- ▼0 AUTH(211009)8488
245 1 0 ▼a 학교폭력, 그 새로운 이야기 = ▼x A new story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bullying : ▼b 학교폭력예방과 학생의 이해 / ▼d 김천기 저
246 1 3 ▼a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학교공동체와 부모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246 3 1 ▼a New story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bullying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300 ▼a 32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97-316)과 색인수록
900 1 0 ▼a Kim, Cheon-gie,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782 2021z2 등록번호 1118580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782 2021z2 등록번호 511052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머리말
Part 1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Chapter 01_ 청소년과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시선
청소년을 대하는 사회의 시선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미디어의 시선
Chapter 02_ 청소년 담론과 프레임, 내부자 시선
위기에 처한 청소년, 위험 자체인 청소년
정상과 비정상 프레임에 갇힌 청소년
학교폭력에 대한 가해자의 시선

Part 2 학교폭력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가
Chapter 03_ 학교폭력의 현상과 법률적 정의
‘교실붕괴’는 가고 ‘학교폭력’이 오다
무엇이 어떻게 학교폭력이 되는가
Chapter 04_ 학교폭력의 본질: 피해자의 정체성 훼손
가해자 행동 중심의 정의와 피해자 중심 정의
Chapter 05_ 심각한 학교폭력 유형의 예
집단따돌림
사이버 폭력

Part 3 학교폭력은 왜 일어나는가
Chapter 06_ 가해학생에 대한 고정관념
가해학생: 심리적 문제가 있다?
학교폭력 집단 유형의 변화: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학교폭력
어쩌다 ‘괴물’이 되었는가
Chapter 07_ 가해자의 가정환경, 학교환경, 사회환경
가정환경이 아이를 폭력적으로 만들었나
학교폭력을 조장하는 학교환경과 사회환경이 따로 있는가
Chapter 08_ 또래관계의 구조와 학교폭력
교실 카스트
학교폭력 발생의 집단적 맥락과 역동: 폭력의 위계구조
폭력의 위계구조의 사회적 맥락: 중간집단전체주의와 이지메
학교폭력에서 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Part 4 학교폭력, 어떻게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가
Chapter 09_ 학교폭력예방법에 따른 대처방식과 한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절차
가해학생에 대한 처분의 실태와 효과
학교폭력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정책의 문제
Chapter 10_ 교사의 학교폭력 대처역량과 역할갈등
학생의 눈으로 본 교사역량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폭력 상황인식의 차이와 교사의 대처 어려움
학교폭력 사안 처리를 둘러싼 교사와 교장의 갈등
Chapter 11_ 학교폭력 방관과 방어
왜 방관자가 되는가
누가 방어자가 되는가
집단괴롭힘 경험과 심리사회적 적응
학교폭력에 대한 학부모의 낙관적 편향
Chapter 12_ 화해와 회복, 공감, 인권감수성
화해와 회복
회복적 생활교육
공감능력과 인권감수성
공감 코스프레와 불편한 즐거움

Part 5 학교폭력 대응 패러다임의 전환
Chapter 13_ 무관용주의의 한계와 회복적 정의
무관용주의
회복적 정의
Chapter 14_ 상호주관적 인정관계
타자와의 상호주관적 인정관계
자율적 인격체로서의 권리 회복
피해자의 개성적 정체성 회복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