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885 | |
005 | 20220119093904 | |
007 | ta | |
008 | 220106s2021 ulk 000c kor | |
020 | ▼a 9791165192129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6009863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70.2 ▼2 23 |
085 | ▼a 370.2 ▼2 DDCK | |
090 | ▼a 370.2 ▼b 2021z5 ▼c 2 | |
100 | 1 | ▼a 신창호, ▼g 申昌鎬, ▼d 1964- ▼0 AUTH(211009)116970 |
245 | 1 0 | ▼a 교육철학잡기. ▼n 2, ▼p 2021-1 / ▼d 신창호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敎育哲學雜記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1 | |
300 | ▼a xv, 372 p. ; ▼c 19 cm | |
490 | 1 0 | ▼a 어느 은둔 교육철학자의 사색과 탐구 에세이 ; ▼v 2 |
830 | 0 | ▼a 어느 은둔 교육철학자의 사색과 탐구 에세이 ; ▼v 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2 2021z5 2 | 등록번호 1118570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2 2021z5 2 | 등록번호 5110523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존의 교육철학계에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은 걸리버여행기, 반야심경, 칼릴라와 딤나와 같은 고전에서 교육적 요소를 고민해 보았다. 또한 싯다르타의 교육을 비롯하여 비트겐슈타인, 파스칼과 같은 몇몇 철학자의 교육관도 성찰했다.
머리말
교육철학잡기 두 번째, 제2권이다.
아내가 먼 여행을 떠나고, 그 이후의 감정도 군데군데 담겨있다. 기존의 교육철학계에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은 걸리버여행기, 반야심경, 칼릴라와 딤나와 같은 고전에서 교육적 요소를 고민해 보았다. 또한 싯다르타의 교육을 비롯하여 비트겐슈타인, 파스칼과 같은 몇몇 철학자의 교육관도 성찰했다. 팬데믹 코비드-19사태는 본질적으로 벗어날 수 없었다. 필요할 때마다 언급했다. 이제 이 바이러스는 인류와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 현명할 것 같다. 아울러 몇 편의 영화이야기도 곁들였고, 문학과 역사와 철학, 거기에 건강이나 첨단과학기술문명도 다루어보았다. 때로는 인간의 심리적 상황이나 일상의 느낌도 담았다.
이 모든 사항에 관한 독해는, 교육(敎育)을 향해 있다. 텍스트 자체가 직접적인 교육내용이나 방법은 아닐지라도, 교육현상으로 환원하여 해석했다. 교육현상의 분석이 교육철학의 바탕을 이루기 때문이다. 잡기(雜記)인만큼 특별한 결론은 없다. 교육철학의 시선으로 세상을 파악하고, 한국교육의 정도(正道)를 장악해 나가는 사유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데, 조그만 보탬이 되기를 기대할 뿐이다.
2021. 8. 처서절(處暑節)에
청옹정사(淸瓮精舍)에서 신창호
정보제공 :

목차
1월 1 1. 복(福)은 인생의 대사업 2 2. 건강과 음식철학 5 3.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인식의 정도 8 4. 일을 마주하는 태도 10 5. 신(神)들의 파업 12 6. 교육, 신학과 철학의 구현 13 7. 가장 추운 계절, 소한(小寒) 14 8. 탈출 16 9. 추위의 현실 17 10. 강추위 폭설 코비드 18 11. 60일 간의 투병 즈음 20 12. 온라인 신 권력 22 ?13. 「걸리버여행기」① ㆍ 소인국의 법률 24 14. 「걸리버여행기」② ㆍ 소인국 릴리퍼트의 교육 25 15. 고릴라, 코비드-19 확진 28 16. 미세먼지 예보 29 17. 「반야심경」 엿보기 30 18. 선(禪), 일상의 숭고와 존엄 32 19. 이상한 뉴스들 34 20. 불교의 가르침 35 21.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 37 22. 코비드-19 발생 1주년 39 23. 「걸리버여행기」③ ㆍ 야후와 휴이넘, 소인과 군자 40 24. 성공과 일상, 숭공불거(崇功不居)! 42 25. 감정 침묵 43 26. 겨울 강풍 44 27. 능력 단상 ㆍ 작은딸과의 대화① 45 ?28. 생애 전개 47 ?29. 각자도생(各自圖生) 여타공존(與他共存) ㆍ 작은딸과의 대화② 48 2월 51 1. 학문의 소용과 예측의 한계 52 2. 논저 제조업자 54 3. 최악의 보호 매뉴얼 55 4. 계절의 시작, 입춘(立春) 57 ?5. 병실 면회 친구 59 6. 싯다르타의 교육정신① ㆍ ‘문(聞)-사(思)-수(修)’ 60 7. 싯다르타의 교육정신② ㆍ 담마(dhamma: 法) 전수 61 8. 싯다르타의 교육정신③ ㆍ 에밤 마야 슈루탐(evam maya Srutam: 如是我聞) 62 ?9. 대법원장의 존재 이유 64 ?10. 「반야심경」① ㆍ 마하 반야 66 11. 「반야심경」② ㆍ 바라 밀다 68 12. 「반야심경」③ ㆍ 심경 70 ?13. 데이터 수치의 착각 72 14. 집단 히스테리 세상 74 15. 충만과 공허의 선율 76 ?16. 자리와 역할과 지족(知足) 79 17. 주문 배달 대학 80 18. 설빔 추억 83 19. 지혜의 사명 85 20. 「반야심경」④ ㆍ 행(行) 86 21. 천박한 정치 87 22. 에덴동산의 나무 88 ?23. 하숙(下宿) 부재 89 24. 아픔 치유 90 25. 백기완 선생 92 ?26. 고교학점제 유감 93 27. 코로나-19 감염증 검사 95 3월 97 1. 죽음, 삶의 새로운 연장 98 2. 딥페이크와 교육 101 3. 개학 단상 103 4. 경칩 아침 104 5. 묘비명 105 6. 담보 보장 보험 106 7. 새 보금자리 108 8. 삶에 대하여 109 9. 현실과 인식 111 10. 사람의 유산 113 11. 괴테의 시 ㆍ 고독 114 ?12. 청아송원(靑莪松園) 116 13. 교육은 야누스인가 117 14. 길은 걸으면서 만든다! 118 15. 지혜로운 사람 121 16. 책의 효능 122 17. 내 친구 커피 123 18. 뿌리를 단련하는 삶 124 19. 친절한 스승 125 20. 참 부처-참 법-참 삶 127 21. 회광반조(回光返照)! 129 22. 식물 재배 130 ?23. 고봉독숙(孤峰獨宿) 131 24. 무승자박(無繩自縛) 132 25. 철학의 자리 134 26. 고봉정상(高峯頂上) 십자가두(十字街頭) 136 4월 139 1.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 140 2. 봄날 꽃밭에 노니는 것처럼 142 3. 앞산 산보 143 4. 지혜의 나무, 보리수 144 5. 대장부의 조건 147 6. 부활절 기도 149 7. 「칼릴라와 딤나」① ㆍ 지혜의 책 151 8. 「칼릴라와 딤나」② ㆍ 성공적 삶을 위한 목표와 실천 덕목 154 9. 「칼릴라와 딤나」③ ㆍ 분수와 능력, 그리고 용기와 도전 156 10. 「칼릴라와 딤나」④ ㆍ 훌륭한 인격 158 11. 「칼릴라와 딤나」⑤ ㆍ 분노, 화해, 용서, 그리고 지혜 160 12. 「칼릴라와 딤나」⑥ ㆍ 사람을 가늠하는 증거, 마음 163 13. 49재(四十九齋) 165 14. 49재 이후, 함께한 드라이브 산책 166 15. 「칼릴라와 딤나」⑦ ㆍ 결백의 용감성, 진실의 달변성 170 16. 「칼릴라와 딤나」⑧ ㆍ 책임과 대가 171 17. 「칼릴라와 딤나」⑨ ㆍ 총명은 운명을 이기지 못한다! 173 18. 「칼릴라와 딤나」⑩ ㆍ 적과의 전쟁 176 19. 천국 여행 1주기 178 20. 매개하는 과정 180 21. 「칼릴라와 딤나」⑪ ㆍ 현혹되지 않는 슬기 182 22. 「칼릴라와 딤나」⑫ ㆍ 필요와 간직 185 23. 「칼릴라와 딤나」⑬ ㆍ 두 유형의 친구와 운명 187 24. 「세설신어」 ㆍ 스스로 새롭게 하라 189 25. 「탈무드」 ㆍ 순환의 논리와 배움 192 26. 영화 ‘트로이’의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196 ?27. 「애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 ㆍ 자발성의 힘 197 28. 왕유의 시 ㆍ 그리움 199 29. ‘미세먼지(PM)’를 인식하는 자세 200 ?30. 먼지 속에서 세계가 열리다 203 31. 집 먼지, 책 먼지, 학자의 먼지 206 32. ‘은둔’의 멋 209 33. 은둔의 죄, 마음의 절제 211 ?34. 마스크 오염 213 35. 인간과 신, 학습자와 교수자 214 36. 왜 죄수는 스스로 탈출할 수 없는가! ㆍ 사랑의 고통 215 37. 생의 목적, 교육의 지향 218 38. 정진석 추기경님 220 39. 삼성 이건희 회장 222 40. 귀래(歸來) ㆍ 5일의 마중 224 5월 225 1. 노동과 근로 226 2. 바쁘게 일하는 사람 228 3. 인심 좋은 곳 231 4. 학자의 일 234 5. 필요에 의한 탐구 236 6. 변화의 양태 237 7.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39 8. 진리는 어느 편에 있는가? 240 9. 교육자 소피스트와 3학4과 242 10. 교육철학적 사고 245 11. 플라톤의 아카데미 246 12. 가정의 달 성찰 249 13. 교육철학자 251 14. 교육의 본질과 대학교육 253 15. 나그네의 밤 255 16. 올바른 교육, 자기이해 257 17. 상기(想起), 변증법, 학습의 과정 259 18. 지식에 이르는 과정 261 19. 탐구와 오류 263 20. 사회적 동물, 그들의 발견과 행동 265 21. 신데믹(Syndemic)시대의 인생과 교육 266 22. 내 생각이 어디에 있는가 269 ?23. 「천주실의」 서문 첫마디 271 24. 현대인의 뇌, 석기시대의 마음 272 25. 패턴(pattern) 274 26. 부처님이 오셨나요? 277 27. 봉선사 산책 280 28. 더 파더, 인생은 그저 그러할 뿐! 282 29. 부부의 날? 조단호부부(造端乎夫婦)! 283 30. 데카르트의 난로가 명상 추억 286 31. 진화와 삶의 희망 290 32. 직접 대면의 유용성 293 33. 난초의 무진기행 295 34. 속세에서 세속을 피하다 296 35. ‘비보호’의 정당성 298 36. 나무가 차지하는 비중 301 37. 사과나무 격언과 무시간의 자유인 303 38. 나무 심는 노인 306 39. 생각하는 갈대, 우주를 포용한다 308 6월 311 1. 산수(山水) 312 2. 명제 소멸, 모순과 동어반복 314 3. 언어의 유희 316 4. 연구하는 삶의 목적 319 5. 추억 ㆍ 보리 베기에서 반딧불까지 322 6. 소망과 욕망 324 7. 부지런함과 검소함 328 8. 매력과 의욕 330 9. 인생이라는 작품을 위한 판단력과 덕성 332 10. 의미심장한 지식 333 11. 참꽃 같은 당신 335 12. 시위소찬(尸位素餐)의 관료들 337 13. 건강법 340 14. 다시, 건강법 342 15. ?자기 찾기에서 세계 누리기로 344 16. 사과하는 분, 변명하는 놈 347 17. 지식에서 지혜와 지성으로 350 18. 나약함과 타락한 본성 352 19. 파스칼의 마지막 소망, 그리고 김유정 354 20. 상상력의 도야 356 21. 무미건조한 평가의 가치 358 22. 기술의 역사와 교육의 기예 361 23. 기술과 역사, 그 교육의 시공간 363 24. 팬데믹 네트워크 시대의 강의 364 25. 스트레스, 불안, 그 내재적 학습 368 26. 사마천의 학술활동 자료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