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872 | |
005 | 20220111095849 | |
007 | ta | |
008 | 220106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96644192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 ▼2 DDCK | |
090 | ▼a 497.7 ▼b 2020z2 | |
100 | 1 | ▼a 김경표 |
245 | 1 0 | ▼a 전남 신안군 해녀의 언어 연구 / ▼d 김경표 |
260 | ▼a 서울 : ▼b 온샘, ▼c 2020 | |
300 | ▼a vii, 186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온샘인문학총서 ; ▼v 4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S1A5B5A07063909) | |
830 | 0 | ▼a 온샘인문학총서 ; ▼v 4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 2020z2 | 등록번호 1118577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 2020z2 | 등록번호 5110523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라져 가는 해녀의 언어를 정리, 언어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하는 책이다. 신안군 해녀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언어를 채록하고 전사하였다. 가거도, 비리, 장도 해녀들의 언어를 전사하여 자료집으로 남기고 해녀 언어의 문법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전남 해녀 언어의 일면을 밝혔다.
사라져 가는 해녀의 언어를 정리, 언어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
전라남도 서남해 도서 지역에는 아직도 많은 해녀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신안군 해녀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언어를 채록하고 전사 하였다.
전남의 해녀 연구는 주로 민속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언어학적 관점에서 해녀의 언어를 전체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없다. 해녀들의 언어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현지 조사를 나가서 그들의 언어를 채록하고 전 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전남에서 활동하는 해녀들은 자 생적인 해녀들과 제주도에서 와서 정착한 해녀들이 있는데 대부분 고령으로 이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이들의 언어를 전사하여 자료로 남기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가거도, 비리, 장도 해녀들의 언어를 전사하여 자료집으로 남기고 해녀 언어의 문법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전남 해녀 언어의 일면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전남 신안군 해녀의 삶과 언어”는 신안군의 가거도, 비리, 장도 해녀들의 생애와 그들의 물질과 관련된 내용들을 담았다. 가거도는 흑산도 본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비리는 흑산도 본섬에 있으며 장도는 흑산도 본섬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어서 흑산도 본섬을 중심으로 해녀들의 삶과 그들의 언어를 살필 수 있다. 2장 “신안군 해녀의 언어 연구와 흑산도지역어 연구”에는 채록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거도, 비리, 장도 해녀들의 언어를 문법적으로 분석한 논문과 해녀들의 언어를 연구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흑산도지역어 연구 논문 2편을 함께 실었다.
정보제공 :

목차
서문 제1부 자료편: 전남 신안군 해녀의 삶과 언어 1 조사지역 소개 3 제보자 5 책의 구성 및 전사 6 제1장 가거도 해녀의 삶과 언어 9 제2장 비리 해녀의 삶과 언어 79 제3장 장도 해녀의 삶과 언어 113 *해녀들이 사용하는 관용표현 142 제2부 연구편: 신안군 해녀의 언어 연구와 흑산도지역어 연구 145 신안군 해녀 언어의 문법적 연구 147 1. 서론 147 2. 신안군 해녀 언어의 문법적 연구 150 3. 결론 171 흑산도지역어의 모음과 관련된 음운현상 177 1. 서론 177 2. 음소목록 180 3. 모음과 관련된 음운현상 181 4. 결론 201 흑산도지역어의 부사형어미 ‘-어X’ 실현 양상 209 1. 서론 209 2. 흑산도지역어의 부사형어미 ‘-어X’ 실현 양상 214 3. 결론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