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831 | |
005 | 20220124134302 | |
007 | ta | |
008 | 220106s2021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46073395 (양장본) ▼g 93320 | |
020 | ▼a 9788946081383 (무선) ▼g 93320 | |
035 | ▼a (KERIS)REQ000055161690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02.23068 ▼2 23 |
085 | ▼a 302.23068 ▼2 DDCK | |
090 | ▼a 302.23068 ▼b 2014z16 ▼c 3 | |
245 | 0 0 | ▼a 미디어 경영론 5.0 = ▼x Media management 5.0 / ▼d 박주연 [외]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21 | |
300 | ▼a 31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한울아카데미 ; ▼v 2339 |
490 | 1 0 | ▼a 한국미디어경영학회 미디어경영총서 ; ▼v 3 |
500 | ▼a 공저자: 장병희, 이상우, 이상원, 홍성철, 이문행, 곽규태, 김성철, 정윤혁, 모정훈, 김민기, 송지희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주연, ▼d 1969-, ▼e 저 ▼0 AUTH(211009)89465 |
700 | 1 | ▼a 장병희, ▼g 張秉熙, ▼d 1970-, ▼e 저 ▼0 AUTH(211009)35180 |
700 | 1 | ▼a 이상우, ▼d 1967-, ▼e 저 ▼0 AUTH(211009)33070 |
700 | 1 | ▼a 이상원, ▼d 1969-, ▼e 저 ▼0 AUTH(211009)14410 |
700 | 1 | ▼a 홍성철, ▼g 洪性喆, ▼d 1970-, ▼e 저 ▼0 AUTH(211009)110333 |
700 | 1 | ▼a 이문행, ▼g 李文行, ▼d 1964-, ▼e 저 ▼0 AUTH(211009)33723 |
700 | 1 | ▼a 곽규태, ▼g 郭圭泰, ▼d 1974-, ▼e 저 ▼0 AUTH(211009)37258 |
700 | 1 | ▼a 김성철, ▼g 金成鐵, ▼d 1964-, ▼e 저 ▼0 AUTH(211009)93247 |
700 | 1 | ▼a 정윤혁, ▼g 鄭允赫, ▼d 1971-, ▼e 저 ▼0 AUTH(211009)115306 |
700 | 1 | ▼a 모정훈, ▼e 저 |
700 | 1 | ▼a 김민기, ▼e 저 |
700 | 1 | ▼a 송지희, ▼e 저 |
830 | 0 | ▼a 한울아카데미 ; ▼v 2339 |
830 | 0 | ▼a 미디어경영총서 ; ▼v 3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68 2014z16 3 | Accession No. 1118574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68 2014z16 3 | Accession No. 5110522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디어 경영학회는 총서 1권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2권 『미디어 경영론』에 이어 이번에 『미디어 경영론 5.0』을 새로 선을 보인다. 2015년 국내에서 최초로 '미디어 경영론'을 발간해 미디어 경영의 교과서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으나 1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급격한 기술적 환경적 변화가 있었고 현재에 맞는 교과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책에는 미디어 경영의 핵심 이론과 최신 경향, 사례 벤치마킹과 미래 연구를 균형 있게 배분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고 있는’ 미디어 기업들과 관련 분야에 체계적인 미디어 경영 이론과 사례를 제공한다.
글로벌 미디어 산업 환경의 변화에 맞춘
새 미디어 경영론 교과서
모바일 기기 확산과 이용자의 미디어 선호 양상 변화, 미디어 플랫폼의 다변화와 융합 등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미디어 산업 환경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디지털 전환의 시기에 맞추어 한국미디어경영학회가 새 미디어 경영론 교과서를 내놓았다.
미디어 경영학회는 총서 1권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2권 『미디어 경영론』에 이어 이번에 『미디어 경영론 5.0』을 새로 선을 보인다. 2015년 국내에서 최초로 「미디어 경영론」을 발간해 미디어 경영의 교과서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으나 1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급격한 기술적 환경적 변화가 있었고 현재에 맞는 교과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책에는 미디어 경영의 핵심 이론과 최신 경향, 사례 벤치마킹과 미래 연구를 균형 있게 배분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고 있는’ 미디어 기업들과 관련 분야에 체계적인 미디어 경영 이론과 사례를 제공한다.
• 디지털 생태계 속 미디어 기업의 생존 전략
모바일 기기 확산, 5G 인터넷 보급, 인공지능, 빅데이터 딥러닝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과 맞물려 미디어 산업 환경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등의 영향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흐름이 가속하면서 미디어 산업과 통신산업 간의 경계가 흐려졌고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대형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확산으로 콘텐츠 지식재산(IP) 확보 경쟁도 심화되었다.
이렇게 격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 조직이 생존과 성장을 도모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미디어 경영의 핵심 이론부터 주요 미디어 기업의 사례와 현황 벤치마킹까지 자세히 담았다. 합리적 의사 결정 및 전략 도출을 위해 미래 정보 수집과 시나리오 분석 및 시뮬레이션 필요하다. 또한 미디어 기업이 기술 변화에 도태되지 않으려면 기존 주력 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개선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양손잡이 경영이 필요하다.
• 최신 트랜드와 신 기술에 맞춘 새 미디어 경영론 교과서
『미디어 경영론 5.0』은 총 3부로 구성하여 기초부터 각론까지 12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미디어 경영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이상우 교수가 미디어 산업과 경영에 대한 개괄을 제시하고,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이상원 교수가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에 대해 설명한다.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경기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홍성철 교수가, 미디어 경영의 경제학적 기초에 대해서는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장병희 교수가 담당했다. 제1부를 통해 기초적인 이해와 지식을 습득했다면, 제2부에서는 미디어 경영의 방향성을 다루는 경영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문행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사업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박주연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인수·합병과 글로벌화를 다룬다. 독자들은 제2부의 학습을 통해 미디어 기업의 전략에 대한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에서는 미디어 기업이 수행하는 세부적인 기능들을 하나씩 설명한다. 미디어 기업의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에 대해 순천향대학교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곽규태 교수가 소개하며, 미디어 기업의 재무관리에 대해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김성철 교수가 설명한다. 미디어 기업의 마케팅 관리에 대해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정윤혁 교수가 정리하며,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모정훈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새로운 기술 경영과 관련된 이슈들을 설명한다. 디지털 전환과 커머스 간 연계에 대해 KAIST 경영대학 김민기 교수가 소개하며, ESG를 기반으로 미디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의 내용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송지희 교수가 제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01 미디어 산업과 미디어 경영의 이해 _이상우 02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 _이상원 03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의 이해: 이윤, 상품주기, 혁신, 위험 _홍성철 04 미디어 경영의 경제학적 기초 _장병희 05 미디어 기업 전략 _이문행 06 미디어 기업의 인수·합병과 글로벌화 _박주연 07 미디어 기업의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 _곽규태 08 미디어 기업의 재무관리 _김성철 09 미디어 기업의 마케팅 관리 _정윤혁 10 미디어 기업의 기술 경영 _모정훈 11 디지털 전환과 미디어-커머스 연계 _김민기 12 미디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_송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