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812 | |
005 | 20220112105144 | |
007 | ta | |
008 | 220106s2021 ulkad 001c kor | |
020 | ▼a 9791165192075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999107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21z7 | |
245 | 2 0 | ▼a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 ▼d 조호제 [외]공저 |
246 | 3 0 | ▼a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1 | |
300 | ▼a vii, 319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김자영, 김정윤, 김현정, 노선임, 문향숙, 박은하, 안희숙, 이경미, 최성이, 최은아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조호제, ▼d 1963-, ▼e 저 ▼0 AUTH(211009)63446 |
700 | 1 | ▼a 김자영, ▼e 저 |
700 | 1 | ▼a 김정윤, ▼d 1967-, ▼e 저 ▼0 AUTH(211009)14901 |
700 | 1 | ▼a 김현정, ▼e 저 |
700 | 1 | ▼a 노선임, ▼e 저 |
700 | 1 | ▼a 문향숙, ▼e 저 |
700 | 1 | ▼a 박은하, ▼e 저 |
700 | 1 | ▼a 안희숙, ▼e 저 |
700 | 1 | ▼a 이경미, ▼e 저 |
700 | 1 | ▼a 최성이, ▼e 저 ▼0 AUTH(211009)24202 |
700 | 1 | ▼a 최은아,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21z7 | 등록번호 1118575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21z7 | 등록번호 51105225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1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먼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이해중심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으로서 IB PYP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념 기반 교수·학습 설계의 핵심 요소인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1부에서는 개념 기반 교육과정, 이해중심교육과정, IB PYP 기반 교육과정,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여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념, 이해, 지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단일 교과 혹은 여러 교과에 걸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평가를 설계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은 전통적인 교육시스템에 파열음을 일으키고 새로운 교육 방식을 강요하였다. 학생들이 사라진 교실에서 교사들은 그동안 한 번도 실행해 보지 못한 교육 방법을 익히고 적응하느라 고군분투하였다. 처음엔 기능적인 것만 극복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곧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왜 그것을 가르쳐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교사 자신에게 묻지 않을 수 없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도달시키기 위해 수업시간은 한없이 부족했으며, 학생들의 집중력은 교사들을 무기력하게 했다. 학생들이 배움이 일어나고 있는지 과정을 확인하는 것도 떨어져 있는 학습 공간의 거리만큼이나 힘들어졌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를 두렵게 만든 것은 지금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결코 이전의 교육 방식으로 돌아가지 않으리라는 예측이었다. 생각보다 빨리, 아니 이미 ‘미래교육’이라고 명명하던 그 시점이 벌써 눈앞에 도래했다는 자각 때문이었다. 그것은 교사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는 깨달음이었다.
이 책은 이러한 고민을 공유한 교사들의 흔적이다. 저자들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통해 다음의 세 가지에 답을 하려고 시도하였다.
앞으로 급격한 변화를 감내해야 할 학생들의 삶을 관통할 가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어떻게 가르쳐야 학생들이 새로운 상황이나 맥락에서도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는가?
그리고 이것은 수업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단순한 사실적 지식 습득의 차원을 넘어 개념을 기반으로 학습의 깊이를 더하고 미래역량 함양을 위해 도입되는 교육과정이다. 개념 기반 교육과정은 실제 세계로 전이될 수 있는 지식과 핵심 기능을 학습하도록 한다. 이 교육과정은 개념적 이해와 비판적 내용 지식, 수행 능력의 발달을 강조한다. 따라서 개념과 관련된 핵심 기능의 이해를 통한 실제적인 수행을 중요하게 다루게 된다.
이 책에서는 먼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이해중심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으로서 IB PYP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념 기반 교수·학습 설계의 핵심 요소인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1부에서는 개념 기반 교육과정, 이해중심교육과정, IB PYP 기반 교육과정,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여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념, 이해, 지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실 장면에서 학생들은 여러 교과에서 사실(facts)을 학습하게 된다. 학생들에게 무엇을 학습하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학습하느냐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달라질 수 있다. 학생들이 학습하게 되는 지식은 단편적인 지식을 넘어서는 좀 더 넓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개념을 통한 학습을 통해 좀 더 넓고 깊게 확장될 필요가 있다. 1부에서 설명하는 것은 바로 이 지식의 구조를 이루는 요소가 무엇이며 이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가에 대한 교육과정 이론이다. 교과의 구조는 소재와 사실, 개념, 일반화의 원리로 이루어지며, 소재와 사실로부터 개념으로 그리고 일반화와 원리, 이론으로 향해간다. 학생의 개념적 이해와 일반화의 원리에 대한 심층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귀납적 교수법과 탐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낮은 수준의 사고와 높은 수준의 개념적 사고를 결합시킴으로써 시너지를 내는 사고를 자극하여 개인의 지적 능력을 개발시키게 된다.
2부에서는 단일 교과 혹은 여러 교과에 걸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평가를 설계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여러 교과를 관통하는 개념을 추출하고, 일반화된 지식과 핵심 질문, 개념적 렌즈를 어떻게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평가하는지 교과별 사례를 제시하였다. 실제 수업 활동을 규정짓는 핵심요소인 평가문항을 교과내 영역 중심으로, 혹은 두 개 교과, 세 개 교과를 통합하며 수행과제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안내가 되도록 하였다.
미래교육에서 더욱 강조되는 교사의 역량은 능동적인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역량이다. 특정 교과 내용이나 교과 교육과정의 전체 내용을 간파해서 구조화시키고, 학생들이 스스로 원리나 일반화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사고 기능과 탐구과정을 가르칠 수 있는 수업설계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자들이 제안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평가로, 이러한 교사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교사, 관리자, 교육과정 연구자 및 교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개념 기반 교육과정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허락하고 애써 주신 박영스토리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1년
저자 일동
정보제공 :

목차
제1부 개념 기반 교수ㆍ학습 설계 유형 제1장 개념 기반 교육과정 제2장 이해중심교육과정 제3장 IB PYP 기반 교육과정 제4장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제2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설계 및 적용 제1장 5학년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제2장 6학년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