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707 | |
005 | 20220110140605 | |
007 | ta | |
008 | 220106s202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8443855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952345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27.2 ▼2 23 |
085 | ▼a 327.2 ▼2 DDCK | |
090 | ▼a 327.2 ▼b 2021z3 ▼c 2 | |
245 | 0 0 | ▼a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 ▼x Public diplomacy & communication / ▼d 채영길 편저 ; ▼e 김유경 [외저] |
246 | 3 1 | ▼a Public diplomacy and communication |
260 | ▼a 서울 : ▼b 한경사, ▼c 2021 | |
300 | ▼a 376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시리즈 도서 ; ▼v 2 |
500 | ▼a 공저자: 이병종, 김성해, 채영길, 손지애, 이종혁, 조재희, 이효복, 현기득, 지성욱, 이홍천, 허태윤, 이경선, 전창영, 김태환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9S1A5C2A03083114) | |
700 | 1 | ▼a 채영길, ▼g 蔡暎吉, ▼d 1972-, ▼e 편 ▼0 AUTH(211009)46691 |
700 | 1 | ▼a 김유경, ▼e 저 |
700 | 1 | ▼a 이병종, ▼e 저 |
700 | 1 | ▼a 김성해, ▼e 저 |
700 | 1 | ▼a 손지애, ▼e 저 |
700 | 1 | ▼a 이종혁, ▼e 저 |
700 | 1 | ▼a 조재희, ▼e 저 |
700 | 1 | ▼a 이효복, ▼e 저 |
700 | 1 | ▼a 현기득, ▼e 저 |
700 | 1 | ▼a 지성욱, ▼e 저 |
700 | 1 | ▼a 이홍천, ▼e 저 |
700 | 1 | ▼a 허태윤, ▼e 저 |
700 | 1 | ▼a 이경선, ▼e 저 |
700 | 1 | ▼a 전창영, ▼e 저 |
700 | 1 | ▼a 김태환, ▼e 저 |
830 | 0 | ▼a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시리즈 도서 ; ▼v 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2 2021z3 2 | 등록번호 11185766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2 2021z3 2 | 등록번호 5110521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채영길(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Univ. of Texas at Austin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언론과 사회≫와 ≪한국언론정보학보≫ 편집위원이다. 저서로 『미디어와 공동체』(2018, 공저),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 한국의 언론과 언론 운동 성찰』(2018, 공저), 『커뮤니티 미디어 이론과 실천』(2015), Understanding Journalism in Korea(2015, 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네이버·다음 모바일 포털 뉴스 플랫폼의 19대 대통령 선거기사 분석”(2017), “마을미디어의 참여와 정치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7),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2016), “SNS와 비전형적 정치(Unconventioal politics), 그리고 ‘다시 일상’”(2013) 등이 있다.

목차
1부 21세기 공공외교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1장 21세기 공공외교와 미디어외교의 역할_이병종 2장 신글로벌 시대의 공공외교_김유경 2부 공공외교의 국가와 공중 3장 국가 이익을 위한 담론 경쟁_김성해 4장 공중과 미디어외교_채영길 3부 미디어와 외교 5장 국제방송과 미디어외교_손지애 6장 통신사와 미디어외교_이종혁 7장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미디어외교_조재희 8장 문화 콘텐츠와 미디어 공공외교_이효복 4부 미디어외교의 역할 9장 미디어외교에 활용되는 매체의 유형별 장단점과 외교적 효과의 평가_현기득 10장 국제적 갈등에서의 미디어의 역할_이홍천 11장 한국의 미디어외교 성과_전창영 5부 미디어외교, 국가 정체성과 시민성 12장 미디어 상품의 국제교역과 공공외교_지성욱 13장 국가브랜딩과 미디어외교_이경선 14장 글로벌시티즌십과 미디어외교_허태윤 6부 21세기 한국의 미디어외교 15장 한국의 미디어외교, 어디로 가야하나?_김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