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채영길, 蔡暎吉, 1972-, 편 김유경, 저 이병종, 저 김성해, 저 손지애, 저 이종혁, 저 조재희, 저 이효복, 저 현기득, 저 지성욱, 저 이홍천, 저 허태윤, 저 이경선, 저 전창영, 저 김태환, 저
서명 / 저자사항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 Public diplomacy & communication / 채영길 편저 ; 김유경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한경사,   2021  
형태사항
37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시리즈 도서 ;2
ISBN
9788968443855
일반주기
공저자: 이병종, 김성해, 채영길, 손지애, 이종혁, 조재희, 이효복, 현기득, 지성욱, 이홍천, 허태윤, 이경선, 전창영, 김태환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3707
005 20220110140605
007 ta
008 220106s2021 ulka b 000c kor
020 ▼a 9788968443855 ▼g 93320
035 ▼a (KERIS)BIB000015952345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27.2 ▼2 23
085 ▼a 327.2 ▼2 DDCK
090 ▼a 327.2 ▼b 2021z3 ▼c 2
245 0 0 ▼a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 ▼x Public diplomacy & communication / ▼d 채영길 편저 ; ▼e 김유경 [외저]
246 3 1 ▼a Public diplomacy and communication
260 ▼a 서울 : ▼b 한경사, ▼c 2021
300 ▼a 376 p. : ▼b 삽화 ; ▼c 24 cm
490 1 0 ▼a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시리즈 도서 ; ▼v 2
500 ▼a 공저자: 이병종, 김성해, 채영길, 손지애, 이종혁, 조재희, 이효복, 현기득, 지성욱, 이홍천, 허태윤, 이경선, 전창영, 김태환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9S1A5C2A03083114)
700 1 ▼a 채영길, ▼g 蔡暎吉, ▼d 1972-, ▼e▼0 AUTH(211009)46691
700 1 ▼a 김유경, ▼e
700 1 ▼a 이병종, ▼e
700 1 ▼a 김성해, ▼e
700 1 ▼a 손지애, ▼e
700 1 ▼a 이종혁, ▼e
700 1 ▼a 조재희, ▼e
700 1 ▼a 이효복, ▼e
700 1 ▼a 현기득, ▼e
700 1 ▼a 지성욱, ▼e
700 1 ▼a 이홍천, ▼e
700 1 ▼a 허태윤, ▼e
700 1 ▼a 이경선, ▼e
700 1 ▼a 전창영, ▼e
700 1 ▼a 김태환, ▼e
830 0 ▼a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시리즈 도서 ; ▼v 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2 2021z3 2 등록번호 1118576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2 2021z3 2 등록번호 5110521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채영길(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사회변화를 위한 언론과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저널리즘, 공동체미디어, 글로벌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커뮤니티 미디어 이론과 실천》,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 한국의 언론과 언론 운동 성찰》(공저),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편저), 《디지털 공공외교》(번역) 등이 있다. 현재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부 21세기 공공외교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1장 21세기 공공외교와 미디어외교의 역할_이병종
2장 신글로벌 시대의 공공외교_김유경

2부 공공외교의 국가와 공중
3장 국가 이익을 위한 담론 경쟁_김성해
4장 공중과 미디어외교_채영길

3부 미디어와 외교
5장 국제방송과 미디어외교_손지애
6장 통신사와 미디어외교_이종혁
7장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미디어외교_조재희
8장 문화 콘텐츠와 미디어 공공외교_이효복

4부 미디어외교의 역할
9장 미디어외교에 활용되는 매체의 유형별 장단점과 외교적 효과의 평가_현기득
10장 국제적 갈등에서의 미디어의 역할_이홍천
11장 한국의 미디어외교 성과_전창영

5부 미디어외교, 국가 정체성과 시민성
12장 미디어 상품의 국제교역과 공공외교_지성욱
13장 국가브랜딩과 미디어외교_이경선
14장 글로벌시티즌십과 미디어외교_허태윤

6부 21세기 한국의 미디어외교
15장 한국의 미디어외교, 어디로 가야하나?_김태환

관련분야 신착자료

和田春樹 (2023)
Kissinger, Henry (2023)
국중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