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538 | |
005 | 20220105141004 | |
007 | ta | |
008 | 220104s2016 ggka 000c kor | |
020 | ▼a 9788963529622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4211379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2.11 ▼2 23 |
085 | ▼a 372.11 ▼2 DDCK | |
090 | ▼a 372.11 ▼b 2016 | |
100 | 1 | ▼a 최명희 |
245 | 1 0 | ▼a 교사다움 : ▼b 영유아 교사를 위한 인성 지침서 / ▼d 최명희 지음 |
260 | ▼a 고양 : ▼b 공동체, ▼c 2016 ▼g (2021 16쇄) | |
300 | ▼a 215 p. : ▼b 삽화 ; ▼c 22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11 2016 | 등록번호 1118564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명희(지은이)
영유아교육과 관련된 여러 영역의 일을 30년째 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유아교육으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유치원 교사, 육아종합지원센터장, 어린이방송 작가 등 다양한 현장에서 일했으며 현재는 신구대학교 아동보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아교육자로서 영유아, 교사, 예비교사, 학부모들을 만나며 그들의 삶을 깊이 들여다보고 지지해 주는 일이 유일하게 잘 하는 일이라고 믿고 있다. 전작 <아이와 통하고 싶다>, <교사다움>에서 독자들이 보내준 격려가 큰 힘이 되어 아이의 삶에 기여하는 어른들과 여러 자리에서 만나고 글을 쓰는 일에 더욱 전념하고 있다. 젊은 시절 어린 아이들의 선생님으로 살았던 일, 그리고 지금 예비교사들을 이끌어 주는 일이 부모로 살아가는 일과 무척 닮았다는 것을 느끼며 기다리고 애태우는 세월이었지만 그랬기 때문에 좀 더 나은 사람이 되었다는 것에 감사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나를 보다 01 왜 그렇게 하는지에 대한 생각 02 교사의 타고난 본성 03 외로운 성장 04 관용과 배려가 있는 교실 05 받아보아야 줄 수 있는 것이 사랑 06 힘들어도 견딜만한 이유 07 오늘 08 학부모를 대하는 품격 있는 태도 09 앞치마 10 교사의 인성이 필요한 이유 11 요즘 세상이 바라는 인재 12 있어야 할 곳에 13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14 자기 감정을 소중이 다루기 15 공부가 필요하다 16 코메니우스 17 유치원과 어린이집 18 애국하는 길 아이를 보다 19 아이 20 마음그릇 21 너그러움 22 초서(?書) 23 작은 씨앗 24 나무의 옹이와 결 25 공짜로 얻는 것 26 글자와 수학의 공통점 27 놀이에 몰입하는 아이 28 날씨 29 세 살 버릇 30 7번방의 기적 31 청출어람 32 공평한 편애 33 내성적인 아이 34 말을 안 듣는 아이 35 몇 세반 36 understand 마주보다 37 공감의 힘 38 거울 39 기다림 40 ZPD: 상호작용의 미묘한 경계 41 갑이와 을이 42 교사다운 말 43 하루도 거르지 않고 44 그래그래 선생님 45 지혜로운 훈육 46 소소한 약속 47 사랑의 현재진행형 48 무엇을 물어볼까 49 실수를 덮어주는 사랑 50 못 본 척 51 예측 가능성 52 칭찬의 딜레마 53 미소의 힘 나누다 54 새로운 창조하기 55 버킷 리스트 56 언어와 사고의 연결 57 흥미영역 58 듣는 연습 59 활동의 도입 60 낭만적인 장소 61 동화를 들려주는 이유 62 동화의 제맛 63 동극의 제맛 64 유쾌 상쾌 통쾌 65 대답의 기회 공평하게 주기 66 더 중요한 것은 함께한다는 것 67 등원, 반가움을 나누는 시간 68 정리정돈, 배려하는 시간 69 낮잠, 보약같은 시간 70 식물이 있는 교실 71 따뜻한 밥상 72 빈둥빈둥 캠프 73 잘 먹고 잘 사는 법 74 두 사람 관계, 척 보면 압니다 75 학부모와 따뜻하게 소통하기 76 애국심이 발휘되는 순간 77 앗, 이러진 말자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