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왜 북한의 청년은 체제에 순응했는가 : 조선민주청년동맹과 당의 통치 1945~1964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곽채원, 郭彩瑗
서명 / 저자사항
왜 북한의 청년은 체제에 순응했는가 : 조선민주청년동맹과 당의 통치 1945~1964 / 곽채원 저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21  
형태사항
422 p. ; 24 cm
총서사항
현대사총서 ;063
ISBN
9791160686081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7]-41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3510
005 20220105103351
007 ta
008 220104s2021 ulk b 001c kor
020 ▼a 9791160686081 ▼g 93900
035 ▼a (KERIS)BIB000015957325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0.95193 ▼2 23
085 ▼a 320.9539 ▼2 DDCK
090 ▼a 320.9539 ▼b 2021z9
100 1 ▼a 곽채원, ▼g 郭彩瑗
245 1 0 ▼a 왜 북한의 청년은 체제에 순응했는가 : ▼b 조선민주청년동맹과 당의 통치 1945~1964 / ▼d 곽채원 저
260 ▼a 서울 : ▼b 선인, ▼c 2021
300 ▼a 422 p. ; ▼c 24 cm
490 1 0 ▼a 현대사총서 ; ▼v 063
504 ▼a 참고문헌(p. [397]-416)과 색인수록
830 0 ▼a 현대사총서 (선인) ; ▼v 06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9539 2021z9 등록번호 1118564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해방 이후 북한 지역에 당과 국가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청년들이 새로운 체제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했는지, 어떻게 체제에 적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다. 북한의 로동당은 사회주의 체제의 중요한 단체인 ‘청년동맹’을 조직함으로써, 당이 모든 청년들을 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해방 이후로부터 청년동맹 제5차 대회가 열렸던 1964년 무렵까지 이러한 시스템의 원형이 형성되었다.

변화의 시기마다 로동당은 청년동맹 대회를 개최해 조직을 개편하거나 명칭을 바꾸고, 당의 메시지를 전해 청년들의 결속과 통제를 도모해 왔다. 전 청년을 아우르는 청년동맹은 체제를 유지하고 지도자의 자리가 세습되는데 상징적, 실질적 역할을 해왔다. 북한의 청년은 체제를 계승하는 주체로서 ‘계승자’인 동시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통제의 대상’으로서의 이중적 의미를 가지는 매우 중요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북한 지역에 당과 국가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청년들이 새로운 체제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했는지, 어떻게 체제에 적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입니다. 북한의 로동당은 사회주의 체제의 중요한 단체인 ‘청년동맹’을 조직함으로써, 당이 모든 청년들을 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해방 이후로부터 청년동맹 제5차 대회가 열렸던 1964년 무렵까지 이러한 시스템의 원형이 형성되었습니다. 변화의 시기마다 로동당은 청년동맹 대회를 개최해 조직을 개편하거나 명칭을 바꾸고, 당의 메시지를 전해 청년들의 결속과 통제를 도모해 왔습니다. 전 청년을 아우르는 청년동맹은 체제를 유지하고 지도자의 자리가 세습되는데 상징적, 실질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북한의 청년은 체제를 계승하는 주체로서 ‘계승자’인 동시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통제의 대상’으로서의 이중적 의미를 가지는 매우 중요한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청년동맹은 소련의 청년조직인 콤소몰을 원형으로서 차용했습니다. 책의 2장에서 콤소몰 조직과 역사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책을 내면서 中)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곽채원(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언론정보대학원에서 광고홍보학·런던정경대(LSE)에서 Social and Public Communication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2010년 중앙일보에서 근무했으며, 2014년 북한대학교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북한 역사 및 한반도 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연구물로는 박사학위논문 「조선민주청년동맹연구: 당적 지도의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논문 「북한 청년동맹의 초기 성격 연구 (1946∼1948)」, 「조선민주청년동맹의 결성 배경 연구」, 저서로 『북한특강2020: 과거와 미래』(공저)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자료

제2장 북한 청년조직의 모델과 정당화 논리
제1절 사회주의 체제 청년조직의 모델로서 소련 콤소몰의 사례
1. 콤소몰에 대한 레닌과 스탈린의 입장
2. 사회주의 체제 형성 시기 콤소몰의 역사적 경험
제2절 북한 청년조직 결성의 정당화 논리
1. 혁명단계론적 측면
2. 인전대론적 측면

제3장 청년조직의 결성 및 당과의 관계 형성: 1945년 8월~1948년 10월
제1절 북조선민주청년동맹의 결성과정
1. 북조선민청 결성의 준비
2. 북조선민청 결성과 초기 조직
3. 북조선민청의 조직운영과 인적 특성
제2절 북조선민청과 북로당의 관계
1. 결성 초기 북조선민청의 성격
2. 사회단체 지도에 대한 당내 이견
3. 사회 및 군대 민청단체에 대한 당의 이원적 지도
제3절 북조선민청의 역할
1. 정권 수립 지원
2. 사회개혁 지원

제4장 청년조직의 확대·개편 및 당 지도의 강화: 1948년 11월~1956년 10월
제1절 민청 조직의 개편 및 인적 구성 변화
1. 민청의 조직 개편
2. 민청의 인적 구성
제2절 사회 및 군대 민청단체에 대한 당의 지도
1. 사회 민청단체에 대한 당 지도 제도화 준비
2. 군대 민청단체에 대한 당 지도의 제도화
제3절 민청의 역할
1. 전쟁수행 및 전후 복구 지원
2. 사회주의적 개조 지원: 농업집단화에 기여

제5장 청년조직의 강화 및 당 지도의 제도화: 1956년 11월~1964년 5월
제1절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의 의미
제2절 민청의 조직·사상적 강화 및 인적 구성 변화
1. 민청의 조직적 강화
2. 민청의 사상적 강화
3. 민청의 인적 구성 변화
제3절 민청에 대한 당 지도의 제도화
1. 규약을 통한 당 지도체계의 제도화
2. 당의 전위적 근로단체로 등장
3.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으로 개편의 의의
제4절 당의 전위적 근로단체로서의 역할
1. 사상교양
2. 후비대
3. 사회주의 경제 건설의 노동력 동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Arneil, Barbara (2023)
Negri, Antonio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