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498 | |
005 | 20220211095418 | |
007 | ta | |
008 | 220104s202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5113607 ▼g 03190 | |
035 | ▼a (KERIS)BIB000015912645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791.44028 ▼2 23 |
085 | ▼a 791.44028 ▼2 DDCK | |
090 | ▼a 791.44028 ▼b 2021 | |
100 | 1 | ▼a 이숲오 |
245 | 1 0 | ▼a 성우의 언어 = ▼x Description for voice art : ▼b 성우를 만드는 22가지 질문들 / ▼d 글: 이숲오 ; ▼e 일러스트: Bona |
260 | ▼a 서울 : ▼b 시간의물레, ▼c 2021 | |
300 | ▼a 150 p. : ▼b 삽화 ; ▼c 19 cm | |
504 | ▼a 참고문헌: p. [149] | |
650 | 8 | ▼a 성우[聲優] |
700 | 0 | ▼a Bona, ▼e 일러스트 |
900 | 0 0 | ▼a 보나, ▼e 일러스트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4028 2021 | Accession No. 1513579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성우연기의 고급기술을 다룬 것이라기보다는 성우연기의 철학적 의미나 인문학적 문제 제기를 함께 던져놓고 함께 고민해 보자는 취지가 더 크다. 성우의 광활한 영역을 협소하게 정의하는 것을 경계하고 성우언어의 가능성과 확장성을 다각도로 살피고 고찰해 대중과 이야기하고자 한다.
성우들이 표현하는 말하기 매력의 비밀에 대한 22가지 중요한 화두를 소개한다.
이 책은 성우연기의 고급기술을 다룬 것이라기보다는 성우연기의 철학적 의미나 인문학적 문제 제기를 함께 던져놓고 함께 고민해 보자는 취지가 더 크다. 성우의 광활한 영역을 협소하게 정의하는 것을 경계하고 성우언어의 가능성과 확장성을 다각도로 살피고 고찰해 대중과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책을 구성하는 문장들은 저자가 함부로 단정 짓는 주장이나 가설이 아닌 성우언어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정중하게 내미는 질문들의 나열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숲오(지은이)
목소리예술연구소 대표. 보이스 아트 디렉터.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지만, 기계의 언어인 C언어보다 詩언어와 같은 인간의 언어와 말에 매료되어 보이스 아티스트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보이스 아트 트레이닝을 비롯해 시 낭송가 지도, 시각장애인 녹음봉사자 교육, 중고교 읽기 강연, 더 나은 말하기를 위한 읽기 교실 등 일반인들이 성우라는 가장 예술적인 말하기도구를 통해 누구나 쉽고 친근하게 화술에 접목시키는 대중 강의와 저술 활동에 스무 해 넘게 몰두해 오고 있으며, 대학원에서 성우언어를 타 예술 분야와 통섭, 융합하는 시도와 함께 학문으로서의 가치 탐구, 구축에 힘쓰고 있다.

Table of Contents
■ 추천하는 글 / 시인 정현종
■ 책으로 묶으며
■ 프롤로그
제1부 성우는 언어에 무엇을 담아 내는가
- 호흡의 신세, 상상의 지원
- 성우의 시선
- 여백연기
- 호흡의 근거
- 움직이는 이미지
- 이미테이션이 아닌 미메시스
제2부 성우는 텍스트를 어떻게 다루는가
- 의미전달능력
- 대상의 존재감
- 대상으로서의 사물
- 중심 감정과 세부 감정
- 기억과 기대 사이... 그 어디엔가
- 텍스트에서의 문장구조
- HOW가 아닌 WHY
- 캐릭터의 설계도
- 장소와 공간감
- 아름다운 긴장
제3부 성우의 언어는 어디까지 꿈꾸는가
- 사실적 연기, 진실의 언어
- 감정보다 감성
- 목소리 디자인
- 성우와 스타일
- 성우의 테크닉
- 마인드 다층화
■ 세상에 풀며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