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390 | |
005 | 20220120140922 | |
007 | ta | |
008 | 220104s2021 ulkacd b 000c kor | |
020 | ▼a 9791155580974 ▼g 13800 | |
035 | ▼a (KERIS)BIB000015897927 | |
040 | ▼a 211028 ▼c 211028 ▼d 221008 ▼d 211009 | |
082 | 0 4 | ▼a 808 ▼2 23 |
085 | ▼a 808 ▼2 DDCK | |
090 | ▼a 808 ▼b 2021z17 | |
100 | 1 | ▼a 이상혁 |
245 | 2 0 | ▼a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Dr. LEE의 논리적 글쓰기 = ▼x Logical writing / ▼d 이상혁 지음 |
246 | 3 | ▼a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닥터 리의 논리적 글쓰기 |
260 | ▼a 서울 : ▼b 연암사, ▼c 2021 | |
300 | ▼a 280 p. : ▼b 삽화, 초상화(또는 인물사진), 도표 ; ▼c 21 cm | |
504 | ▼a 참고문헌: p. 268-272 | |
650 | 8 | ▼a 글쓰기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08 2021z17 | 등록번호 1513577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직선적 사고패턴을 적용한 논리적 글쓰기의 체계적 방법론을 쉽게, 그러나 정확하게 독자에게 전달한다. 저자는 자신의 저서에도 방법론을 적용한다.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 전에, 아무 곳이나 펼쳐서 한 문단이 몇 줄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열한 줄일 것이다. 이는 저자가 책에서 설명한 방법론 중 ‘5-문단 에세이 형식’을 철저히 지키고 있음을 증명한다.
책 한 권이 하나의 예시로서 작용하는 셈이다. 우리는 이 책에서 방법론의 체계를 먼저 이해한 뒤에, 저자와 함께 논리적 글쓰기를 직접 실행에 옮겨보고, 완성된 글을 분석해보기도 할 것이다. 그렇게 책을 따라 일련의 단계를 밟아나가다 보면 논리적 글쓰기의 필요와 매력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나아가 꾸준히 연습한다면 더는 논리적 글쓰기가 우리에게 불편하게 다가오지 않으리라 예상한다. 그리고 결국에는 각 분기점마다에서 우리가 원하는 방향과 가까운 쪽으로 핸들을 틀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의 사고패턴으로는 논리적 글쓰기가 어렵다?
그래서 쉽게, 그러나 정확하게 정리한 논리적 글쓰기의 체계적 방법론
우리 인생의 몇몇 분기점들을 잘 살펴보면 거기에는 자주 ‘논리적 글쓰기’가 끼어 들어있다. 대학입시를 위한 논술시험, 입학사정관의 눈에 띄기 위한 자기소개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한 서술형 답안, 채용담당자에게 선택되기 위한 입사지원서, 연구를 증명하는 논문, 책임을 줄이기 위한 사유서나 탄원서, 투자 유치를 위한 사업계획서, 심지어는 연인의 마음을 얻기 위한 편지까지도 논리적 글에 해당한다. 각 분기점에서 논리적 글쓰기가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에 인생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논리적인 글이 중요한 이유는 논리가 ‘설득의 출발이자 핵심’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언어라는 수단을 통해 생각, 감정, 정보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그럼으로써 사회적 협력과 연대를 맺고, 서로에게 영향력을 끼친다. 이때 중점적으로 사용되는 언어활동을 바로 ‘설득’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우리는 설득이라는 활동을 ‘한 편의 논리적인 글’로 완성해내야 할 때면 이상스럽게도 불편한 감정에 맞닥뜨리고 만다. 이는 개인적인 문제라기보다, 한국어와 동양문화를 습득해온 우리의 사고패턴 때문이다. 한국어의 어순은 마지막에 결론을 말하게 되어 있고, 겸양을 중시하는 동양문화는 에둘러 말하기를 미덕으로 여긴다. 따라서 결론을 먼저 말하며 자기 의견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논리적 글쓰기’가 어색하고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는 우리에게 익숙한 방법을 고수하며 단순히 글쓰기를 여러 번 반복 수행하는 일만으로는 ‘설득의 출발이자 핵심’인 ‘논리’에 도달하기 어렵다. 논리적 글쓰기의 방법론을 정확히 이해하고 꾸준히 연습해야만 ‘한 편의 논리적인 글’을 써낼 수 있다.
『닥터리의 논리적 글쓰기』는 직선적 사고패턴을 적용한 논리적 글쓰기의 체계적 방법론을 쉽게, 그러나 정확하게 독자에게 전달한다. 저자는 자신의 저서에도 방법론을 적용한다.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 전에, 아무 곳이나 펼쳐서 한 문단이 몇 줄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열한 줄일 것이다. 이는 저자가 책에서 설명한 방법론 중 ‘5-문단 에세이 형식’을 철저히 지키고 있음을 증명한다. 책 한 권이 하나의 예시로서 작용하는 셈이다. 우리는 이 책에서 방법론의 체계를 먼저 이해한 뒤에, 저자와 함께 논리적 글쓰기를 직접 실행에 옮겨보고, 완성된 글을 분석해보기도 할 것이다. 그렇게 책을 따라 일련의 단계를 밟아나가다 보면 논리적 글쓰기의 필요와 매력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나아가 꾸준히 연습한다면 더는 논리적 글쓰기가 우리에게 불편하게 다가오지 않으리라 예상한다. 그리고 결국에는 각 분기점마다에서 우리가 원하는 방향과 가까운 쪽으로 핸들을 틀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상혁(지은이)
고려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법학과에서 국제법(국제경제법) 석사 및 박사학위를 그리고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McCombs School of Business에서 MBA를 취득했다. 고려대 법학연구원에서 WTO 관련 연구를 통해 외교통상부·산업자원부 등 각 정부 부처의 WTO 관련 연구용역에 다수 참여했고, 고려대·대진대·광운대·성신여대 등에서 국제법을 강의했으며, 영어 교육 및 출판 업무를 주로 하는 (주) KP Global Edu.와 (주) KP Publisher를 설립하여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국제분쟁의 우호적 해결을 목표로 설립된 국제조정센터(KIMC.seoul.kr)의 이사로서 협상 및 조정 관련 강의와 저술 활동에 참여 중이며, 연구·출판·강연 등을 통해 자유라는 가치를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자 설립된 연구공간 자유의 대표로서 자유·논리·영어·교육·분쟁 등 인문·사회과학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책을 집필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내 인생의 마지막 영어 문법: 단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영어 문장 만들기』, 『Eco-Taxes and the WTO』, 『영어 프레젠테이션 절대 공식』, 『Dr. LEE의 오류와 편향을 넘어선 논증』, 『Dr. LEE의 논리적 글쓰기』, 『Dr. LEE의 똑똑영어: 똑바로 이해하고 똑바로 실천하는 영어 공부』, 『Dr. LEE의 용어로 풀어보는 글로벌 이슈』 제1권 및 제2권, 『Dr. LEE의 ‘영어’로 대학가기』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_ 7
뒷담화, 언어, 그리고 사회적 협력 _ 11
제1장 논리적 글쓰기의 기초
1.1. 논리! 설득의 핵심 _ 21
1.2. 추상적 ‘생각’과 구체적 ‘표현’ _ 25
1.3. 영어능력의 발전단계 _ 31
1.4. 주관적 ‘의견’과 객관적 ‘사실’ _ 35
1.5. 논리능력의 3가지 측면 _ 41
제2장 논리적 글쓰기의 5단계
2.1. 이해하기 _ 49
2.2. 브레인스토밍하기 _ 57
2.3. 개요짜기 _ 63
2.4. 글쓰기 _ 69
2.5. 검토하기 _ 77
제3장 논리적 글쓰기의 형식
3.1. 5-문단 에세이 _ 87
3.2. 제목과 연결어 _ 93
3.3. 서론 _ 101
3.4. 본론 _ 105
3.5. 결론 _ 109
제4장 논리적 글쓰기의 본질
4.1. 논리적 흐름 _ 117
4.2. 연관성 평가 _ 123
4.3. 논증성 평가 _ 129
4.4. 균형성 평가 _ 135
4.5. ‘더와 덜’의 게임 _ 141
제5장 더 좋은 평가를 위한 5가지 질문
5.1. 얼마나 주관적인가? _ 149
5.2. 얼마나 일관적인가? _ 155
5.3. 얼마나 정확한가? _ 161
5.4. 얼마나 독창적인가? _ 167
5.5. 얼마나 간결한가? _ 173
제6장 논리적 글쓰기의 응용
6.1. 무격, 격, 그리고 파격 _ 183
6.2. 면접 _ 187
6.3. 단락을 활용한 논리적 글쓰기 _ 195
6.4. 논문쓰기 _ 203
6.5. 책쓰기 _ 211
제7장 논증 훈련의 5단계
7.1. 개념정의 _ 219
7.2. 논쟁 (충돌하는 의견) _ 225
7.3. (각 의견의) 근거 _ 231
7.4. 나의 의견 _ 237
7.5. 나의 근거 _ 241
논증과 논리적 오류 _ 247
맺으며 _ 253
주요 용어 _ 258
도표, 예시, 지문 _ 264
참고 문헌 _ 268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