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블루노트 컬렉터를 위한 지침

블루노트 컬렉터를 위한 지침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小川隆夫, 1950- 방우현, 역
Title Statement
블루노트 컬렉터를 위한 지침 = Blue note collector's guide / 오가와 다카오 지음 ; 방우현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트 :   goat,   2021  
Physical Medium
360 p. : 삽화 ; 21 cm
Varied Title
ブルーノート・コレクターズ・ガイド (改訂版)
ISBN
979118951916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3340
005 20230607090757
007 ta
008 220104s2021 ulka 000c kor
020 ▼a 9791189519162 ▼g 03670
035 ▼a (KERIS)BIB000015937159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781.65 ▼2 23
085 ▼a 781.65 ▼2 DDCK
090 ▼a 781.65 ▼b 2021z1
100 1 ▼a 小川隆夫, ▼d 1950-
245 1 0 ▼a 블루노트 컬렉터를 위한 지침 = ▼x Blue note collector's guide / ▼d 오가와 다카오 지음 ; ▼e 방우현 옮김
246 1 9 ▼a ブルーノート・コレクターズ・ガイド ▼g (改訂版)
246 3 ▼a Burū nōto korekutāzu gaido
260 ▼a 서울 : ▼b 고트 : ▼b goat, ▼c 2021
300 ▼a 360 p. : ▼b 삽화 ; ▼c 21 cm
700 1 ▼a 방우현, ▼e
900 1 0 ▼a 오가와 다카오, ▼e
900 1 0 ▼a Ogawa, Takao,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5 2021z1 Accession No. 1118809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65 2021z1 Accession No. 15135765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5 2021z1 Accession No. 1118809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65 2021z1 Accession No. 15135765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블루노트가 있었기에 ECM이 있다”라는 평가를 듣는 재즈 전문 레이블 블루노트는 1939년 시작되었다. 독일 이민자 둘이 시작한 전형적인 인디 레이블이었던 블루노트는, 흑인 뮤지션이 직접 장식하는 표지, 스튜디오의 현장감이 묻어나는 레코딩, 빛나는 스타들의 데뷔작을 선보이면서, ‘타협하지 않는 목소리’란 별명을 얻으며 수많은 마니아들을 양산하였다.

이 책은 블루노트를 만드는 우당탕탕 창업 스토리도, 존 콜트레인이나 마일스 데이비스의 쿨한 현대적 신화도 아닌, 1939년 시작된 블루노트의 모든 음반을 다 모은 극성스러운 컬렉터의 수기다. 유치하며 미시적이고 엘리트적이거나 오타쿠적인, 결국은 편집하기 까다로운 세계. 이 책에는 라벨에 프린트된 주소가 뉴욕인지 뉴저지인지 레코드에 깊은 홈이 있는지 없는지 재킷이 코팅은 되어 있는지 안 되어 있는지 하는 사소한 논쟁이 가득하다.

한국어판 역시 컬렉션의 대상이 되도록 만듦새에 심혈을 기울였다. 직접 음반을 수집하고 사입하고 판매하는 레코드숍 운영자의 번역은 미끈하기보다는 겸손하고도 친절하며, 본문은 재즈처럼 흘러가도록 여러 서체를 쓰되 어우러지게, 무엇보다 뮤지션과 음반 타이틀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디자인했다.

1939년 탄생한 재즈의 명문 블루노트, 완전정복!
블루노트의 천여 장 음반을 손에 넣기까지의 세심한 컬렉터의 과감한 모험들,
한 장의 LP에서 시작된 재즈 인생, 그 리드미컬한 에피소드와 컬렉션의 팁을 내놓다


“블루노트가 있었기에 ECM이 있다”라는 평가를 듣는 재즈 전문 레이블 블루노트는 1939년 시작되었다. 독일 이민자 둘이 시작한 전형적인 인디 레이블이었던 블루노트는, 흑인 뮤지션이 직접 장식하는 표지, 스튜디오의 현장감이 묻어나는 레코딩, 빛나는 스타들의 데뷔작을 선보이면서, ‘타협하지 않는 목소리’란 별명을 얻으며 수많은 마니아들을 양산한다. 바다 건너 도쿄, 아이비룩에 심취했던 한 청년은 블루노트는 어느 작품이나 같은 사운드를 낸다는 사실, 고가의 스테레오 장비로 들은 것도 아닌데 거친 사운드가 전해진다는 점을 깨닫고, 이왕 재즈에 입문할 거라면 블루노트를 한 장도 빠짐없이 다 모아보자고 다짐한다. 그것이 1973년. 블루노트의 컴플리트 컬렉션은 그렇게 14년 뒤인 1987년 6월 21일, 일차적인 목표에 도달했다. 일차적이라 표현하는 이유는, 21세기인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이 컬렉터가 컨디션 업그레이드를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컬렉션에는 끝이 없다.

이 책은 블루노트를 만드는 우당탕탕 창업 스토리도, 존 콜트레인이나 마일스 데이비스의 쿨한 현대적 신화도 아닌, 1939년 시작된 블루노트의 모든 음반을 다 모은 극성스러운 컬렉터의 수기다. 유치하며 미시적이고 엘리트적이거나 오타쿠적인, 결국은 편집하기 까다로운 세계. 예상하셨겠지만, 이 책에는 라벨에 프린트된 주소가 뉴욕인지 뉴저지인지 레코드에 깊은 홈이 있는지 없는지 재킷이 코팅은 되어 있는지 안 되어 있는지 하는 사소한 논쟁이 가득하다. 다만 그루브가드니 이어 심볼이니 RVG 각인이니 찾는 컬렉터라는 이들은, 이 표면이 아니라, 표면에 기록되고, 그러다 표면을 넘어선 ‘소리’를 구한다. 이 책을 쓴 오가와는 컴플리트컬렉션을 달성하기까지 지하와 지상을 가리지 않고 중고 매장을 들락거렸고, 바다를 건너고, 언어를 배우고, 친구를 사귀고, 돈을 쓰고, 시간을 썼다. 재즈를 찾는 데 생을 할애한 거다. 그랬더니 이번엔 다른 이들이 오가와를 찾는다. 오리지널을 가려달라고, 재킷을 빌려달라고, 글을 써달라고, 숍 가이드를 해달라고… 이번엔 재즈가 그를 찾아왔다. 그가 찾은 것이 그를 찾았다는 이야기… 철저하고 성실한 수용자는 또 하나의 창작자이자 생산자가 되어, 여전히 컬렉션의 길을 걷는다.

『블루노트 컬렉터를 위한 지침』 한국어판 역시 컬렉션의 대상이 되도록 만듦새에 심혈을 기울였다. 직접 음반을 수집하고 사입하고 판매하는 레코드숍 운영자의 번역은 미끈하기보다는 겸손하고도 친절하며, 본문은 재즈처럼 흘러가도록 여러 서체를 쓰되 어우러지게, 무엇보다 뮤지션과 음반 타이틀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디자인했다. 컬렉션은 어느 정도까지 자신의 의지로 되지만, ‘완성’을 위해서는 ‘우정’이 요구된다. 이 책 역시 마찬가지. 출판사 나름의 노력과 의지로 선보이는 이 책이 ‘완성’되는 것은, 독자인 당신이 읽어주셨을 때다.

저자소개
기획 김태웅: 출판을 바탕으로 바라는 문화, 살고 싶은 방식을 쪽프레스와 고트로 표현한다.
편집 김미래: 기획/인터뷰/브랜딩 등 경계 없이 일하지만, 그 중심에는 쪽프레스와 고트가 있다.
김태웅:쪽프레스와 고트를 운영한다.
디자인 이기준: 그래픽디자이너이자 작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오가와 다카오(지은이)

1950년 도쿄에서 나고, 도쿄의과대학을 졸업했다. 뉴욕대학 대학원 유학 중에 아트 블래키, 호레이스 실버, 마살리스 형제 등 뮤지션들과 친분을 쌓았다. 외과의로 지내면서 재즈 평론가 겸 레코드 프로듀서, DJ 활동에 본업 이상으로 열을 올리고 있다. 1973년부터 수집한 블루노트 컬렉션을 1987년 완성했다. 이에 감동한 블루노트의 설립자 알프레드 라이언에게서 블루노트 컴플리트컬렉터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맨해튼 재즈 카탈로그』, 『마일스 데이비스』, 『블루노트의 진실』을 썼다.

방우현(옮긴이)

일본영화학교에서 촬영조명을 공부하고, 촬영감독으로 지낸다. 「그리고 진흙배는 간다」(2013), 「칠일」(2015), 「풀사이드 맨」(2016), 「지구는 축제로 시끌벅적」(2017), 「보통은 달린다」(2018), 「외침」(2019) 등 와타나베 히로부미의 작품을 주로 맡아 작업했다. 영화만큼이나 음악이 좋아 서울 마포에 레코드숍 방레코드를 차린 뒤로,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며 생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블루노트의 유산
+ 블루노트 연표
2.컴플리트 컬렉터의 길
+ 컬렉터 십계명
3.나메카타 히토시와의 대화: 블루노트의 마력에 관하여
4.블루노트 레코드 리스트
+ 숍 가이드
+ 작업자의 말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