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3276 | |
005 | 20220105104335 | |
007 | ta | |
008 | 220104s2021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87857129 ▼g 04320 | |
020 | 1 | ▼a 9791187857112(세트) |
035 | ▼a (KERIS)BIB000015919308 | |
040 | ▼a 247023 ▼c 247023 ▼d 211009 | |
082 | 0 4 | ▼a 370.114 ▼2 23 |
085 | ▼a 370.114 ▼2 DDCK | |
090 | ▼a 370.114 ▼b 2021z1 | |
100 | 1 | ▼a 서진영, ▼d 1969- ▼0 AUTH(211009)45837 |
245 | 1 0 | ▼a 사자소학으로 배우는 인성교육 : ▼b 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랍니다 / ▼d 서진영 지음 |
260 | ▼a 서울 : ▼b 자의누리, ▼c 2021 | |
300 | ▼a 300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유경서원 시사고전 시리즈 ; ▼v 4 |
504 | ▼a 참고문헌: p.292-299 | |
650 | 8 | ▼a 인성 교육[人性敎育] |
650 | 8 | ▼a 사자 소학[四字小學] |
830 | 0 | ▼a 유경서원 시사고전 시리즈 ; ▼v 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0.114 2021z1 | 등록번호 1513575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자소학으로 배우는 인성교육]은 고전의 깊이는 그대로 전하면서도, 어려운 한자와 고어를 현대적인 언어로 쉽고 담백하게 풀어낸 것이 특징이다. 고전의 지혜를 얻고 싶지만 난해한 한자의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이들, 한자가 친숙하지 않은 젊은 세대에게는 무엇보다 반가운 책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가족 간의 문제나 친구 관계, 사회생활 등 보통 사람들이 살면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문제를 고전의 사례에 빗대어 설명해 이해와 흥미를 높인 것이 눈에 띈다.
특히 저자가 이 책을 통해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다. 저자는 “요즘 시대에는 우리 자녀를 가르칠 세종도, 퇴계도, 율곡도 없다. 즉, 부모가 자녀를 가르쳐야 하고, 자녀는 부모를 비추는 거울이다. 그러니 부모는 말에 앞서 행동으로 자녀에게 바람직한 삶의 본을 보이는 한편, 인생의 도리와 지혜를 알려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저자가 생각하는, 부모가 [소학]을 반드시 읽어야 하는 이유다.
‘인류 최고의 지식에서 답을 찾다!’
KBS [라디오 시사고전]이 전하는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미국의 소설가 토니 모리슨은 “우리는 미래가 무한하다고 생각하지만, 오랫동안 축적된 양으로 보자면 미래는 과거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즉,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과거를 되돌아보는 것이라는 뜻이다. 우리가 고전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명쾌한 답이 될 수 있다. 고전은 당대를 치열하게 살았던 현자들의 지식과 지혜가 담겨 있는 유산이자보고(寶庫)다.
그러나 흔히 고전은 어렵다는 선입견이 강하게 작용해서 쉽게 접근하기 꺼려지는 분야이기도 하다. 읽는 것도 수월하지 않지만,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더 어렵다. 난해한 한자로 쓰인 책이라면 그 어려움은 두 배가 된다. 그래서 고전은 몸에 좋지만 입에는 쓴 약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렇기에 고전을 쉽고 명쾌하게 알려주는 해설서는 가뭄의 단비와도 같다. 경영철학자이자 자의누리경영연구원을 운영하고 있는 서진영 박사의 [사자소학으로 배우는 인성교육]이 바로 그런 책이다.
[사자소학으로 배우는 인성교육]은 KBS 시사고전 시리즈 네 번째에 해당한다. 저자가 KBS1 라디오에서 인기리에 진행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 [라디오 시사고전]을 책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경영과 철학을 전공한 ‘경영철학자’인 저자는 방송 및 강연 활동을 통해 사회의 각 분야에 대해 효율적인 진단을 내리는 한편, 대안을 제시해온 바 있다.
특히 [라디오 시사고전]은 프로그램은 3분이 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우리의 일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한 줄의 고전에 빗대어 풀어내는 독특한 방식으로 청취자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책으로 만나는 [시사고전]은 귀로만 듣기에는 아쉬웠던 원문을 천천히 음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간 라디오를 들어온 애청자와 독자들에게 반가운 선물이다.
[사자소학으로 배우는 인성교육]은 [소학]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고전의 깊이는 그대로 전하면서도 어려운 한자와 고어를 현대적인 언어로 쉽고 담백하게 풀어낸 것이 특징이다. [소학]은 송나라의 학자 주자(朱子)가 1187년 8세 안팎의 아동들에게 유학을 가르치기 위해 자신의 제자 유자징(劉子澄)에게 편찬하도록 한 책이다. 인간이 지켜야 하는 도덕과 규범 등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사항이 집약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기부터 아동의 수양서로 널리 읽힌 바 있다.
저자는 “중국의 대표적인 고전 [대학(大學)]이 리더를 양성하는 책이라면, [소학]은 인간으로 살아가는 도리를 알려주는 책”이라고 설명한다. 무엇보다 시사와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담았으며, 그리고 그것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전달하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인류의 성찰과 경험이 두루 담긴 고전의 지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더없이 좋은 선물이 되지 않을까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Chapter 1 朋友(붕우) - 친구와 잘지내기
01. 혼밥말고 같밥하자
02. 친구와 함께 하는 공부, ‘좋아요’
03. 스스로 완전한 친구가 되어라
04. 멀리해야 할 친구도 있다
05. 우리 함께 쑥 말고 삼같이
06. 나와 내 친구는 무슨 색인가?
07. 좋은 이웃이 있는 곳의 집값이 오른다
08. 어렵지만 꼭 필요한 친구 간의 충고
09. 나쁜 친구 구별법
10. 쓴 충고가 약이 된다
11. 잘못을 알면 빨리 고치면 된다
12. 하나부터 열까지 다 너를 위한 소리야
Chapter 2 敬長(경장) - 어른 공경하기
01. 어린이는 사랑받고 어른이는 공경받고
02. 어른앞에서 공손하기?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03. 친구의 가족을 나의 가족처럼
04. 손님, 있을때 잘해 후회하지 말고
Chapter 3 兄弟(형제) - 형제간에 잘지내기
01. 형제자매가 있다는 건 행운
02. 형제의 화합이 최고의 효도다
03. 형제끼리 다닐 때는 기러기 날 듯 걸어가라
04. 형제의 싸움을 말리는 6단계 방법
05. 동생의 잘못은 형이 덮어주어라
06. 사이 좋은 형제를 만드는 육아법
Chapter 4 孝行(효행) - 어버이 은혜를 감사하라
01. 부모님의 은혜는 하늘과 땅 같으니
02. 어머니의 은혜와 사랑은 다 갚을 수 없다
03. 까마귀의 반포지효
04. 훗날 부모님의 지팡이가 되어드리자
05. 일상 속에서 효도 하는 법
06. 부모님이 부르시면 바로 달려가야 하는 이유
07. 부모님께 응대하는 법
08. 나갈때는 목소리로, 돌아오면 얼굴로
09. 제대로 걷자
10. 공공장소에서 매너를 지키자
11. 맛있는 것은 부모님께 먼저 드리자
12. 옷과 음식은 부모님 것이 먼저다
13. 내 몸을 소중히 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
14. 최고의 효도는 잘 사는 것
15. 조상이 안 계셨다면 나도 없다
Chapter 5 師弟(사제) - 좋은 스승을 만나는 법
01. 선생님을 부모님과 같이 공경하라
02. 일찍 일어나는 사람이 내일의 주인공이 된다
03. 글씨 쓸때는 천천히, 바르게
04. 좋은 스승과 좋은 제자의 컬래버레이션
Chapter 6 修身(수신) - 나를 바르게 하는 법
01. 하늘의 사계절과 사물의 질서
02. 사계절을 닮은 사람의 덕
03. 서울의 사대문, 인의예지의 상징
04. 욕심을 이겨라
05. 공자가 하지 말라고 한 4가지
06. 공자가 제시한 인간관계 꿀팁
07. 정도를 걸어라
08. 예의는 형식보다 마음이 중요하다
09. 허례허식 말고 진짜 예의를 갖추자
10. 엘리자베스 여왕이 손 씻는 물을 마신 이유
11. 아무것도 모른다고 말한 소크라테스
12. 부모와 자식이 친해야 사회가 편안하다
13. 신숙주에게 자신의 어의를 덮어준 세종
14. 부부 사이에도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15. 나이만 많은 사람은 장유유서를 외칠 수 없다
16. 노인을 편안히 해드려야 한다
17. 젊은이는 사랑으로 품어야 한다
18. 친구끼리는 믿어야지
19. 삼강오륜
20. 리더는 굵은 동아줄이 되어야 한다
21. 아이들은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
22. 부부는 서로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23. 변치 않는 마음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 부부
24. 부부의 역할은 달라도 마음은 하나
25. 블링크와 구용(九容)
26. 구용의 9가지 자세
27. 군자가 가져야 할 아홉가지 생각
28. 행동은 바르게, 말은 미덥게
29. 용모는 단정히, 옷차림은 바르게
30. 군자는 막말하지 않는다
31. 아이에게는 항상 진실되게 대하라
32. 안창호 선생도 강조한 ‘신뢰’
33. 약간 부족하게 먹어라
34. 향약의 정신
35. 친척은 서로 도와야지
36. 수신제가 치국지본
37. 책을 읽어야 복이 온다
38. 제자 자공이 공자님을 평가하기를
39. 자상해야 효도 받는다
40. 겸손해야 살아남는다
41.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42. 겸손해야 친구가 생긴다
43. 겸손보다 한 수 높은 겸허
44. 누구 흉도 보지마라
45. 기소불욕 물시어인
46.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최부자집
47. 뿌린대로 거둔다
Chapter 7 齊家(제가) - 좋은 가정을 이루는 법
01. 당신은 나의 동반자, 영원히 공경하리
02. 부부라는 이어달리기 종목
03. 친척은 서로의 안전망
04. 가화만사성
05. 자식에게 꼭 가르쳐야 할 4가지
Chapter 8 忠孝(충효) - 나라사랑 부모사랑
01. 열심히 배워서 나라를 위해 힘쓰자
02. 나랏일하는 사람들이 자꾸만 까먹는 것들
03. 인륜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충과 효
04. 부모를 섬김에 온 힘을 다하라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