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축 :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을 위한 아키텍처, 프로토콜, 도구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Dutt, Dinesh G. 정기훈, 역
서명 / 저자사항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축 :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을 위한 아키텍처, 프로토콜, 도구 / 디네시 G. 더트 지음 ; 정기훈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빛미디어,   2021  
형태사항
564 p. : 삽화 ; 24 cm
원표제
Cloud native data center networking : architecture, protocols, and tools
ISBN
9791162244586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loud computing Computer network architectur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science)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3184
005 20220106155204
007 ta
008 220104s2021 ulka b 001c kor
020 ▼a 9791162244586 ▼g 93000
035 ▼a (KERIS)BIB000015910749
040 ▼a 247017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04.6782 ▼2 23
085 ▼a 004.6782 ▼2 DDCK
090 ▼a 004.6782 ▼b 2021z3
100 1 ▼a Dutt, Dinesh G.
245 1 0 ▼a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축 : ▼b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을 위한 아키텍처, 프로토콜, 도구 / ▼d 디네시 G. 더트 지음 ; ▼e 정기훈 옮김
246 1 9 ▼a Cloud native data center networking : ▼b architecture, protocols, and tools
260 ▼a 서울 : ▼b 한빛미디어, ▼c 2021
300 ▼a 564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Cloud computing
650 0 ▼a Computer network architectures
650 0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science)
700 1 ▼a 정기훈, ▼e
900 1 0 ▼a 더트, 디네시 G.,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6782 2021z3 등록번호 1212588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6782 2021z3 등록번호 52100671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7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모던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에 대해 학습하고 구축 및 검증하는 방법을 다룬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환경에서 견고하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설계 방법을 소개한다.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아키텍처와 프로토콜에 관한 이론부터 FRR, 앤서블 등 다양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용적인 예제까지 살펴본다. 개방형 네트워킹에 관심이 많거나 데이터 센터의 이론이 데이터 센터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한 모든 이에게 훌륭한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클라우드 네트워킹 전문가가 쉽게 알려주는 실무 기법

이 책은 모던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에 대해 학습하고 구축 및 검증하는 방법을 다룬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환경에서 견고하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설계 방법을 소개한다.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아키텍처와 프로토콜에 관한 이론부터 FRR, 앤서블 등 다양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용적인 예제까지 살펴본다. 개방형 네트워킹에 관심이 많거나 데이터 센터의 이론이 데이터 센터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한 모든 이에게 훌륭한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를 만들고
운영하기 위한 아키텍처부터 프로토콜과 실전 기술까지!


가상화, 클라우드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환경 속에서도 네트워크를 현명하게 구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강건하고 민첩하게 만들 수 있도록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 지식을 쌓아야 합니다.

이 책은 리눅스의 여러 네트워킹 도구를 십분 활용하여 고수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자동화로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유연하고 신뢰 가능한 클로스 토폴로지를 소개하고, 이 토폴로지로 구축에 필요한 디자인 개념, 라우팅,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가상화, 구성 및 검증 자동화 등 방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공급자, 스위칭, 라우팅, 다양한 기능에 대한 어려운 개념을 저자의 폭넓은 경험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BGP, EVPN, VxLAN 개발에서 모든 것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줍니다.

이 책 한 권이면 복잡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 개념을 뒷받침하는 훌륭한 예제와 친절한 설명으로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 구축 준비를 마칠 수 있습니다. 이 실전 가이드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고도화를 위한 기술을 익혀보길 바랍니다.

주요 내용
● 클로스 토폴로지
● 네트워크 분리
● 네트워크 운영체제 선정
● 라우팅 프로토콜 선정
● 컨테이너 네트워킹
● 네트워크 가상화와 EVPN
● 네트워크 자동화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디네시 G. 더트(지은이)

20년 동안 시스코 시스템즈에서 시스코 대형 스위치에 탑재된 많은 ASIC을 디자인하는 등 엔터프라이즈와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 기술과 관련된 일을 했다. 최근에는 큐물러스 네트웍스의 수석 과학자로 일하고 있다.

정기훈(옮긴이)

삼성 소프트웨어 센터(현 삼성 리서치)를 거쳐 현재는 카카오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핵심 계층인 IaaS와 PaaS 제품 리딩과 신기술 연구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과 환경을 경험하면서 만나는 대규모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를 즐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CHAPTER 1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동기
1.1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의 혼합
1.2 지난 세기의 네트워크 디자인
1.3 액세스-애그리게이션-코어 네트워크 디자인의 문제점
1.4 못다 한 이야기
1.5 마치며

CHAPTER 2 클로스: 새로운 세상을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2.1 클로스 토폴로지 소개
2.2 클로스 토폴로지 심층 분석
2.3 클로스 토폴로지 확장
2.4 두 가지 3계층 모델 비교
2.5 클로스 토폴로지의 의미
2.6 클로스 네트워크의 모범 사례
2.7 호스트 연결 모델
2.8 마치며
2.9 참고문헌

CHAPTER 3 네트워크 분리
3.1 네트워크 분리란
3.2 네트워크 분리의 중요성
3.3 오늘날 네트워크 분리가 가능해진 이유
3.4 분리된 환경의 네트워크 운영 차이점
3.5 오픈 네트워크 설치 환경
3.6 네트워크 분리에서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업체
3.7 네트워크 분리의 일반적인 미신
3.8 네트워크 분리를 위한 엔지니어링 모범 사례
3.9 마치며
3.10 참고문헌

CHAPTER 4 네트워크 운영체제 선택
4.1 네트워크 장비 요구 사항
4.2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과 오픈플로의 부상
4.3 NOS 설계 모델
4.4 사용자 인터페이스
4.5 클라우드 네이티브 NOS 요구 사항에 따른 NOS 모델 비교
4.6 NOS가 해야 할 일
4.7 마치며
4.8 참고문헌

CHAPTER 5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
5.1 라우팅 개요
5.2 라우팅 프로토콜 개요
5.3 거리 벡터 프로토콜과 링크 상태 프로토콜
5.4 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 프로토콜 비교
5.5 클로스 네트워크의 라우팅 프로토콜
5.6 양방향 포워딩 감지
5.7 데이터 센터의 라우팅 프로토콜 요구 사항
5.8 네트워크에 맞는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
5.9 마치며
5.10 참고문헌

CHAPTER 6 네트워크 가상화
6.1 네트워크 가상화란
6.2 데이터 센터에서 네트워크 가상화 사용
6.3 데이터 트래픽에서 스위치 관리 네트워크 분리하기
6.4 네트워크 가상화 모델
6.5 네트워크 터널: 오버레이를 구축하는 기초
6.6 데이터 센터용 네트워크 가상화 솔루션
6.7 현실적인 가상 네트워크 수 제한
6.8 네트워크 가상화의 제어 프로토콜
6.9 공급 업체의 네트워크 가상화 지원
6.10 VXLAN 브리징과 라우팅
6.11 마치며

CHAPTER 7 컨테이너 네트워킹
7.1 컨테이너 소개
7.2 네임스페이스
7.3 가상 이더넷 인터페이스
7.4 컨테이너 네트워킹: 깊이 알아보기
7.5 다른 컨테이너 네트워크 솔루션의 비교
7.6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7.7 마치며

CHAPTER 8 멀티캐스트 라우팅
8.1 멀티캐스트 라우팅: 개요
8.2 멀티캐스트 라우팅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8.3 PIM 산재 모드
8.4 데이터 센터에서의 PIM-SM
8.5 마치며

CHAPTER 9 데이터 센터 에지에서의 삶
9.1 문제점
9.2 연결성 모델
9.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연결성
9.4 마치며

CHAPTER 10 네트워크 자동화
10.1 네트워크 자동화란
10.2 네트워크 자동화가 필요한 대상
10.3 자동화를 위해 프로그래밍 학습이 필요한가
10.4 네트워크 자동화가 어려운 이유
10.5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해 네트워크 개발자가 할 수 있는 일
10.6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도구
10.7 자동화 모범 사례
10.8 앤서블: 개요
10.9 일반적인 자동화 여정
10.10 설정 검증
10.11 마치며
10.12 참고문헌

CHAPTER 11 네트워크 관측성
11.1 관측성의 정의
11.2 네트워크 관측성 현황
11.3 네트워크에서 관측성이 어려운 이유
11.4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의 관측성: 특수한 성격
11.5 관측성 분해
11.6 텔레메트리 역학
11.7 다중 데이터 소스의 사용
11.8 경고 및 대시보드
11.9 마치며
11.10 참고문헌

CHAPTER 12 네트워크 디자인 재고
12.1 표준화된 단순한 구축 단위
12.2 장애: 나무를 보기 보단 숲을 봐라
12.3 보다 적은 것을 추구하자
12.4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디자인 원칙의 제약 사항
12.5 마치며

CHAPTER 13 OSPF 배치
13.1 왜 OSPF인가
13.2 해결해야 할 문제
13.3 OSPF 경로 유형
13.4 OSPF 타이머
13.5 OSPF 설정 해부
13.6 모범 사례
13.7 마치며

CHAPTER 14 데이터 센터에서의 BGP
14.1 기본 BGP 개념
14.2 데이터 센터에서 BGP 도입
14.3 마치며

CHAPTER 15 BGP 배치
15.1 핵심 BGP 구성 개념
15.2 2계층 클로스 토폴로지를 위한 IPv4의 전통적인 구성
15.3 피어 그룹
15.4 라우팅 정책
15.5 데이터 센터를 위한 좋은 기본값 제공
15.6 언넘버드 BGP: 성가신 인터페이스 IP 주소 제거
15.7 IPv6 구성
15.8 BGP와 VRF
15.9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BGP 스피커와의 피어링
15.10 BGP와 업그레이드
15.11 모범 사례
15.12 마치며

CHAPTER 16 데이터 센터에서의 EVPN
16.1 EVPN이 널리 쓰이는 이유
16.2 네트워크 가상화 제어 평면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16.3 VTEP의 위치
16.4 모든 것을 지배하는 하나의 프로토콜
16.5 가상 네트워크 경로를 지원하는 BGP 구축
16.6 EVPN과 브리징
16.7 이중 연결 호스트 지원
16.8 ARP/ND 억제
16.9 EVPN과 라우팅
16.10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EVPN 배치
16.11 마치며

CHAPTER 17 네트워크 가상화 배치
17.1 구성 시나리오
17.2 장치 로컬 구성
17.3 단일 eBGP 세션
17.4 OSPF 언더레이, iBGP 오버레이
17.5 호스트에서의 EVPN
17.6 모범 사례
17.7 마치며

CHAPTER 18 네트워크 구성 검증
18.1 네트워크 상태 검증
18.2 시스템 검증
18.3 케이블링 검증
18.4 인터페이스 구성 검증
18.5 라우팅 구성 검증
18.6 네트워크 가상화 검증
18.7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검증
18.8 데이터 평면 검증
18.9 마치며

CHAPTER 19 코다

관련분야 신착자료

Jones, Don (2023)
Barabási, Albert-László (2023)
Pasek, Ann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