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 해석문법의 체계와 적용

한국어 해석문법의 체계와 적용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은주, 鄭恩珠, 1982-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 해석문법의 체계와 적용 = A comprehensive system and application of Korean analytic grammar / 정은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하우,   2021  
형태사항
414 p. : 도표 ; 24 cm
ISBN
9791167480095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7-40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2944
005 20230508141947
007 ta
008 220103s2021 ulkd b 001c kor
020 ▼a 9791167480095 ▼g 93710
035 ▼a (KERIS)BIB000015941536
040 ▼a 243007 ▼c 243007 ▼d 211009
082 0 4 ▼a 495.75 ▼2 23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21z1
100 1 ▼a 정은주, ▼g 鄭恩珠, ▼d 1982- ▼0 AUTH(211009)150862
245 1 0 ▼a 한국어 해석문법의 체계와 적용 = ▼x A comprehensive system and application of Korean analytic grammar / ▼d 정은주 지음
246 3 1 ▼a Comprehensive system and application of Korean analytic grammar
260 ▼a 서울 : ▼b 하우, ▼c 2021
300 ▼a 414 p. : ▼b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97-409)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1z1 등록번호 1118562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1z1 등록번호 5110570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21z1 등록번호 151362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1z1 등록번호 1118562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1z1 등록번호 5110570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21z1 등록번호 151362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 문장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해석문법의 체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분석 체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문장 분석이 텍스트 분석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였다. 이를 위해 문장이 지니는 다양한 차원을 음운, 어휘, 통사, 화용의 네 가지 층위로 체계화한 문장 분석의 방법론을 완성하고 각 층위에서 추출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텍스트 전체의 언어적 속성을 규명하는 분석의 모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에 입각하여 운문 텍스트와 산문 텍스트, 한국어 교재 텍스트, 한국어 평가 텍스트, 한국어 학습자 작문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텍스트가 드러내는 언어적 속성을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텍스트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해 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장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해석문법의 체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분석 체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문장 분석이 텍스트 분석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였다. 이를 위해 문장이 지니는 다양한 차원을 음운, 어휘, 통사, 화용의 네 가지 층위로 체계화한 문장 분석의 방법론을 완성하고 각 층위에서 추출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텍스트 전체의 언어적 속성을 규명하는 분석의 모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에 입각하여 운문 텍스트와 산문 텍스트, 한국어 교재 텍스트, 한국어 평가 텍스트, 한국어 학습자 작문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텍스트가 드러내는 언어적 속성을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텍스트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해 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해석문법을 적용한 응용언어학적 연구의 성과물들은 여러 학술지의 게재 논문과 학위논문 등으로 현재도 꾸준히 생산되고 있다. 이들은 여러 분야의 다양한 연구 주제들을 섭렵하고 의미 있는 결과물들을 산출해 내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해석문법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적용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획되었으며 다음의 두 가지에 특히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는 언어의 네 가지 층위를 다루는 해석문법의 포괄적 연구방법론을 안착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이러한 연구방법론을 적용해 다양한 텍스트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해석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은주(지은이)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석사, 문학박사) 순천향대학교, 경기대학교 강사 역임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민대학교 강사 주요 논저 TOPIK 읽기 영역 지문의 난이도와 균질성에 관한 통사론적 접근(2009, 공동) 음운론적 복잡성과 다양성 측정 기제 연구: 음소 및 음절 차원에서(2017, 공동) 한국어 중급 문법 도입 담화 분석 연구: 담화 유형과 방해 요인을 중심으로(2018, 공동) 한국어 중급 문법 도입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연구: 스캐폴딩을 중심으로(2018, 공동) 『국민한국어 4』(2019, 공동) 지배적인 문형 분석을 통한 소설의 문체적 특성 연구(2019, 공동) 음운 분석과 어휘 분석을 통한 운문 텍스트의 언어적 속성 연구: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와 「진달래꽃」을 대상으로(2021)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1장. 도입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3. 논의 구성

2장. 해석문법의 체계
1. 음운 층위 분석 체계
2. 어휘 층위 분석 체계
3. 통사 층위 분석 체계
4. 화용 층위 분석 체계
5. 문장 분석의 종합적 체계5


3장. 해석문법 체계의 적용
1. 문학 분야
1.1 운문 텍스트
1.1.1 음운 층위 분석
1.1.2 어휘 층위 분석
1.1.3 분석 결과의 종합
1.2 산문 텍스트
1.2.1 어휘 층위 분석
1.2.2 통사 층위 분석
1.2.3 화용 층위 분석
1.2.4 분석 결과의 종합

2. 한국어교육 분야
2.1 교재 텍스트
2.1.1 어휘 층위 분석
2.1.2 통사 층위 분석
2.1.3 화용 층위 분석
2.1.4분석 결과의 종합
2.2 평가 텍스트 245
2.2.1 어휘 층위 분석 246
2.2.2 통사 층위 분석 257
2.2.3 화용 층위 분석 286
2.2.4 분석 결과의 종합 298

2.3 작문 텍스트
2.3.1 어휘 층위 분석
2.3.2 통사 층위 분석
2.3.3 화용 층위 분석
2.3.4 분석 결과의 종합
3. 전체 분석 결과의 종합

4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