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기업상담의 이론과 실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지연, 李之連, 1968-, 저 김은석, 金殷奭, 1984-, 저 최아람, 저 장미수, 張味秀, 1986-, 저
서명 / 저자사항
기업상담의 이론과 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workplace counseling / 이지연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1  
형태사항
395 p. ; 23 cm
ISBN
9788999725524
일반주기
공저자: 김은석, 최아람, 장미수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2942
005 20230808153106
007 ta
008 220103s2021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25524 ▼g 93180
035 ▼a (KERIS)BIB000015992185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82 0 4 ▼a 658.385 ▼2 23
085 ▼a 658.385 ▼2 DDCK
090 ▼a 658.385 ▼b 2021
245 0 0 ▼a 기업상담의 이론과 실제 = ▼x Theory and practice of workplace counseling / ▼d 이지연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300 ▼a 395 p. ; ▼c 23 cm
500 ▼a 공저자: 김은석, 최아람, 장미수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이지연, ▼g 李之連, ▼d 1968-, ▼e▼0 AUTH(211009)129554
700 1 ▼a 김은석, ▼g 金殷奭, ▼d 1984-, ▼e▼0 AUTH(211009)154376
700 1 ▼a 최아람, ▼e
700 1 ▼a 장미수, ▼g 張味秀, ▼d 1986-, ▼e▼0 AUTH(211009)154377
900 1 0 ▼a Lee, Jee-yon, ▼e
900 1 0 ▼a Kim, Eun-seok, ▼e
900 1 0 ▼a Choi, A-ram, ▼e
900 1 0 ▼a Chang, Mi-su,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385 2021 등록번호 1118562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385 2021 등록번호 1118687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업은 조직으로서 생산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상담을 말하지만, 한 개인에게는 자신의 삶이 녹아 있는 생의 장면이며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터전이고, 또 다양한 정서적 경험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사람과의 관계와 일의 생산성에서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해 가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 상담이 나아갈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실제 수련을 마치고 기업상담 분야에 진출하고자 하는 학부, 대학원생, 그리고 다른 상담 현장에서 EAP를 수행하고 있는 개인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외국의 번역서와 달리 실제 우리나라 기업현장의 여러 모델이나 운영과정, 내용을 담았다는 점에서 다른 책보다 기업상담의 이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나 실무적 측면에서의 활용성에 있어서 가진 미덕이 있다고 사료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지연(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상담심리 전공) 서강대 상담교수 · 이화여대 전임강사 역임 현)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상담심리전문가 1급 청소년상담사 1급 한국 상담심리학회 인천대분회장

김은석(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상담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상담심리전문가) 자격을 소지하고 있고, SK하이닉스에서 기업상담자로 3년 가까이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아람(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상담심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상담심리전문가) 자격을 소지하고 있고, 삼성SDI에서 12년, SK하이닉스에서 1년 7개월 동안 기업상담자로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LX세미콘 사내상담사(㈜다인 소속)로 재직 중이다.

장미수(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상담심리전문가) 자격을 소지하고 있고, 삼성SDI에서 2년, 시큐아이에서 1년 2개월 기업상담자로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국가보훈처 마음나눔터와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중앙대학교에서 상담자로 활동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부 기업상담의 개관
제1장 기업상담의 이해
1. 들어가기
2. 기업상담의 정의
3. 기업상담의 필요성
4. 기업상담의 역사
5. 한국 기업상담의 특성과 미래 과제
제2장 기업상담의 구조
1. 들어가기
2. 기업상담의 첫 번째 주체, 내담자
3. 기업상담의 두 번째 주체, 상담자
4. 기업상담의 세 번재 주체, 조직과 조직문화
5. 세 주체 간의 만남, 기업상담 모델
제3장 기업상담의 이론
1. 들어가기
2. 무엇을 다룰 것인가, 직무스트레스 이론
3. 어떻게 다룰 것인가, 단기상담적 접근 및 코칭
4. 결론
제4장 기업상담의 윤리적 이슈 다루기
1. 들어가기
2. 기업상담 윤리, 상담자와 내담자 간 윤리
3. 기업상담 윤리, 상담자와 조직 간 윤리
4. 기업상담 윤리, 상담자 전문성 관리
5. 결론

제2부 기업상담의 운영과 실제
제5장 기업상담 준비하기
1. 들어가기
2. 상담실 구축하기
3. 상담실 홍보하기
4. 연계하기
5. 결론
제6장 기업상담 운영하기, 개인적 접근
1. 들어가기
2. 개인상담
3. 심리검사
4. 자문
5. 기업 내 개인상담의 이슈, 비자발적 내담자
6. 결론
제7장 기업상담 운영하기, 집단적 접근
1. 들어가기
2. 집단적 접근의 종류
3. 집단적 접근의 진행 과정
4. 결론
제8장 기업상담 평가하기
1. 들어가기
2. 기업상담 평가 전 논의사항
3. 기업상담 평가의 실제, 실무 평가하기
4. 기업상담 평가의 실제, 상담실 운영 평가하기
5. 결론


제3부 기업상담의 주요 영역
제9장 직장 내 직무관련 영역
1. 들어가기
2. 직무스트레스
3. 직무소진
4. 직업 상실, 퇴직, 실직
5. 사례 및 적용
6. 결론
제10장 직장 내 관계 영역
1. 들어가기
2. 직장 내 위계에 의한 갈등
3. 직장 내 따돌림
4. 사례 및 적용
5. 결론
제11장 개인적 영역
1. 들어가기
2. 일-가정 양립
3. 개인적 차원(성격, 정서, 관계)의 문제
4. 문제 행동
5. 사례 및 적용
6. 결론
제12장 위기관리 영역
1. 들어가기
2. 자살
3. 직장 내 성희롱
4. 산업재해
5. 사례 및 적용
6. 결론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서지영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