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북한 사람 이해하기 : 북한에서는 왜 민주화운동이 일어날 수 없는가

북한 사람 이해하기 : 북한에서는 왜 민주화운동이 일어날 수 없는가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감희
서명 / 저자사항
북한 사람 이해하기 : 북한에서는 왜 민주화운동이 일어날 수 없는가 / 감희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   2021  
형태사항
343 p. ; 23 cm
ISBN
978894608126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2609
005 20211229101617
007 ta
008 211228s2021 ggk 000c kor
020 ▼a 9788946081260 ▼g 03340
035 ▼a (KERIS)BIB000015986472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20.95193 ▼2 23
085 ▼a 320.9539 ▼2 DDCK
090 ▼a 320.9539 ▼b 2021z8
100 1 ▼a 감희
245 1 0 ▼a 북한 사람 이해하기 : ▼b 북한에서는 왜 민주화운동이 일어날 수 없는가 / ▼d 감희 지음
260 ▼a 파주 : ▼b 한울, ▼c 2021
300 ▼a 343 p. ; ▼c 23 cm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9539 2021z8 등록번호 1118561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탈북민의 눈으로 분석한 북한 사람과 북한사회, 그들은 왜 부조리한 압제에 굴종하는가. “왜 북한에서는 저항이 일어나지 않을까?” “북한 사람들은 왜 억압적인 체제에 순응하고 있을까?” 이것은 탈북민들이 흔히 듣는 질문이다. 탈북민 출신의 저자는 전체주의 공포체제에서 완전한 굴복 상태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북한 사람들의 심리를 다층적으로 분석한다. 저자는 북한 사람들이 국가에 대해 만성적인 불안과 위협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저항의 의지조차 가지지 못한다고 진단한다.

한편 저자는 무력하고 의존적이던 북한 사람들이 1990년대 식량 위기를 겪은 이후 점차 변하고 있다는 데 주목한다. 오늘날 북한에서는 감시통제 체계에 틈이 생기고 장터를 중심으로 사적 담론의 공간이 확장되는 등 놀라운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다. 탈북민으로서 북한체제의 트라우마에 대해 연구해 온 저자는 북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에서 움트기 시작한 일상의 저항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북한 사람들이 절대 권력의 폭정을 견딜 수밖에 없는 이유

외부 세계 사람들은 흔히 북한 사람들에 대해 ‘수령님을 숭배하는 사람들’, ‘핵무기에 열광하는 광신집단’이라고 인식한다. 또한 북한 당국은 북한 사람들의 복종과 찬양에 대해 ‘장군님 식솔의 충효일심’, ‘핵 무력보다 강한 정신사상적 위력’이라고 선전한다. 하지만 북한 사람들은 그저 북한의 공포정치로 인해 불안과 두려움에 떠는 미약한 존재일 뿐이다. 이 책은 북한체제 안에서 일신상의 안전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북한 사람들의 상황을 다층적으로 살펴본다.
탈북민으로서 북한체제의 트라우마에 대해 연구해 온 저자는 북한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한 사람을 둘러싼 환경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북한은 인간이 적응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상상 이상의 폭력사회이자 생존을 위협하는 극한적인 환경이다. 따라서 북한체제에서는 심각한 수동성과 무력감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또한 저자는 한민족에게 매우 중요한 가치인 유교와 충효의 정신세계에 주목한다. 저자는 혈연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의 가족주의가 북한체제에서 주체사상과 어떻게 융합되었는지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정신세계가 북한 사람들이 북한체제에 맹목적으로 순응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책의 구성 및 내용

제1부에서는 분단과 함께 북쪽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북한 사람이 어떤 사람들인지 탐색한다. 1부에서는 북한 사람은 분단 이전까지만 해도 한국 사람의 정신적 계보를 공유했던 한민족임을 확인하면서, 남북한이 공유하던 가치와 윤리가 어떠한 메커니즘에 의해 변했는지, 서로 다른 사회 환경에서 어떻게 이질적인 형태로 발현되었는지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북한의 과시적·상징적 예술정치 행위가 북한 사람들에게 집단효과를 미치는 과정을 분석한다. 북한 사람들은 유아기 때부터 수령을 따르는 정신이 최고의 가치라고 배우며 자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감시통제와 억압, 경제적 빈곤으로 인해 이러한 가치가 무너져 내리고 있다. 2부에서는 이처럼 생존을 위해 일상의 위법행위가 만연하고 있는 북한의 현실을 고발한다.
제3부에서는 정치범 수용소와 연좌제, 공개처형, 비밀경찰 시스템 등을 통해 전체주의 북한의 실체를 분석한다. 또한 홀로코스트의 주역인 아돌프 아이히만이 겪은 트라우마를 토대로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 감금되었던 정치범 피해자들의 트라우마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절대공포가 어떻게 한 개인의 인간성을 벗겨내며 비인간화하는지 드러낸다.

북한에 부는 변화의 바람, 사적 담론과 일상의 저항 확대

북한의 세습체제는 과연 영속할 수 있을까? 저자는 북한의 앞날을 전망하면서 1990년대 식량 위기 이후 북한에서 일어나기 시작한 일상의 저항에 대해 살펴보는 한편, 현재 장마당을 중심으로 소비가 이루어지는 북한 사람들의 일상에 주목한다. 지금 북한에서는 사회주의 대 비사회주의라는 흑백의 경계선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이전에는 불법이던 장마당 활동이 국가정책의 하나로 전환되었다.
저자는 이러한 흐름이 장기적으로 북한체제를 변혁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같은 변화가 체제개혁을 위한 운동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변화를 바라는 사람이 나 혼자가 아니라는 연대감은 북한과 같은 공포체제에 제압되지 않도록 사람들을 지켜주는 강력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감희(지은이)

북한에서 태어나 자라나고 공부했다. 그러나 소위 적대계급 출신이었기에 많은 제약과 고통을 받아오다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 들어왔다. 2017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탈북 여성의 폭력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체주의 북한체제의 트라우마 및 북한 사람들의 트라우마와 치유, 한반도의 트라우마와 평화 사상, 용서와 화해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북한이라는 전체주의 체제에서 내부자로서 겪은 경험과 탈북 후 18년 동안 남한의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북한 사람과 그들의 정신세계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북한 사람 이야기
제1장 북한 사람은 누구일까?
제2장 북한 사람을 만드는 담론
제3장 북한 사람의 정신적 특징

제2부 예술 정치와 상징효과
제4장 인간 뇌의 사회적 연결망
제5장 혁명예술과 사회적 감염
제6장 북한 사람은 충효의 사람일까?

제3부 공포 정치와 트라우마
제7장 공포의 지정학
제8장 전체주의와 악의 평범성
제9장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이야기

종장 북한 세습체제는 영속할 수 있을까?

관련분야 신착자료

Negri, Antonio (2022)
박민영 (2022)
Fukuyama, Franci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