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2415 | |
005 | 20211227163656 | |
007 | ta | |
008 | 211227s2021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6742219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996588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495.7071 ▼2 23 |
085 | ▼a 497.071 ▼2 DDCK | |
090 | ▼a 497.071 ▼b 2021z5 | |
245 | 0 0 | ▼a 국어교육의 안과 밖 / ▼d 이삼형 [외]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1 | |
300 | ▼a 335 p.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김창원, 정재찬, 이성영, 서혁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이삼형, ▼g 李三炯, ▼d 1954-, ▼e 저 ▼0 AUTH(211009)52684 |
700 | 1 | ▼a 김창원, ▼g 金昶元, ▼d 1962-, ▼e 저 ▼0 AUTH(211009)113400 |
700 | 1 | ▼a 정재찬, ▼g 鄭在瓚, ▼d 1962-, ▼e 저 ▼0 AUTH(211009)102390 |
700 | 1 | ▼a 이성영, ▼g 李成永, ▼d 1963-, ▼e 저 ▼0 AUTH(211009)142652 |
700 | 1 | ▼a 서혁, ▼g 徐赫, ▼d 1965-, ▼e 저 ▼0 AUTH(211009)106681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1 2021z5 | 등록번호 1118561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1 2021z5 | 등록번호 5110522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성영(지은이)
춘천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국어교육(읽기교육) 연구. 저서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국어교육학과 사고』 외 다수.
이삼형(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국어교육 연구의 반성과 전망』(공저)(2003) 『국어교육학과 사고』(공저)(2007) 「학교 변화와 독서 교육」(2017) 등
김창원(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국어교육론-관점과 체제』(2007), 『문학교육론-제도화와 탈제도화』(2011), 『한국현대시교육사』(2015, 공저)
정재찬(지은이)
“한 편의 시로 인생의 맛을 일깨우는 우리 시대의 시 소믈리에 ” 15만 독자의 사랑을 받은 베스트셀러 《시를 잊은 그대에게: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로 대중 곁에 다가와, 시 읽는 기쁨을 가르쳐준 우리 시대의 시 에세이스트. 시는 물론, 인문학, 예술,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풍요로운 콘텐츠로 구성된 그의 강연은 늘 즐거움과 감동의 세계로 청중들을 이끈다. JTBC <톡투유>, <양식의 양식>, tvN <어쩌다 어른>, SBS <김영철의 파워FM> 등 다양한 방송과 매체 활동을 통해 대중들에게 시심의 씨앗을 뿌리는 데에도 애써왔다. 시의 힘과 아름다움을 통해 우리 사회에 공감과 소통, 치유가 이루어지길 그는 꿈꾸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여 같은 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시를 잊은 그대에게》, 《그대를 듣는다》, 《현대시의 이념과 논리》,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 《문학교육의 현상과 인식》, 《문학교육개론 1》(공저), 《문학교육원론》(공저) 등이 있다.
서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독서(읽기)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 연구」(2011), 『국어교육학과 사고』(공저, 2007),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공저, 2007), 『더 나은 수업을 위한 셀프스터디』(공역, 2014), 『독서교육론』(공저, 2015), 『독서심리학』(공역, 2021)

목차
서문 04 1부 국어교육의 본질에 관하여 13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감(感)으로서의 국어능력 15 이성영 1. 들어가며 17 2.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18 3. 국어능력과 감(感) 30 4. 나가며 41 참고문헌 44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47 이성영 1. 들어가며 49 2. 실제성의 정체 50 3. 실제성 중심 국어교육의 한계 56 4. 가상성의 특성과 유형 60 5.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70 6. 나가며 73 참고문헌 75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어교육 77 정재찬 1. 들어가며 79 2.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어교육 81 3. 사회과교육과의 연대를 위한 국어교육 106 4. 나가며 116 참고문헌 117 2부 국어교육의 실제에 관하여 119 읽기 교육의 쟁점과 과제 121 서혁 1. 들어가며 123 2. 읽기 교육 이론과 쟁점 124 3. 텍스트 복잡도 연구와 읽기 교육 체계화 136 4. 나가며 144 참고문헌 149 2011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쟁점 153 김창원 1. 들어가며 155 2.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계와 인적 변인 156 3. 교육과정 개정 작업의 생태론적 점검 163 4. 나가며 183 참고문헌 189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191 김창원 1. 문제 공유: 교육과정사 안에서의 2015 교육과정 193 2. 교육과정의 진화론적 선택, 그리고 요구-영역, 내용 체계 199 3. 문제 해결: 교육과정 체계화의 방향 모색 217 참고문헌 222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관계 225 서혁 1. 들어가며 227 2.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인접성과 차별성 230 3. 연구 영역과 학제적 관계 241 4. 상호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과제 246 5. 나가며 255 참고문헌 258 3부 국어교육의 미래에 관하여 261 스마트 미디어 시대와 독서교육 263 이삼형 1. 스마트 미디어란? 265 2. 스마트 미디어와 삶, 소통, 텍스트 267 3. 스마트 미디어와 독서 275 4.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독서교육 279 5. 나가며 286 참고문헌 288 소통과 통합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289 정재찬 1. 들어가며 291 2. 소통을 위한 문학교육 291 3. 통합을 위한 문학교육 305 4. 나가며 312 참고문헌 314 언어복지 제도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315 이삼형 1. 들어가며 317 2. 복지-시혜인가 권리인가? 그리고 지속 가능성은? 318 3. 언어복지-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324 4. 나가며 334 참고문헌 335 저자 소개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