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2367 | |
005 | 20211227134810 | |
007 | ta | |
008 | 211224s2016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661199 ▼g 94510 | |
020 | 1 | ▼a 979118659702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2121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10/.9519 ▼2 23 |
085 | ▼a 610.99011 ▼2 DDCK | |
090 | ▼a 610.99011 ▼b 2016z1 | |
245 | 0 0 | ▼a 『동의보감』으로 이루어진 동아시아 의과학 문명의 교류 / ▼d 김남일 외 지음 |
260 |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c 2016 | |
300 | ▼a 300 p. : ▼b 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문명과 가치 총서 ; ▼v 011 |
500 | ▼a 공저자: 신동원, 이동철, 치앙추산(蔣竹山), 량용쒸엔(梁永宣), 리민(李敏), 요시다 카즈히로(吉田和裕), 차웅석, 여인석, 성호준, 조영숙, 김태우, 마타 핸슨(Marta Hanson)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201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글로벌시대 한국적 가치와 문명연구과제로 수행된 연구임 ▼g (AKSR2012-G7) | |
600 | 1 4 | ▼a 허준, ▼g 許浚, ▼d 1546-1615. ▼t 東醫寶鑑 |
700 | 1 | ▼a 김남일, ▼g 金南一, ▼d 1962-, ▼e 저 ▼0 AUTH(211009)98530 |
700 | 1 | ▼a 신동원, ▼g 申東源, ▼d 1960-, ▼e 저 ▼0 AUTH(211009)55058 |
700 | 1 | ▼a 이동철, ▼g 李東哲, ▼d 1958-, ▼e 저 ▼0 AUTH(211009)113376 |
700 | 1 | ▼a 蔣竹山, ▼d 1968-, ▼e 저 |
700 | 1 | ▼a 梁永宣, ▼e 저 |
700 | 1 | ▼a 李敏, ▼e 저 |
700 | 1 | ▼a 吉田和裕, ▼e 저 |
700 | 1 | ▼a 차웅석, ▼g 車雄碩, ▼d 1970-, ▼e 저 |
700 | 1 | ▼a 여인석, ▼d 1965-, ▼e 저 ▼0 AUTH(211009)50887 |
700 | 1 | ▼a 성호준, ▼g 成昊俊, ▼d 1964-, ▼e 저 ▼0 AUTH(211009)6135 |
700 | 1 | ▼a 조영숙, ▼e 저 ▼0 AUTH(211009)47056 |
700 | 1 | ▼a 김태우, ▼e 저 |
700 | 1 | ▼a Hanson, Marta E., ▼e 저 |
830 | 0 | ▼a 문명과 가치 총서 ; ▼v 011 |
900 | 1 0 | ▼a 치앙추산, ▼e 저 |
900 | 1 0 | ▼a Jiang, Zhushan, ▼e 저 |
900 | 1 0 | ▼a 량용쒸엔, ▼e 저 |
900 | 1 0 | ▼a Liang, Yongxuan, ▼e 저 |
900 | 1 0 | ▼a 梁永宣, ▼e 저 |
900 | 1 0 | ▼a Li, Min, ▼e 저 |
900 | 1 0 | ▼a 李敏, ▼e 저 |
900 | 1 0 | ▼a 요시다 카즈히로, ▼e 저 |
900 | 1 0 | ▼a Yoshida, Kazuhiro, ▼e 저 |
900 | 1 0 | ▼a 핸슨, 마타,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0.99011 2016z1 | 등록번호 1118561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명과 가치 총서 11권. 『동의보감』은 허준이 완성한 한국을 대표하는 의학 서적으로 1613년 간행된 이후 400여 년간 한국의 고전으로 자리 매김했다. 이 책은 『동의보감』의 의학적 지식뿐 아니라 기술적, 물질적, 문화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 의과학 문명의 전개’라는 큰 그림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동의보감』은 허준이 완성한 한국을 대표하는 의학 서적으로 1613년 간행된 이후 400여 년간 한국의 고전으로 자리 매김했다. 이 책은 『동의보감』의 의학적 지식뿐 아니라 기술적, 물질적, 문화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 의과학 문명의 전개’라는 큰 그림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11권이다.
지은이 소개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신동원: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
이동철: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치앙추산(蔣竹山): 대만 국립동화대학 역사학과 교수
량용쒸엔(梁永宣): 중국 북경중의약대학 교수
리민(李敏): 중국 북경중의약대학 기초의학원 연구원
요시다 카즈히로(吉田和裕): 일본 순천당대학 의학사 연구원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교수
여인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교수
성호준: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조영숙: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겸임교수
김태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교수
마타 핸슨(Marta Hanson):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의사학 교수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남일(지은이)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희대 한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의보감> 연구와 더불어 한국의학사, 중국의학사 등 동양의학사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서에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한의학사>, <강좌 중국의학의 역사>가 있고, 편저로 <중국 침뜸의학의 역사>가 있다. <주역과 중국의학>, <의역학 사상>, <각가학설>, <고대 중국의학의 재발견> 등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 들어가는 말 * 총론 · 한국 의학사에서 보이는 자국 의학에 대한 자의식의 추이 · 『동의보감』과 원료범-『동의보감』과 한중 교류의 한 양상 · 지구적 시야에서의 의학사 연구-『동의보감』의 동아시아 전파에 대해 논함과 더불어 · 『동의보감』에 인용된 장중경의 문헌에 대한 분석 및 연구 · 『동의보감』이 일본에 미친 영향-에도 중기를 중심으로 · 중국의 『의학입문』과 한국의 『동의보감』의 편제 비교를 통한 허준의 ‘동의’의 의미 해석 · 『동의보감』 「탕액편」의 역사적 의의 · 『동의보감』에 나타난 유학적 함의 · 『동의보감』, 역동하는 전통-당대 한국의 동의보감학파를 통해 바라본 전통 의서의 현재성 · 『동의보감』에서 보이는 기억의 기술, 지리적 상상력, 그리고 운기(運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