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서울대 10개 만들기 :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종영, 金鍾泳, 1972-
Title Statement
서울대 10개 만들기 :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 김종영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살림터,   2021  
Physical Medium
333 p. : 도표 ; 23 cm
ISBN
979115930204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26-33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1641
005 20211221153424
007 ta
008 211220s2021 ulkd b 000c kor
020 ▼a 9791159302046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8.519 ▼2 23
085 ▼a 378.53 ▼2 DDCK
090 ▼a 378.53 ▼b 2021z5
100 1 ▼a 김종영, ▼g 金鍾泳, ▼d 1972- ▼0 AUTH(211009)56418
245 1 0 ▼a 서울대 10개 만들기 : ▼b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 ▼d 김종영 지음
260 ▼a 서울 : ▼b 살림터, ▼c 2021
300 ▼a 333 p. : ▼b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26-333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8.53 2021z5 Accession No. 1118559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8.53 2021z5 Accession No. 1118660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종영(지은이)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연구 분야는 교육사회학, 지식사회학, 과학기술사회학, 세계화의 사회학, 사회운동론 등이다. 저서로 경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식과 권력’ 3부작이 있는데, 2015년 첫 책으로 미국 유학파 엘리트의 형성과 헤게모니 장악, 기득권 유지를 본격 조명한 『지배받는 지배자: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한국사회학회 선정 2015년 올해의 저서상 수상,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을 발표하며 주목을 받았다. 2017년 한국의 지식정치를 국가 중심의 지배지식동맹과 시민사회 중심의 시민지식동맹의 대결로 분석한 두 번째 책 『지민의 탄생: 지식민주주의를 향한 시민지성의 도전』(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을, 2019년 한의학의 근대화를 창조적 유물론으로 설명한 『하이브리드 한의학: 근대, 권력, 창조』(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를 출간하였다. 현재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정책위원장, 서울교육발전자문위원회 위원,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왜 한국만 교육지옥인가?

1장 당신은 한국교육현실에 맞는 이론을 공부하지 않아 혼돈에 빠졌다
교수님 덕분에 기자 됐어요!: 전사 사회
개천용 모델은 왜 틀렸나?: ‘개천용 학파’ 비판
모두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고 있다
지위권력과 창조권력으로서의 대학
SKY 지위권력을 향한 투쟁: 지위경쟁이론
연구중심대학의 승리: 대학사회학의 기술기능론
교육의 사회물리학(Socio-Physics): 병목사회론

2장 교육지옥은 대학병목체제 때문에 발생한다
대학체제의 세 가지 모델: 평준화, 다원화, 독점화
유럽식 평준화 모델
프랑스대학체제의 예외주의와 한국 대학개혁 비전의 대혼란
영국대학체제의 특이성과 문제점
미국식 다원화 모델
한국식 독점화 모델

3장 강고한 교육지옥동맹
교육지옥동맹: 정부 관료, 중상층 학부모, 사교육 세력
학종 지옥이냐 정시 지옥이냐
학종이라는 판옵티콘: 학생의 해부학
학벌 포르노의 사회적 구조

4장 무능한 교육개혁 세력
입시파 때문에 망했고 또 망할 것이다
안티 오이디푸스: 데이터주의자
국가교육위원회주의자
4차산업혁명주의자
대책 없는 완벽주의자
좋은 막말주의자

5장 교육혁명을 위한 두 개의 철학적 탐구: 정의와 지능
평평한 운동장 모델은 틀렸다
기회의 평등, 과정의 공정, 결과의 정의: 당신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른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마이클 조던과 르브론 제임스의 농구 IQ
지능과 환경은 공진화한다
교육혁명을 위한 진격

6장 ‘대통영’ 학파: 대학통합네트워크론의 역사적 진화
‘대통영’ 학파의 맹아와 대학평준화 운동의 부상
‘대통영’ 학파의 세 가지 접근: 최대주의자, 입시파, 최소주의자
대학통합네트워크의 설계자, 정진상은 천재다
민교협 대학개혁안의 장단점
서울교육청 대학개혁안의 장단점
대국민 동원과 설득을 위한 대학개혁안: 사걱세와 이범 버전의 장단점
완벽은 좋음의 적이다: 반상진과 김영석 버전의 장단점

7장 서울대 10개로 구성된 대학통합네트워크
캘리포니아대학체제의 벤치마킹
9개 거점국립대학의 구조조정과 대개혁
지방대가 서울대 될 수 있나요?: 스루프공대(칼텍)의 교훈
스탠퍼드도 ‘듣보잡’이었다
공간권력의 삼권분립: 부산과 광주는 세계적인 도시가 될 수 없다

8장 서울대 10개 만들기 전략과 방향
창조는 저항의 극복이다: 최소주의자 전략
수천만 원짜리 이미지: 대학 이름을 ‘서울대’나 ‘한국대’로 바꾸어라
예산의 격차가 대학의 격차다: 10개 대학에 서울대만큼 예산을 투입하라
국가는 상징자본의 중앙은행이다: 서울대 학위의 양적 완화
파리고등사범에서 PSL 대학으로: 대학의 통폐합과 특성화를 단행하라
나파 밸리, 실리콘 밸리, 소렌토 밸리: 탁월한 산학관 네트워크를 만들어라
서울대 공대 교수들의 지혜: 축적의 시간을 주어라

9장 계급병목과 대학무상교육
사교육비와 계급병목
OECD 지표를 보다가 충격을 받다: 쓰레기통에 처박힌 한국 대학
대학등록금과 계급병목
대학무상교육 11조

에필로그 / 당신이 ‘대통영’이 되어야 하는 이유: 인프라 민주주의를 향한 투쟁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50돌 편찬위원회 (2022)
한국예술종합학교. 교무과 (2023)
강수영 (2022)
吉見俊哉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