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서울대 10개 만들기 :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종영, 金鍾泳, 1972-
서명 / 저자사항
서울대 10개 만들기 :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 김종영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21  
형태사항
333 p. : 도표 ; 23 cm
ISBN
979115930204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26-33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1641
005 20211221153424
007 ta
008 211220s2021 ulkd b 000c kor
020 ▼a 9791159302046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8.519 ▼2 23
085 ▼a 378.53 ▼2 DDCK
090 ▼a 378.53 ▼b 2021z5
100 1 ▼a 김종영, ▼g 金鍾泳, ▼d 1972- ▼0 AUTH(211009)56418
245 1 0 ▼a 서울대 10개 만들기 : ▼b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 ▼d 김종영 지음
260 ▼a 서울 : ▼b 살림터, ▼c 2021
300 ▼a 333 p. : ▼b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26-33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8.53 2021z5 등록번호 11185599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8.53 2021z5 등록번호 1118660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종영(지은이)

과학기술학자이자 사회학자. 경희대학교 교수. 서강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과학기술사회학 분야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학연구』 편집위원장,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서울교육발전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고 『서울신문』과 『교수신문』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학회 부회장과 국가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있었다. 지식과 권력 3부작인 『지배받는 지배자 :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한국사회학회 올해의 저서상,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2015), 『지민의 탄생 : 지식민주주의를 향한 시민지성의 도전』(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 2017), 『하이브리드 한의학 : 근대, 권력, 창조』(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2019)를 출간했다. 그 이후 교육개혁에 대한 빗발치는 사회적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서울대 10개 만들기』(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 2021, EBS 다큐멘터리 방영)를 출판했다. 18년 전 황우석 사태와 황빠 현상을 연구하다 ‘21세기 파우스트’를 써야겠다고 결심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 왜 한국만 교육지옥인가?

1장 당신은 한국교육현실에 맞는 이론을 공부하지 않아 혼돈에 빠졌다
교수님 덕분에 기자 됐어요!: 전사 사회
개천용 모델은 왜 틀렸나?: ‘개천용 학파’ 비판
모두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고 있다
지위권력과 창조권력으로서의 대학
SKY 지위권력을 향한 투쟁: 지위경쟁이론
연구중심대학의 승리: 대학사회학의 기술기능론
교육의 사회물리학(Socio-Physics): 병목사회론

2장 교육지옥은 대학병목체제 때문에 발생한다
대학체제의 세 가지 모델: 평준화, 다원화, 독점화
유럽식 평준화 모델
프랑스대학체제의 예외주의와 한국 대학개혁 비전의 대혼란
영국대학체제의 특이성과 문제점
미국식 다원화 모델
한국식 독점화 모델

3장 강고한 교육지옥동맹
교육지옥동맹: 정부 관료, 중상층 학부모, 사교육 세력
학종 지옥이냐 정시 지옥이냐
학종이라는 판옵티콘: 학생의 해부학
학벌 포르노의 사회적 구조

4장 무능한 교육개혁 세력
입시파 때문에 망했고 또 망할 것이다
안티 오이디푸스: 데이터주의자
국가교육위원회주의자
4차산업혁명주의자
대책 없는 완벽주의자
좋은 막말주의자

5장 교육혁명을 위한 두 개의 철학적 탐구: 정의와 지능
평평한 운동장 모델은 틀렸다
기회의 평등, 과정의 공정, 결과의 정의: 당신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른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마이클 조던과 르브론 제임스의 농구 IQ
지능과 환경은 공진화한다
교육혁명을 위한 진격

6장 ‘대통영’ 학파: 대학통합네트워크론의 역사적 진화
‘대통영’ 학파의 맹아와 대학평준화 운동의 부상
‘대통영’ 학파의 세 가지 접근: 최대주의자, 입시파, 최소주의자
대학통합네트워크의 설계자, 정진상은 천재다
민교협 대학개혁안의 장단점
서울교육청 대학개혁안의 장단점
대국민 동원과 설득을 위한 대학개혁안: 사걱세와 이범 버전의 장단점
완벽은 좋음의 적이다: 반상진과 김영석 버전의 장단점

7장 서울대 10개로 구성된 대학통합네트워크
캘리포니아대학체제의 벤치마킹
9개 거점국립대학의 구조조정과 대개혁
지방대가 서울대 될 수 있나요?: 스루프공대(칼텍)의 교훈
스탠퍼드도 ‘듣보잡’이었다
공간권력의 삼권분립: 부산과 광주는 세계적인 도시가 될 수 없다

8장 서울대 10개 만들기 전략과 방향
창조는 저항의 극복이다: 최소주의자 전략
수천만 원짜리 이미지: 대학 이름을 ‘서울대’나 ‘한국대’로 바꾸어라
예산의 격차가 대학의 격차다: 10개 대학에 서울대만큼 예산을 투입하라
국가는 상징자본의 중앙은행이다: 서울대 학위의 양적 완화
파리고등사범에서 PSL 대학으로: 대학의 통폐합과 특성화를 단행하라
나파 밸리, 실리콘 밸리, 소렌토 밸리: 탁월한 산학관 네트워크를 만들어라
서울대 공대 교수들의 지혜: 축적의 시간을 주어라

9장 계급병목과 대학무상교육
사교육비와 계급병목
OECD 지표를 보다가 충격을 받다: 쓰레기통에 처박힌 한국 대학
대학등록금과 계급병목
대학무상교육 11조

에필로그 / 당신이 ‘대통영’이 되어야 하는 이유: 인프라 민주주의를 향한 투쟁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