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1640 | |
005 | 20211221152859 | |
007 | ta | |
008 | 211220s2021 ulk b AX 000c kor | |
020 | ▼a 978897218730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987087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78 ▼2 23 |
085 | ▼a 378 ▼2 DDCK | |
090 | ▼a 378 ▼b 2021z3 ▼c 2 | |
245 | 0 0 | ▼a 대학 살아남기 : ▼b 세계 대학들의 혁신 전쟁 / ▼d 김종량, ▼e 이현청 편저 |
260 | ▼a 서울 : ▼b 한양대학교출판부, ▼c 2021 | |
300 | ▼a 446 p. ; ▼c 23 cm | |
490 | 1 0 | ▼a 한양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대학의 미래' 시리즈 ; ▼v 2 |
504 | ▼a 참고문헌: p. 443-446 | |
700 | 1 | ▼a 김종량, ▼g 金鍾亮, ▼d 1950-, ▼e 편 ▼0 AUTH(211009)144199 |
700 | 1 | ▼a 이현청, ▼g 李鉉淸, ▼d 1948-, ▼e 편 ▼0 AUTH(211009)49105 |
830 | 0 | ▼a '대학의 미래' 시리즈 ; ▼v 2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 2021z3 2 | Accession No. 1118559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학 혁신의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대학의 위기와 환경 변화, 신대학 패러다임의 방향, 그리고 위기를 벗어나 살아남고자 하는 세계 대학들의 혁신의 내용 등을 다루면서 세계 대학의 혁신 전쟁의 현장을 살펴보려 노력하였다. 한마디로 세계 대학들이 대학 위기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기 전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모으려고 노력하였다.
깊이 있는 혁신 내용을 소개하는 대학도 있고, 중요한 혁신 어젠다만을 다루는 대학도 포함되어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세계 23개국의 대학들이 혁신을 해 나가는 내용을 담으려 노력하였다. 특히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의 대학들의 경우는 포함된 대학 수가 많고, 우리에게 직·간접적으로 혁신의 지혜를 줄 것으로 여겨진다.
대학이 위기라는 데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학위기는 대학을 설립하여 학생을 충원하면 저절로 성장하던 때와는 달리 대학들의 부단한 노력 없이는 이제 더 이상 이러한 대학 성장은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2020년만 해도 4년제 대학의 미충원 인원은 6만 5000명이나 되었고, 재정 적자에 직면한 대학만도 80여 개 대학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대학 위기 현상은 교육 행정의 관점에서 대학을 경영하고 대학을 운영해 왔던 사고가 더 이상 대학 성장에 도움이 되지도 않고 대학 생존에 보탬이 되지도 않는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제 대학은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서만 지속 가능한 성장이 있을 수 있고, 혁신을 통해서만 차별화와 특성화를 통해 대학이 생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 책은 대학 혁신의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대학의 위기와 환경 변화, 신대학 패러다임의 방향, 그리고 위기를 벗어나 살아남고자 하는 세계 대학들의 혁신의 내용 등을 다루면서 세계 대학의 혁신 전쟁의 현장을 살펴보려 노력하였다. 한마디로 세계 대학들이 대학 위기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기 전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모으려고 노력하였다. 깊이 있는 혁신 내용을 소개하는 대학도 있고, 중요한 혁신 어젠다만을 다루는 대학도 포함되어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세계 23개국의 대학들이 혁신을 해 나가는 내용을 담으려 노력하였다. 특히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의 대학들의 경우는 포함된 대학 수가 많고, 우리에게 직·간접적으로 혁신의 지혜를 줄 것으로 여겨진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종량(지은이)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교육공학박사를 취득한 후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수와 18년 동안 총장으로 재직하였다. 국제인권연맹 회장, 대통령 과학기술 자문위원, 세계대학스포츠연맹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고등교육 분야 등에 큰 기여를 한 학자이자 대학 경영자이다. 『대학 총장의 리더십』 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현재 한양학원 이사장과 고등교육연구소 설립고문으로 있다.
이현청(지은이)
한양대를 졸업한 후 미국에 유학하여 남일리노이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대학과 남일리노이대학에서 교수로 미래교육학과 평생교육, 교육사회학을 가르쳤으며 미시간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고등교육과 인간발달에 관한 연구를 했다. 귀국 후 부산대학교 교수와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고등교육 개혁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과 호남대, 상명대 총장을 역임했다. 국내외 교육 개혁에 앞장서 오면서 한국대학총장협회 회장, UMAP(아태지역 고등교육 협력기구)의장, 유네스코 대학 간 학점교류 및 상호인정 세계총회 의장, OECD집행이사, CHEA(미국평가인정기구)이사, AUAP(호주대학평가기구)평가위원, 대만 교육부 자문교수 등 국제적 활동을 해왔다.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모두 등재되었으며 탁월한 21세기 지성, 국제인명센터(IBC) 21세기 우수지식인 2,000인, 미국 인명연구소(ABI) 21세기 탁월한 지식인 1,000인, 영국 세계인명센터에서 세계적인 교육자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국내외대학과 기업, 정부기관 등에서 많은 강연과 기고를 해왔으며 국내외 30여 편의 저서와 3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해왔다. 이현청 교수의 관심영역은 교육 전반에 관련된 부분과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 사회문제와 인간성회복에 대한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문제와 교육, 인권과 인성교육, 위기사회론, 기독교교육 등에 관한 강연과 대학원 강의를 맡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01 │ 위기의 대학환경과 신대학교육 혁신 02 │ 대학 혁신의 방향 03 │ 미국 04 │ 일본 05 │ 독일 06 │ 호주 07 │ 영국 08 │ 프랑스 09 │ 중국 10 │ 싱가포르 11 │ 캐나다 12 │ 홍콩 13 │ 이탈리아 14 │ 대만 15 │ 핀란드 16 │ 노르웨이 17 │ 덴마크 18 │ 스웨덴 19 │ 뉴질랜드 20 │ 인도 21 │ 두바이 22 │ 사우디아라비아 23 │ 이집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