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1639 | |
005 | 20211221152224 | |
007 | ta | |
008 | 211220s2021 ulka AK 001c kor | |
020 | ▼a 9788952130433 ▼g 04000 | |
020 | 1 | ▼a 9788952129451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987942 | |
040 | ▼a 243007 ▼c 243007 ▼d 211009 | |
082 | 0 4 | ▼a 378 ▼2 23 |
085 | ▼a 378 ▼2 DDCK | |
090 | ▼a 378 ▼b 2021z2 | |
110 | ▼a 서울대학교. ▼b 인문대학 ▼0 AUTH(211009)114555 | |
245 | 2 0 | ▼a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 ▼d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편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1 | |
300 | ▼a 282 p. : ▼b 삽화 ; ▼c 22 cm | |
490 | 1 0 | ▼a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 ; ▼v 02 |
500 | ▼a 집필진: 강준호, 강창우, 권도균, 김지현, 김현진, 박상우, 박흥식, 손유경, 신동엽, 안병직, 유재준, 이석재, 이준웅, 정준영, 천현득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준호, ▼g 姜埈鎬, ▼d 1967-, ▼e 저 ▼0 AUTH(211009)27639 |
700 | 1 | ▼a 강창우, ▼g 姜昌雨, ▼d 1962-, ▼e 저 ▼0 AUTH(211009)82959 |
700 | 1 | ▼a 권도균, ▼d 1963-, ▼e 저 ▼0 AUTH(211009)14650 |
700 | 1 | ▼a 김지현, ▼e 저 |
700 | 1 | ▼a 김현진, ▼g 金炫珍, ▼d 1964-, ▼e 저 ▼0 AUTH(211009)60067 |
700 | 1 | ▼a 박상우, ▼g 朴相雨, ▼d 1967-, ▼e 저 ▼0 AUTH(211009)37685 |
700 | 1 | ▼a 박흥식, ▼g 朴興植, ▼d 1963-, ▼e 저 ▼0 AUTH(211009)40481 |
700 | 1 | ▼a 손유경, ▼g 孫有慶, ▼d 1975-, ▼e 저 ▼0 AUTH(211009)106434 |
700 | 1 | ▼a 신동엽, ▼d 1960-, ▼e 저 ▼0 AUTH(211009)51660 |
700 | 1 | ▼a 안병직, ▼g 安秉稷, ▼d 1955-, ▼e 저 ▼0 AUTH(211009)58371 |
700 | 1 | ▼a 유재준, ▼e 저 |
700 | 1 | ▼a 이석재, ▼g 李碩宰, ▼d 1967-, ▼e 저 ▼0 AUTH(211009)128396 |
700 | 1 | ▼a 이준웅, ▼g 李準雄, ▼d 1965-, ▼e 저 ▼0 AUTH(211009)115585 |
700 | 1 | ▼a 정준영, ▼g 鄭駿永, ▼d 1972-, ▼e 저 ▼0 AUTH(211009)121537 |
700 | 1 | ▼a 천현득, ▼g 千玹得, ▼d 1977-, ▼e 저 ▼0 AUTH(211009)89929 |
830 | 0 | ▼a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 ; ▼v 02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 2021z2 | Accession No. 1118559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의 화두는 ‘대학의 미래’다. 현재와 같은 대학의 모습이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16인의 집필진은 대학교육의 이념과 지향성, 대학의 자유와 윤리, 대학교육의 미래와 새로운 가능성, 서울대학교의 당면 문제와 대안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대학의 미래를 성찰한다.
대학의 정체성에 대해
대학의 안팎에서 던지는 화두 -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팬데믹은 이미 우리 곁에 성큼 다가와 있던 대학의 위기를 분명하게 보여 주었고, ‘파괴적 혁신’을 통해서라도 새롭게 도약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제 우리는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다시 물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인간을 다시 묻는다]에 이어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의 2권으로 발간된 이 책의 화두는 ‘대학의 미래’다. 현재와 같은 대학의 모습이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16인의 집필진은 대학교육의 이념과 지향성, 대학의 자유와 윤리, 대학교육의 미래와 새로운 가능성, 서울대학교의 당면 문제와 대안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대학의 미래를 성찰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서설 / 신혜경 총론 / 이석재 [대학교육의 이념과 지향성] 인문학과 텍스트 해석, 그리고 대학의 미래 / 김현진 대학의 인재상과 미래지향적 전인교육 / 강준호 보편적 지성을 위하여: 존 헨리 뉴먼의 대학 이념 / 안병직 대학 밖의 작은 대학 / 권도균 [대학의 자유와 윤리] 중세 파리 대학의 자유와 저항 / 박흥식 학문의 자유와 발언의 자유 / 이준웅 대학에서의 앎과 윤리: 김우창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 손유경 [대학교육의 미래와 새로운 가능성] 4차 산업혁명과 대학의 미래: 온라인 교육의 기술정치를 중심으로 / 천현득 디지털 시대의 고전 연구와 교육 / 김지현 이미지 문명과 이미지 문맹 / 박상우 [다시 시작하는 서울대학교의 내일] 경성제국대학과 서울대학교 / 정준영 대학의 거버넌스와 운영: 법인화 이후의 서울대학교 / 강창우 미래를 위한 열린 교육 체제로의 전환 / 유재준 보론: 인문학적 고찰에 대한 사회과학적 보완 / 신동엽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