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1455 | |
005 | 20211217162523 | |
007 | ta | |
008 | 211217s2018 ggk 000c kor | |
020 | ▼a 9791127243845 ▼g 63710 | |
035 | ▼a (KERIS)BIB000015562639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a chi ▼h chi |
082 | 0 4 | ▼a 495.711 ▼2 23 |
085 | ▼a 497.11 ▼2 DDCK | |
090 | ▼a 497.11 ▼b 2018z16 | |
100 | 1 | ▼a 최세진, ▼g 崔世珍, ▼d 1468-1542 ▼0 AUTH(211009)23160 |
245 | 1 0 | ▼a 훈몽자회 3360 : ▼b 문자 입문 교과서 / ▼d 崔世珍 撰 ; ▼e 오종필 역 |
246 | 0 9 | ▼a 訓蒙字會 |
260 | ▼a 부천 : ▼b 부크크, ▼c 2018 | |
300 | ▼a 227 p. ; ▼c 30 cm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한자가 혼합수록됨 | |
700 | 1 | ▼a 오종필,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대형)/ | 청구기호 대형 497.11 2018z16 | 등록번호 1118557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527년판 초등용 문자교과서. 당대 어문학의 대가 최세진이 초학자의 문자교육을 위해 편찬한 책이다. 한자 3360자를 분류, 훈민정음으로 음과 뜻을 달아놓았다. 훈민정음 운용 규범을 수록함으로써 오늘날 한글자모 이름과 순서마저 이를 따르고 있다. 한글을 모르던 사람도 한글을 익혀 문자공부를 할 수 있게 만든 일종의 한글 활용 한자교습서다.
1527년판 초등용 문자교과서.
당대 어문학의 대가 최세진 선생이 초학자의 문자교육을 위해 편찬.
한자 3360자를 분류, 훈민정음으로 음과 뜻을 달아놓았다.
게다가 훈민정음 운용 규범을 수록함으로써 오늘날 한글자모 이름과 순서마저 이를 따르고 있다.
또한, 한글을 모르던 사람도 한글을 익혀 문자공부를 할 수 있게 만든 일종의 한글 활용 한자교습서다.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5 제1편 훈몽자회 인 6 제2편 범례 8 제3편 언문자모 10 ㆍ초성 중성 통용 8자 ㆍ초성 독용 8자 ㆍ중성 독용 11 자 ㆍ초성 중성 합용 글자 예 ㆍ초성 중성 종성 합용 글자 예 ㆍ평상거입 정위지도 제4편 훈몽자회 목록 13 4-1. 상권 [ 天然 ] ㆍ천문(天文) 14 ㆍ지리(地理) 18 ㆍ화품(花品) 27 ㆍ초훼(草卉) 28 ㆍ수목(樹木) 32 ㆍ과실(菓實) 34 ㆍ화곡(禾穀) 37 ㆍ소채(蔬采) 38 ㆍ금조(禽鳥) 42 ㆍ수축(獸畜) 48 ㆍ인개(鱗介) 50 ㆍ곤충(昆蟲) 54 ㆍ신체(身體) 61 ㆍ천륜(天倫) 74 ㆍ유학(儒學) 80 ㆍ서식(書式) 82 4-2. 중권 [ 人爲 ] ㆍ인류(人類) 85 ㆍ궁택(宮宅) 92 ㆍ관아(官衙) 98 ㆍ기명(器皿) 103 ㆍ식찬(食饌) 123 ㆍ복식(腹飾) 126 ㆍ주선(舟船) 133 ㆍ거여(車與) 135 ㆍ안구(鞍具) 137 ㆍ군장(軍將) 138 ㆍ채색(彩色) 142 ㆍ포백(布帛) 144 ㆍ금보(金寶) 145 ㆍ음악(音樂) 147 ㆍ질병(疾病) 148 ㆍ상장(喪葬) 153 4-3. 하권. [ 混合 ] ㆍ잡어(雜語) 156~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