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1032 | |
005 | 20211216105336 | |
007 | ta | |
008 | 211215s2021 ggkac 000cm kor | |
020 | ▼a 9791190893909 (v.1) ▼g 04810 | |
020 | 1 | ▼a 979119089389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964829 | |
040 | ▼d 211059 ▼a 211059 ▼c 211059 ▼d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895.78203 ▼2 23 |
085 | ▼a 897.8303 ▼2 DDCK | |
090 | ▼a 897.8303 ▼b 박지원 열z3 | |
100 | 1 | ▼a 박지원, ▼g 朴趾源, ▼d 1737-1805 ▼0 AUTH(211009)80851 |
245 | 2 0 | ▼a (쉽게 읽는) 열하일기 : ▼b 변화하는 시대를 읽은 자, 연암 박지원의 청나라 여행기 / ▼d 박지원 지음 ; ▼e 한국고전번역원 옮김 ; ▼e 김흥식 엮음 |
246 | 0 9 | ▼a 熱河日記 |
260 | ▼a 파주 : ▼b 서해문집, ▼c 2021 | |
300 | ▼a 책 : ▼b 삽화(일부천연색), 초상화 ; ▼c 23 cm | |
500 | ▼a v.1. 376 p. | |
700 | 1 | ▼a 김흥식, ▼g 金興植, ▼d 1957-, ▼e 편 ▼0 AUTH(211009)112127 |
710 | ▼a 한국고전번역원, ▼e 역 ▼0 AUTH(211009)17489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8303 박지원 열z3 1 | 등록번호 5110508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연암 박지원의 역작 《열하일기》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폭넓은 인문·역사·지리·과학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따로 떼어 각주로 붙이면 시선이 끊임없이 이동해 책의 본뜻에 집중하기 어렵다. 이에 《쉽게 읽는 열하일기》는 박지원 친필본의 실제를 가늠할 수 있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열하일기》(이가원 역주)를 바탕으로 하되, 무수한 배경지식을 바로 흡수하며 막힘없이 읽어 내려가도록 부가 설명을 모두 간주間註로 넣었다.
박지원이 체험한 청나라의 풍경과 문물, 그가 풀어내는 온갖 옛이야기, 유명 인물·주요 지역과 건물에 얽힌 내력에 대한 이해를 돕는 사진과 고전의 맛을 살리는 세밀화 230여 컷도 삽입했다. 오늘날 한글세대 독자가 꼭 알아 두지 않아도 될 법한 중국의 낯선 도시와 산물에 관한 한자와 세세한 이미지는 제외했다. 그리하여 우물 안 조선을 뒤흔든 날카로운 통찰과 웅대한 비전을 담은 박지원의 사상, 그리고 그가 이 책을 집필하던 시기의 조선과 동아시아를 이해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단번에 이해하고 끝까지 읽는다!
시대를 벗어난 내용의 과감한 생략,
한글세대를 위한 새로운 편집으로 만나는 《열하일기》
연암 박지원의 역작 《열하일기》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폭넓은 인문·역사·지리·과학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따로 떼어 각주로 붙이면 시선이 끊임없이 이동해 책의 본뜻에 집중하기 어렵다. 이에 《쉽게 읽는 열하일기》는 박지원 친필본의 실제를 가늠할 수 있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열하일기》(이가원 역주)를 바탕으로 하되, 무수한 배경지식을 바로 흡수하며 막힘없이 읽어 내려가도록 부가 설명을 모두 간주間註로 넣었다.
박지원이 체험한 청나라의 풍경과 문물, 그가 풀어내는 온갖 옛이야기, 유명 인물·주요 지역과 건물에 얽힌 내력에 대한 이해를 돕는 사진과 고전의 맛을 살리는 세밀화 230여 컷도 삽입했다. 오늘날 한글세대 독자가 꼭 알아 두지 않아도 될 법한 중국의 낯선 도시와 산물에 관한 한자와 세세한 이미지는 제외했다. 그리하여 우물 안 조선을 뒤흔든 날카로운 통찰과 웅대한 비전을 담은 박지원의 사상, 그리고 그가 이 책을 집필하던 시기의 조선과 동아시아를 이해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나는 누구와 천지 장관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
우물 안 조선을 뒤흔든 날카로운 통찰과
호쾌한 유머가 빛나는 박지원의 세계
1권에는 압록강을 건너 요양, 심양, 산해관을 거쳐 연경에 도착하기까지의 고단한 여정과 이국의 문명에 관한 꼼꼼한 기록이 담겨 있다. 민가·사당·전당포·패루·천주당 등 다채로운 건축물, 수천 대의 수레와 잘 닦인 도로, 청나라 사람들의 일상과 말로만 듣던 낙타, 험하고 낯선 중국의 강산과 끝을 짐작할 수 없는 넓디넓은 벌판이 세밀하고 풍부한 박지원의 묘사를 거쳐 눈앞에 선하게 그려진다. 그가 경험한 신선한 충격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도록 일기는 그대로 싣고, 청나라 선비들과 나눈 여러 대화 및 이런저런 장소의 유람기 등은 과감히 생략해 박지원의 관심과 고민을 파악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했다.
청나라 땅을 밟은 박지원은 중국의 난방 시설·벽돌 가마·종이 제작법·수레 제도에 특히 주목한다. 유심히 관찰하고 분석해 조선이 배워야 할 점을 조목조목 짚는다. 북학파가 백성의 일상에 쓰이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실천적 학문(이용후생)에 몰두한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동행한 조선 사람들과의 대화, 훈장·기생·하인·상인 등 각양각색의 청나라 사람을 만났던 이야기는 생동감 넘치고 유머 가득한 문장들로 전한다. 조선인과 중국인의 서로 다른 행동, 생각, 태도가 엿보이며, 청나라의 실상을 알고도 되놈이라며 무시하는 조선의 고루한 풍조를 겨냥한 예리한 비판이 번뜩인다. 《열하일기》를 처음 접하는 이에게는 ‘박지원의 한문소설’로 분류해 따로 읽어 왔던 〈호질〉과 그 뒷이야기를 발견하는 재미도 함께한다.
《열하일기》는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다. 연암 박지원의 실학사상과 문학성이 집약된 작품이자 18세기 조선과 중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에 관한 정보가 가득한 백과사전에 가깝다. 끊임없이 새 문물이 쏟아지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자세와 안목이 무엇인지 일깨워 주는 살아 있는 텍스트이기도 하다. 《쉽게 읽는 열하일기》는 이 진면목으로 독자를 안내할 것이다. 방대한 정보가 부담스러웠던 성인 독자와 10대를 위해 간추리는 과정에서 생략된 이야기들이 궁금했던 청소년 독자 모두에게 맞춤한 책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지원(지은이)
조선후기 문신·학자이며 호는 연암(燕巖), 자는 중미(仲美), 시호는 문도공이다. 16세에 처삼촌인 영목당 이양천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20대에 이미 뛰어난 글재주를 보였으며, 30대에 세상에 널리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박제가·이서구 등과 학문적으로 깊은 교류를 가졌으며, 홍대용·유득공 등과는 이용후생에 대해 자주 토론하고 함께 서부 지방을 여행하기도 하였다. 1765년 과거에 낙방하자 오직 학문과 저술에만 전념하다가 1780년(정조 4) 팔촌 형인 박명원을 따라 중국에 가서 청나라 문물을 두루 살피고 왔다. 이연행(燕行)을계기로하여충(忠)·효(孝)·열(烈) 등과 같은 인륜적인 것이 지배적이던 전통적 조선 사회의 가치 체계로부터 실학, 즉 이용후생의 물질적인 면으로 가치 체계의 변화를 가져 오게 되었다. 그때 보고 듣고 한것을 기행문체로 기술한 <열하일기> 26권을남겼는데, 여기에는 <양반전>, <허생전>, <호질> 등 주옥같은 단편 소설들이 실려 있다. 그는 서학에도 관심을 가져 자연과학적 지식의 문집으로 <연암집>이 있고, 저서로는 <열하일기> <과농소초> 등이 전하며 연행 뒤 <열하일기>를 지어 백성에게 이롭고 나라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비록 이적(夷狄)에게서 나온 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취하여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786년 음사로 선공감 감역이 되어 늦게 관직에 들어서서 사복시주부 · 한성부판관 · 면천군수 등을 거쳐 1800년 양양부사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문장가로서 뛰어난 솜씨를 보여 정아한 이현보의 문장과 웅혼한 그의 문장은 조선 시대 문학의 쌍벽으로 평가되고 있다. 희화(戱畵)·풍자(諷刺)의 수법과 수필체의 문장들은 문인으로서의 역량을 잘 나타내 주는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열하일기>, <허생전>, <양반전>, <호질>, <민옹전>, <광문자전>, <김신선전>, <역학대도전>, <봉산학자전>, <과농소초>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김흥식(엮은이)
출판인, 저술가, 고전 번역가. 어려서부터 한문과 역사가 주는 즐거움에 빠져 살았다. 그래서인지 대학에서 ‘경세’(경영학)를 전공하면서도, 관심은 늘 인문·고전을 통한 ‘제민’의 영역에 쏠려 있었다. 서른 살 무렵에 출판을 시작한 후 서른 해 남짓 역사 분야 출판사의 경영자로 살아왔고, 그 사이사이를 고전 번역과 인문·사회적 글쓰기라고 부를 만한 저술 활동으로 채워왔다. 독서 취향은 까다로운 축에 들지만 자신이 쓰거나 내놓는 책들은 세상에 필요하되, 무엇보다 재미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중 저술가로서 그에게 명성을 안겨준 책은 《세상의 모든 지식》(2007)이지만, 가장 큰 보람을 안겨준 작업은 《징비록》(2003)의 번역이다. ‘국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500년간 잠들어 있던 임진왜란 비망기를 현대 한국어로 되살린 일을, 그는 지금도 뿌듯하게 자부한다. 《징비록》과 《택리지》를 비롯해 우리 고전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고 평가받은 ‘오래된 책방’ 시리즈를 기획했다. 《안중근 재판정 참관기》 《그 사람, 김원봉》 《한글 전쟁》 등을 썼다.
한국고전번역원(옮긴이)
고전문헌을 수집·정리·번역함으로써 한국학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고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 1965년 서울에서 교육부(당시 문교부) 산하 민족문화추진회로 설립되었으며 2007년 11월 한국고전번역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동안 국고 문헌부터 개인 문집에 이르기까지 1300여 종의 번역서를 간행했다.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 중요 국가 기록을 번역 출간했다.

목차
도강록渡江錄 도강록 서渡江錄序 | 6월 24일 신미辛未 | 6월 25일 임신壬申 | 6월 26일 계유癸酉 | 6월 27일 갑술甲戌 | 6월 28일 을해乙亥 | 6월 29일 병자丙子 | 7월 1일 정축丁丑 | 7월 2일 무인戊寅 | 7월 3일 기묘己卯 | 7월 4일 경진庚辰 | 7월 5일 신사辛巳 | 7월 6일 임오壬午 | 7월 7일 계미癸未 | 7월 8일 갑신甲申 | 7월 9일 을유乙酉 성경잡지盛京雜識 7월 10일 병술丙戌 | 7월 11일 정해丁亥 | 7월 12일 무자戊子 | 7월 13일 기축己丑 | 7월 14일 경인庚寅 일신수필馹迅隨筆 일신수필 서馹?隨筆序 | 7월 15일 신묘辛卯 | 수레제도[車制] | 희대?臺 | 시장[市肆] | 객사[店舍] | 교량橋梁 | 7월 16일 임진壬辰 | 7월 17일 계사癸巳 | 7월 18일 갑오甲午 | 7월 19일 을미乙未 | 7월 20일 병신丙申 | 7월 21일 정유丁酉 | 7월 22일 무술戊戌 | 7월 23일 기해己亥 관내정사關內程史 7월 24일 경자庚子 | 7월 25일 신축辛丑 | 7월 26일 임인壬寅 | 7월 27일 계묘癸卯 | 7월 28일 갑진甲辰 | 범의 꾸짖음[虎叱] | 범의 꾸짖음 뒷이야기[虎叱後識] | 7월 29일 을사乙巳 | 7월 30일 병오丙午 | 8월 1일 정미丁未 | 8월 2일 무신戊申 | 8월 3일 기유己酉 | 8월 4일 경술庚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