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1007 | |
005 | 20211215153052 | |
007 | ta | |
008 | 211215s2021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97205118 ▼g 03680 | |
035 | ▼a (KERIS)BIB000015959918 | |
040 | ▼a 225006 ▼c 225006 ▼d 225006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1 ▼2 23 |
085 | ▼a 791.4301 ▼2 DDCK | |
090 | ▼a 791.4301 ▼b 2021z1 | |
100 | 1 | ▼a 심광현, ▼g 沈光鉉, ▼d 1956- ▼0 AUTH(211009)98326 |
245 | 1 0 | ▼a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 : ▼b 한예종 영상이론과 심광현 교수의 영화이론 / ▼d 심광현, ▼e 유진화 지음 |
260 | ▼a 서울 : ▼b 희망읽기, ▼c 2021 | |
300 | ▼a 38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80-387 | |
700 | 1 | ▼a 유진화,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21z1 | 등록번호 5110508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의 ‘천만 영화 현상’에서 그 해법을 모색한다. 정신분석과 뇌인지과학 사이에서 대중의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해 온 제3의 항로가 영화라고 밝히면서 책은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 사실로부터 문명사적 이행의 이정표를 찾아간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할리우드를 압도하며 지속된 한국의 ‘천만 영화 현상’, 이 특이한 현상에서 대중의 소원-성취 꿈이 담긴 새로운 철학을 벼려내고, 아래로부터의 역사 쓰기로 바람직한 미래를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통해서다.
자본주의 사회의 원자화된 개인주의적 인간상과는 상반된 다중지능의 사회적 개인들이 연대해 만드는 개인, 사회, 자연의 선순환. 이 꿈을 가로막는 현실의 장벽과 대중의 무의식적 소원 사이의 거대한 간극을 창조적으로 변형해 현실의 변화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화들을 저자들은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라 부른다. 그동안 암묵적으로 진행된 이 영화적 실천의 철학적 함의를 사회 구조 변화와 대중정치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명시적으로 해명하고, 영화를 매개로 사회적 대안을 설계하는 마음의 지도와 가치 평가의 틀을 제시하는 것이 책의 특징이다. <신경정신분석학 + 역사지리·인지생태학>에 기초한 영화철학이 그것이다.
문명사적 이행의 이정표,
한국 ‘천만 관객 영화’에서 찾다
역사상 유례없는 문명사적 이행기. 다중위기가 소용돌이치는 오늘날의 위기를 넘어설 해법이 있을까?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는 한국의 ‘천만 영화 현상’에서 그 해법을 모색한다. 정신분석과 뇌인지과학 사이에서 대중의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해 온 제3의 항로가 영화라고 밝히면서 책은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 사실로부터 문명사적 이행의 이정표를 찾아간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할리우드를 압도하며 지속된 한국의 ‘천만 영화 현상’, 이 특이한 현상에서 대중의 소원-성취 꿈이 담긴 새로운 철학을 벼려내고, 아래로부터의 역사 쓰기로 바람직한 미래를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통해서다.
자본주의 사회의 원자화된 개인주의적 인간상과는 상반된 다중지능의 사회적 개인들이 연대해 만드는 개인, 사회, 자연의 선순환. 이 꿈을 가로막는 현실의 장벽과 대중의 무의식적 소원 사이의 거대한 간극을 창조적으로 변형해 현실의 변화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화들을 저자들은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라 부른다. 그동안 암묵적으로 진행된 이 영화적 실천의 철학적 함의를 사회 구조 변화와 대중정치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명시적으로 해명하고, 영화를 매개로 사회적 대안을 설계하는 마음의 지도와 가치 평가의 틀을 제시하는 것이 책의 특징이다. <신경정신분석학 + 역사지리·인지생태학>에 기초한 영화철학이 그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심광현(지은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명예교수. 미학·문화연구 전공. 『문화/과학』 편집인, 한국문화연구학회 회장 및 맑스코뮤날레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유진화와 3권의 공저를 집필했고, 단독 저서로는 『맑스와 마음의 정치학』(2014), 『유비쿼터스 시대의 지식생산과 문화정치』(2009), 『흥~한민국』(2005), 『프랙탈』(2005) 등 다수가 있다. 인지생태학 관련 주요 논문으로 「기술-사회 공진화의 기초, 신경과학-윤리학 공진화의 촉매제로서의 예술」(2018), 「오토포이에시스, 어포던스, 미메시스」(2014), 「인지과학과 이미지의 문화정치」(2013), 「시공간의 변증법과 도시의 산책자」(2010) 등 다수가 있다.
유진화(지은이)
일상, 문학, 예술, 삶의 철학을 소소한 이야기로 어우르는 글을 쓰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 산에 가기, 미소의 순간 등을 좋아한다. 저서에는 『그림의 새로운 시작 : 문명 전환과 다성적·민중적 리얼리즘의 감각과 서사 』(심광현·유진화, 희망읽기, 2022),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심광현·유진화, 희망읽기, 2021), 『인간혁명에서 사회혁명까지 : 문명 전환을 위한 지식순환의 철학과 일상혁명 스토리텔링』(심광현·유진화, 희망읽기, 2020)가 있다.

목차
들어가며: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하는 영화적 항로 1부 영화의 인지생태학적 회로 1장 나와 세상을 연결하는 꿈-뇌-영화 이야기 1. 꿈과 영화를 매개하는 뇌 회로 2. 소원-성취 꿈의 궁전, 영화 3.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 4. 영화적 미메시스의 순환 구조 2장 운동-이미지와 내러티브의 영화적 순환 1. 들뢰즈 영화철학의 성과와 한계 2. 운동-이미지와 내러티브의 영화적 순환 3. 영화적 문제틀의 프랙탈 구조 4. 영화적 인식론과 텍스트-콘텍스트의 짝패 5. 영화적 기능의 일반 모형 2부 영화로 꿈꾸는 다른 세상 3장 한국 ‘천만 영화’의 문화정치 1. ‘천만 영화’로 본 영화와 정치의 변증법 2. 몰락기의 예술과 이행기의 예술 3. 이행기의 대중영화와 대중정치 4 한국의 진보적 포퓰리즘과 대중의 다중-프랙탈 구조 4장 SF 영화와 갈라지는 미래 1. SF 영화의 인식지도 그리기 2. 할리우드 SF 영화의 이중세계 시뮬레이션 3. 기술결정론적 매트릭스 vs 기술-사회 공진화 매트릭스 3부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 1. 《왕의 남자》: 흥으로 한을 넘어서기 2. 《해운대》: 자연재해에 드리운 인재 3. 《광해, 왕이 된 남자》: 혁명가와 백성이 통하다 4. 《변호인》: 계란이 바위를 넘어서는 꿈 5. 《명량》: 용기, 지혜, 덕으로 만드는 천행 6. 《암살》: 역사의 두 바퀴 7. 《베테랑》: 빛과 어둠 8. 《택시운전사》: 인간의 실존양식 9. 《신과함께-죄와 벌/인과 연》: 시간의 성찰 10. 《극한직업》: 극한사회의 웃음 11. 영화로 본 대중의 철학 나가며: 영화의 미래와 대중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