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0993 | |
005 | 20211215140605 | |
007 | ta | |
008 | 211215s2021 ggkd 000c kor | |
020 | ▼a 9791187265634 ▼g 03180 | |
035 | ▼a (KERIS)BIB000015966558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0 ▼2 23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21z7 | |
100 | 1 | ▼a 김문성 ▼0 AUTH(211009)69899 |
245 | 2 0 | ▼a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심리학 이야기 : ▼b 내가 알지 못했던 심리학과 뇌 과학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 / ▼d 김문성 지음 |
260 | ▼a 고양 : ▼b 린, ▼c 2021 | |
300 | ▼a 357 p. : ▼b 도표 ; ▼c 22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21z7 | Accession No. 5110508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은 특정한 누군가가 아닌 보편적인 ‘개인’ 혹은 ‘인간’의 마음의 활동, 마음과 행동의 관계, 마음과 행동과 신체의 관계를 과학으로 배우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차이를 좁히고 연결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정리한 책이다. 독자들이 심리학의 이론이나 사상을 배움으로써 재미를 느끼는 동시에, 이를 응용해 자신과 타인을 깊게 이해할 수 있다.
인생의 단 한번은 심리학을 읽어라!
내가 알지 못했던 심리학과 뇌 과학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
과학과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간은 노동을 하고 재화를 얻는 단계를 넘어 상처받는 개인과 소외된 마음에 관심을 갖게 됐다. 그에 따라 심리학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심리학의 범위는 넓어서 인간의 내면에 대해 다루는 모든 학문이 심리학이 된다는 점이 심리학을 더욱 어렵게 느끼도록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이유는 일반인이 생각하는 심리학과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많은 이가 고민을 해결하고 마음을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연구하는 학문이 심리학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심리학의 일부분이자 일상생활에서 쓸 수 있는 응용, 실천편과 같다.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은 특정한 누군가가 아닌 보편적인 ‘개인’ 혹은 ‘인간’의 마음의 활동, 마음과 행동의 관계, 마음과 행동과 신체의 관계를 과학으로 배우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차이를 좁히고 연결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정리했다. 독자들이 심리학의 이론이나 사상을 배움으로써 재미를 느끼는 동시에, 이를 응용해 자신과 타인을 깊게 이해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문성(지은이)
중앙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어학연수를 마쳤으며 귀국한 뒤 출판사, 잡지사 등에서 근무했다. 이후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였으며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공부와 작가 생활을 병행하고 있다. 번역서로 『걸리버 여행기』 『지그문트 프로이트』 『알프레드 아들러』 『아들러 심리학 입문』 『아들러 심리학 활용』 『심리학 콘서트 스페셜 2: 프로이트의 심리학 입문』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좋은 인생 좋은 습관』 『30대에 다시 읽는 동화: 안데르센과 그림 형제의 만남』 『마흔에 읽는 그림 형제 동화』 『유식의 즐거움』 외 다수가 있다. 저서로 『마음공부』 『이기는 심리학 1·2』 『마법의 거짓말』 『심리학의 탄생』이, 편저로는 『심리학 개론 : 심리학의 탄생부터 마음의 치유까지』 『교양의 즐거움 』 『심리학의 즐거움』 『이렇게 이겨라』 등이 있으며, 『독서와 논술』의 주요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1장 마음 심리학의 탄생 ㆍ 015 마음은 성격으로 나타난다 ㆍ 022 마음의 눈으로 사물을 본다 ㆍ 029 사회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 ㆍ 033 2장 감정 희로애락은 어떤 구조인가 ㆍ 041 표정이 감정을 만든다? ㆍ 046 느낌의 정체는 어떤 것인가? ㆍ 052 알 수 없는 기억의 장난 ㆍ 057 좋고 싫음의 심리적 구조 ㆍ 060 3장 기억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기억 ㆍ 067 기억이란 무엇인가 ㆍ 072 사람은 왜 잊어버리는 걸까 ㆍ 076 기억을 고쳐 쓰는 방법 ㆍ 085 기억력이 좋은 사람은 행복할까? ㆍ 090 4장 감각 아픔과 인간관계 ㆍ 095 인간의 초능력 ‘감각대행’ ㆍ 100 감각은 변화해 간다 ㆍ 106 우리가 느끼는 오감의 한계 ㆍ 114 5장 의욕 동기부여와 마음의 힘 ㆍ 123 자극이 없으면 참을 수 없다? ㆍ 125 포기의 이유 ㆍ 130 의욕의 원동력 ‘인지 스타일’ ㆍ 133 의욕을 만들어 내는 것 ㆍ 140 의욕의 원천 ‘자기효력감’ ㆍ 145 6장 선악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 ㆍ 153 범죄자는 타고난다? ㆍ 155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강화이론’ ㆍ 62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모델링’ ㆍ 168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상황의 힘’ ㆍ 172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익명성’ ㆍ 176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사회의 룰’ ㆍ 179 7장 욕망 욕망의 정체는 무엇인가 ㆍ 187 브랜드가 좋은 이유 ㆍ 191 욕망은 어떤 형태인가 ㆍ 197 8장 뇌행동 뇌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ㆍ 207 인간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ㆍ 211 우뇌와 좌뇌의 실체 ㆍ 216 뇌의 능력을 올리는 비결 ㆍ 222 9장 관계 최초의 인간관계 ㆍ 231 왠지 피곤한 인간관계 ㆍ 233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것 ㆍ 239 친구 선택의 메커니즘 ㆍ 243 연인 선택의 메커니즘 ㆍ 248 10장 심리학자 플라톤 ㆍ 257 아리스토텔레스 ㆍ 260 데카르트 ㆍ 267 로크 ㆍ 273 흄 ㆍ 277 칸트 ㆍ 282 분트 ㆍ 285 다윈 ㆍ 289 윌리엄 제임스 ㆍ 293 손다이크 ㆍ 298 스키너 ㆍ 302 쾰러 ㆍ 308 코프카 ㆍ 314 프로이트 ㆍ 318 융 ㆍ 325 아들러 ㆍ 329 피아제 ㆍ 333 로저스 ㆍ 337 매슬로 ㆍ 343 비네 ㆍ 350 가드너 ㆍ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