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0291 | |
005 | 20211215092856 | |
007 | ta | |
008 | 211208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18912219 ▼g 93360 | |
035 | ▼a (KERIS)BIB000015957022 | |
040 |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342 ▼2 23 |
085 | ▼a 342 ▼2 DDCK | |
090 | ▼a 342 ▼b 2021z4 | |
100 | 1 | ▼a 한수웅, ▼g 韓秀雄, ▼d 1955- ▼0 AUTH(211009)19976 |
245 | 1 0 | ▼a 헌법학 입문 / ▼d 한수웅 지음 |
250 | ▼a 제5판 | |
260 | ▼a 서울 : ▼b 法文社(법문사), ▼c 2021 | |
300 | ▼a 46, 774 p. ; ▼c 27 cm | |
500 | ▼a 부록: 1. 본안판단의 심사구조(위헌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관점), 2. 심판유형별 적법요건 | |
504 | ▼a 참고문헌(p. 45-46)과 색인수록 | |
650 | 8 | ▼a 헌법학[憲法學] |
650 | 8 | ▼a 헌법 원리[憲法原理] |
650 | 8 | ▼a 기본권[基本權] |
650 | 8 | ▼a 청구권[請求權]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 2021z4 | 등록번호 11185813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5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 2021z4 | 등록번호 511052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42 2021z4 | 등록번호 1513573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 2021z4 | 등록번호 11185813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5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 2021z4 | 등록번호 511052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42 2021z4 | 등록번호 1513573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5판에서는 제4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자가 그 내용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몇 가지 사항에 대하여 부분적인 개고가 이루어졌다. 나아가, 일부 누락된 헌법재판소결정을 보완하였고, 2021년 6월까지의 헌법재판소 판례와 법령개정사항을 반영하였다.
머리말
2017년 저자의 ‘헌법학 입문’ 교과서가 발간된 이래, 그동안 독자 여러분들의 꾸준한 성원에 힘입어 올해는 제5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입문’치고는 상당히 양도 방대하고 그 내용 또한 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헌법학 입문’에 보내준 독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제5판에서는 제4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자가 그 내용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몇 가지 사항에 대하여 부분적인 개고가 이루어졌다. 나아가, 일부 누락된 헌법재판소결정을 보완하였고, 2021년 6월까지의 헌법재판소 판례와 법령개정사항을 반영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한수웅(지은이)
[저자 약력] 독일 Freiburg 대학교 법과대학 학사․석사 독일 제1차 사법시험 합격 독일 Freiburg 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박사 독일 제2차 사법시험 합격(독일변호사)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사법시험 출제위원 홍익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 한국법학원 제10회 법학논문상 수상 법제처 정부입법자문위원회 위원 법무부 차별금지법 특별분과위원회 위원장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비상임)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요 저서] 헌법학 입문, 법문사, 제5판(2021) 헌법상 권력구조의 재조명, 법문사, 2021 기본권의 새로운 이해, 법문사, 2020 주석 헌법재판소법, 헌법재판연구원, 2015(한수웅 외 3인) Merkmale der verfassungsrechtlichen Ordnung der Wirtschaft in Deutschland und Korea, 1993

목차
제1편 헌법의 일반원리 제1장 국가와 헌법 제2장 헌법의 개념 및 성격 제3장 헌법의 제정·개정·변천 제4장 헌법의 해석 제5장 헌법의 수호 제2편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원리 제1장 대한민국의 존립기반과 국가형태 제2장 헌법 전문 및 기본원리의 개관 제3장 민주주의원리 제4장 법치국가원리 제5장 사회국가원리 제6장 평화국가원리 제7장 문화국가원리 제3편 기본권론 제1장 기본권 일반이론 제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제3장 평등권 제4장 자유권적 기본권 제5장 참정권 제6장 청구권적 기본권 제7장 사회적 기본권 제8장 국민의 기본의무 제4편 권력구조 제1장 정부형태 제2장 국 회 제3장 정 부 제4장 법 원 제5장 헌법재판소 부 록 제1장 본안판단의 심사구조(위헌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관점) 제2장 심판유형별 적법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