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동일, 金東一, 1964-, 저 고혜정, 高惠貞, 1978-, 저 남지은, 南知恩, 1984-, 저 박유정, 朴愉淨, 1981-, 저 신재현, 申宰鉉, 1982-, 저 조영희, 趙英姬, 1980-, 저 최수미, 崔秀美, 1971-,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 김동일 [외]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22  
형태사항
vi, 196 p. : 도표 ; 25 cm
총서사항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교육사각지대연구총서 ;2
ISBN
9791165191924 9791165191931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고혜정, 남지은, 박유정, 신재현, 조영희, 최수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74-19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0242
005 20230816114936
007 ta
008 211208s2022 ulkd b 000c kor
020 ▼a 9791165191924 ▼g 94370
020 1 ▼a 9791165191931 (세트)
035 ▼a (KERIS)BIB000015953985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9 ▼2 23
085 ▼a 371.9 ▼2 DDCK
090 ▼a 371.9 ▼b 2022
245 0 0 ▼a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 ▼d 김동일 [외]
260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2
300 ▼a vi, 196 p. : ▼b 도표 ; ▼c 25 cm
490 1 0 ▼a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교육사각지대연구총서 ; ▼v 2
500 ▼a 공저자: 고혜정, 남지은, 박유정, 신재현, 조영희, 최수미
504 ▼a 참고문헌: p. 174-196
700 1 ▼a 김동일, ▼g 金東一, ▼d 1964-, ▼e▼0 AUTH(211009)121096
700 1 ▼a 고혜정, ▼g 高惠貞, ▼d 1978-, ▼e▼0 AUTH(211009)112953
700 1 ▼a 남지은, ▼g 南知恩, ▼d 1984-, ▼e▼0 AUTH(211009)136044
700 1 ▼a 박유정, ▼g 朴愉淨, ▼d 1981-, ▼e▼0 AUTH(211009)153997
700 1 ▼a 신재현, ▼g 申宰鉉, ▼d 1982-, ▼e▼0 AUTH(211009)146649
700 1 ▼a 조영희, ▼g 趙英姬, ▼d 1980-, ▼e▼0 AUTH(211009)153998
700 1 ▼a 최수미, ▼g 崔秀美, ▼d 1971-, ▼e▼0 AUTH(211009)20409
770 0 ▼t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 핸드북 ▼w 000046156162 ▼z 9791165193713
830 0 ▼a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교육사각지대연구총서 ; ▼v 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9 2022 등록번호 1118555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9 2022 등록번호 1118689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9 2022 등록번호 1118743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동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교육부 학술상(상장 20-1075),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연구사업단 단장,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 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 상담학 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 전문학술논문(SSCI/KCI)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하여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남지은(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박사, 미국 Wellesley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전문상담사

고혜정(지은이)

순천향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박유정(지은이)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특수교육전공 교수

신재현(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특수(통합)교육학과 교수

조영희(지은이)

백석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최수미(지은이)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1_ 서설: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개념화와 지원 전략
Ⅰ. 글을 시작하며 1
Ⅱ. 왜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인가? 4
Ⅲ.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는 누구인가? 7
Ⅳ.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을 위한 지원 체계구축 및 과제 20
Ⅴ. 결 론 28

02_ 교사용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검사 및 활용
Ⅰ. 들어가는 말 31
Ⅱ.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도구개발 및 타당화 35
Ⅲ. 평정도구의 활용의 예 47

03_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을 위한 관련 법(안) 분석
Ⅰ. 들어가는 말 50
Ⅱ.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관련 국내 관련 법(안) 52
Ⅲ. 교육사각지대 학생 관련 국내 법(안) 분석을 통하여 72

04_ 교육사각지대 아동과 청소년의 방학 중 학력손실 보완(Break the Gap over Break): 미국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Ⅰ. 서론: 학교교육과 방학, 방학으로 인한 학력손실 가능성 77
Ⅱ. 여름방학효과(Summer Effects)와 교육사각지대의 학생들 80
Ⅲ. 여름방학효과로 인한 학력손실 보완 제도와 프로그램 89
Ⅳ. 요약 및 교육사각지대 학생들을 위한 시사점: 방학을 활용한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습 보완을 위한 방향 92

05_ 제도권 내 사각지대 학습자로서의 학습장애: 진단 및 지원을 위한 과제
Ⅰ. 들어가는 말 97
Ⅱ. 학습장애 진단의 이슈와 과제 99
Ⅲ. 학습장애 지원의 이슈와 과제 109
Ⅳ. 결 론 121

06_ 다문화 학생 교육정책 사각지대: 한국인 부모를 둔 교차문화 아이들(Cross-Cultural Kids)
Ⅰ. 한국의 “다문화 학생” 지원 정책 123
Ⅱ. “다문화 학생” 정의로부터 소외된 한국인 부모를 둔 교차문화 아이들 125
Ⅲ. 교차문화 아이들의 특성 132
Ⅳ. 교차문화 아이들의 심리사회적 이슈와 상담 개입 136
Ⅴ. 교차문화 아이들의 학업 이슈와 교육적 개입 149
Ⅵ. KP 교차문화 아이들을 만나는 교육자와 상담자의 기본 문화적 역량 150
Ⅶ. 결 론 151

07_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스마트교육의 적용 가능성
Ⅰ. 스마트교육의 필요성 155
Ⅱ.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스마트교육의 효과성 163
Ⅲ. 교육사각지대 학생들을 위한 스마트교육 활용가능성 167
Ⅳ. 결 론 172

참고문헌_17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