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중양식, 학습 그리고 의사소통 : 사회기호학적 프레임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ezemer, Josephus Johannes, 1976- Kress, Gunther R., 저 안미경, 安美慶, 1972-, 역
서명 / 저자사항
다중양식, 학습 그리고 의사소통 : 사회기호학적 프레임 / 제프 베제머, 군터 크레스 지음 ; 안미경 옮김
발행사항
서울 :   HU:iNE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2020  
형태사항
253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세미오시스 번역총서 ;07
원표제
Multimodality, learning and communication : a social semiotic frame
ISBN
9791159017827 9788974648336 (Set)
일반주기
부록: List of research projects  
서지주기
참고문헌(p. 233-240)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odality (Linguistics) Semiotics --Social aspects Communication --Methodology Social interaction Oral communication Language and languages --Study and teach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0232
005 20211208164629
007 ta
008 211208s2020 ulka b AU 001c kor
020 ▼a 9791159017827 ▼g 94080
020 1 ▼a 9788974648336 (Set)
035 ▼a (KERIS)BIB000015617573
040 ▼a 221022 ▼c 221022 ▼d 221022 ▼d 211059 ▼d 211009
082 0 0 ▼a 302.2 ▼2 23
085 ▼a 302.2 ▼2 DDCK
090 ▼a 302.2 ▼b 2020
100 1 ▼a Bezemer, Josephus Johannes, ▼d 1976-
245 1 0 ▼a 다중양식, 학습 그리고 의사소통 : ▼b 사회기호학적 프레임 / ▼d 제프 베제머, ▼e 군터 크레스 지음 ; ▼e 안미경 옮김
246 1 9 ▼a Multimodality, learning and communication : ▼b a social semiotic frame
260 ▼a 서울 : ▼b HU:iNE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c 2020
300 ▼a 253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세미오시스 번역총서 ; ▼v 07
500 ▼a 부록: List of research projects
504 ▼a 참고문헌(p. 233-240)과 색인수록
536 ▼a 201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0-361-A00013)
650 0 ▼a Modality (Linguistics)
650 0 ▼a Semiotics ▼x Social aspects
650 0 ▼a Communication ▼x Methodology
650 0 ▼a Social interaction
650 0 ▼a Oral communication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Study and teaching
700 1 ▼a Kress, Gunther R., ▼e
700 1 ▼a 안미경, ▼g 安美慶, ▼d 1972-, ▼e▼0 AUTH(211009)14683
830 0 ▼a 세미오시스 번역총서 ; ▼v 7
900 1 0 ▼a 베제머, 제프, ▼e
900 1 0 ▼a 크레스, 군터,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 2020 등록번호 1118555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연구와 이론화에 대한 이 책의 최신 설명은 박물관, 병원, 학교, 가정환경에서 기호를 만드는 사람들과 그들의 의미 형성과정에 대해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다중양식, 학습, 의사소통을 통합적으로 고찰한다. 이 이론의 범위와 적용 가능성을 보여 주기 위해 광범위한 삽화와 많은 예를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와 이론화에 대한 이 책의 최신 설명은 박물관, 병원, 학교, 가정환경에서 기호를 만드는 사람들과 그들의 의미 형성과정에 대해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다중양식, 학습, 의사소통을 통합적으로 고찰한다.
영상 녹화, 사진, 스크린 숏, 인쇄물을 분석함으로써 제프 베제머와 군터 크레스는 사회기호학적이고 다중양식적인 연구의 전통적인 분야에서 일반적인 영역을 뛰어넘는다. 그들은 더 새롭고 흥미로운 영역에 대한 거짓된 발명과 명명으로부터 방향을 선회해서 현재 작업―즉 현대의 학습과 의사소통을 하나의 통합된 분야로 설명하고 분석하는 것―을 위한 일련의 도구를 만드는 데 있어 근본적인 것에 집중한다. 이 책에 소개된 이론은 두 작가의 폭넓은 실증적인 연구조사의 결과물에 바탕을 두고 있다. 각 장에서는 지금 연구되고 있고 또 연구되어 온 성과를 평가하고 기존의 연구 결과물에 문제를 제기하며 많은 부분을 다른 시각에서 접근한다.
이 이론의 범위와 적용 가능성을 보여 주기 위해 제시된 광범위한 삽화와 많은 예와 함께 이 책은 다중양식, 기호학, 응용언어학, 그와 관련된 분야를 연구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필독서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군터 크레스(지은이)

군터 크레스(Gunther Kress) 교수는 런던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육연구대학원(Institute of Education) 기호학·교육학(Semiotics and Education) 학과에 재직 중이다. 크레스 교수는 Multimodality: A Social Semiotic Approach to Contemporary Communication (Routledge, 2010),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Routledge, 2006) 외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제프 베제머(지은이)

제프 베제머(Jeff Bezemer) 교수는 런던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육연구대학원(Institute of Education) 학습·커뮤니케이션(Learning and Communication) 학과에 재직 중이며 다중양식 연구센터(Centre for Multimodal Research)의 센터장이다.

안미경(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연구센터에서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Semiosis of African American Religion(2013), Consession in discourse(2016), 미디어 연구: 이론과 접근법(2017)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인정(Recognition) - 15
2. 기호제작(Sing-making) - 37
3. 변형적 참여(Transformative engagement) - 71
4. 참여 형성(Shaping engagement) - 107
5. 평가와 판단(Assessment and judgement) - 141
6. 이득과 손실(Gains and losses) - 167
7. 프레임워크 적용하기(Applying the framework) - 207

관련분야 신착자료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
Bail, Christopher (2023)
Bernstein, William J (2023)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Shifman, Limo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