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반도發 평화학 : 통일이 평화를 만나다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병로, 金炳魯, 1960-
서명 / 저자사항
한반도發 평화학 = K-peace : 통일이 평화를 만나다 / 김병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1  
형태사항
xii, 383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30314204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8-367)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평화학[平和學] 한반도[韓半島]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0197
005 20211208141030
007 ta
008 211208s2021 ulkad b 001 kor
020 ▼a 9791130314204 ▼g 93340
035 ▼a (KERIS)REW000000410321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7.172 ▼2 23
085 ▼a 327.172 ▼2 DDCK
090 ▼a 327.172 ▼b 2021z7
100 1 ▼a 김병로, ▼g 金炳魯, ▼d 1960- ▼0 AUTH(211009)71672
245 1 0 ▼a 한반도發 평화학 = ▼x K-peace : ▼b 통일이 평화를 만나다 / ▼d 김병로 지음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21
300 ▼a xii, 38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58-367)과 색인수록
650 8 ▼a 평화학[平和學]
650 8 ▼a 한반도[韓半島]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7.172 2021z7 등록번호 1513572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병로(지은이)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교(Indiana St. Univ.)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럿거스대학교(Rutgers-The State Univ. of New Jersey)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 아신대학교 교수 및 북한연구소장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대학원 HK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경력으로는 제22대 북한연구학회 회장, 국가정보원·국방부 자문위원, 민주평통 상임위원, 민화협 정책위원, KBS통일방송연구 자문위원 및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사무국장, North Korean Review 편집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평화나눔재단 공동대표,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북한의 지역자립체제』, 『북한사회의 종교성』, 『개성공단』(공저), 『분단폭력』(공저),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미래』(공저), Two Koreas in Development, 『다시 통일을 꿈꾸다』, 『그루터기』(공저),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공저)을 비롯하여 90여 권의 단행본과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며 ⅰ
서장 한반도發 평화학의 출발을 위하여 3
1. 담장 안의 절규 / 3
2. 전쟁과 폭력이 낳은 분단과 장벽 / 7
3. 장벽을 넘어 / 12
4. 한반도發 평화학의 비전 / 15

제1부 평화학 동향과 이론 19
제1장 세계 평화학 동향 21
1. 평화학 어떻게 발전되어 왔나 / 21
2. 유럽의 평화연구 / 29
3. 영국의 평화연구 / 35
4. 미국의 평화연구 / 39
5. 아시아의 평화연구 / 48
제2장 평화학 이론 54
1. 평화학이란? / 54
2. 평화를 바라보는 두 시선: 이상주의 대 현실주의 / 63
3. 갈등해결이론 / 67
4. 평화구축 이론 / 81
5. 평화구축의 과정과 전략 / 95
제3장 화해의 이론적 고찰 104
1. 화해의 개념과 범주 / 104
2. 화해의 과정과 절차 / 109
3. 가치의 충돌 - 화해가 이루어지는 공간 / 116
4. 중층적 화해의 구조 / 121
5. 화해의 쟁점과 성찰적 논의 / 124

제2부 한반도 평화연구의 현장 131
제4장 분단폭력 대 분단평화 133
1. 한반도 갈등의 현장, 분단 / 133
2. 분단은 폭력인가 / 136
3. 분단평화는 가능한가 / 146
4. 분단의 양면성과 진화 / 154
5. 통일평화의 가능성 / 160
제5장 분단의 상호작용과 그 효과 163
1. 분단효과란? / 163
2. 분단효과의 작용방식 / 166
3. 분단효과의 분석 / 168
4. 탈냉전 이후 분단효과의 변화 / 175
5. 분단효과의 확장성 / 180
제6장 분리장벽과 나비효과 183
1. 나비효과 / 183
2. 북아일랜드 평화장벽(Peace Wall) / 186
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리장벽 / 190
4. 무너진 베를린 장벽 / 194
5. 한반도의 분단철책과 비무장지대(DMZ) / 199

제3부 한반도發 평화학의 구성 211
제7장 한반도發 평화학의 키워드 213
1. 한반도에서 발신하는 평화의 주제 / 213
2. 남북화해의 통일평화 / 216
3. 탈위험 녹색지향의 비핵평화 / 220
4. 생활세계의 호혜적 공간평화 / 224
5. 한반도發 평화학의 복합구성 / 228
제8장 통일평화론 – 3축모델과 화해 233
1. 통일은 왜 평화인가 / 233
2. 분단평화에서 통일평화로! / 236
3. 통일평화의 3축모델 / 245
4. 통일평화 구축의 실험 현장 / 256
5. 무엇이 문제인가: 화해의 중요성 / 263
제9장 비핵평화의 길 - 복합 평화체제 268
1. 평화체제의 다중적 의미 / 268
2. 복합화 시대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 / 271
3. 복합 평화체제 구상 / 281
4. 복합 평화체제의 이행 전략 / 289
5. 비핵평화를 넘어 / 294
제10장 공간평화의 기획 - 한반도형 통일실험 297
1. 공간기획을 통한 평화구축 / 297
2. 공간구성을 통한 평화기획 개성공단 / 304
3. 피스투어리즘 - 관광을 통한 평화 / 314
4. 사회문화공간과 평화구축 / 318
5. DMZ 평화지대화 / 331

종장 한반도發 평화학의 미래 345
1. 한반도發 평화학의 지향점 / 345
2. 개방과 포용: 내 안의 장벽을 허물어야 / 350
3. 피스꼬레아(Peace Corea)의 상상력 / 354

참고문헌 358
인명색인 368
사항색인 371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민귀식 (2022)
임갑수 (2023)
五百旗頭薫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