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이 책을 발간하며
편저자 서문
제1부 삶과 임상 실제에서 자비 실천하기
제1장 완벽하지 않은 모습 모델링하기와 완벽하지 않은 자기 발달시키기: 자기자비 과정에 대한 성찰
도입
자기자비
자기자비에 방해되는 장해물
완벽하지 않은 자기
결론
제2장 자비와 자기비판: 변화하는 삶, 회복탄력성과 관계연결성으로의 여정
지금까지 내 삶의 여정은……
치료에서의 자기비판에 대한 나눔 경험
자비의 실천, 보상과 막힘
성찰: 자비에 기반한 마음수련은 내 삶을 변화시켰다
글을 마무리하며
* 자비 활동지 1-자기친절
* 자비 활동지 2-사고패턴
* 자비 활동지 3-자비 실천하기
제3장 서로 다른 문화에 따른 자비
‘전적인 몰입’과 공동체 정신의 개념
자기자비
자비를 실천하는 데 있어서의 부담
공감피로와 자비 실천의 장해물
개인적 자비와 전문가적 자비 간의 분리
제2부 자비와 함께 타인을 초대하기
제4장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팀(CAMHS)의 자비에 기반한 작업
체계
아동 서비스
아동의 가족
아동
치료자
도움을 요청하는 것에 대한 수치심
결론
제5장 자비를 통한 돌봄의 철학과 과학 발전시키기
환자 지지와 자비
희망의 고취와 깨달음의 경로 조명
의미 있는 가치
돌봄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의견
자비에 기반한 사고-실행 모델
타고난 지혜
유능하게 개입하기
의식적 돌봄-협력과 리더십이 함께하는 평화로운 환경 조성
임상 실제에서의 자비의 영향
긍정적 탐색
결론
제6장 삶을 변화시키는 자비에 기반한 실천
관련 정보
제3부 자비에 기반한 관점으로 개인적 삶과 전문가적 삶에서 자기 돌보기
제7장 자기자비로의 여행: 고군분투로 시작해서 만족감을 나누기까지
소진과 공감피로
자비 탐색하기
코칭심리학
고치기 대 창조하기
왜 사람들은 코칭을 필요로 하는가
사례
성찰
결론
제8장 존재하는 것과 성장하는 것 사이: 치료자 수련에서의 도전과 자원
성취하기와 추구하기
교육 경험에서 생기는 두려움
자비와 자기위로
조직의 도전
자비를 통한 회복탄력성
제9장 임상심리 수련에서의 자비
두 개의 세계
현실 상황에 자비에 기반한 접근 가져오기
자비에 기반한 마음 작업으로의 여행
자비에 기반한 마음 집단 프로그램
도전과 보상
내가 개인적으로 배운 것
제4부 희망을 위한 공간 만들기, 회복탄력성 기르기, 자비 유지하기
자비에 기반한 호기심과 자신에 대한 자각
아픔과 고통의 그림자 아래에서 빛을 가꾸기
자비로 온전함 키우기
자비 공유를 위한 지침: 실제로 희망과 회복탄력성 증진시키기
관련 읽기 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