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9733 | |
005 | 20211202161431 | |
007 | ta | |
008 | 211202s2021 ulkd b 000c kor | |
020 | ▼a 9791185324562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5892788 | |
040 | ▼a 248019 ▼c 248019 ▼d 248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5/22 ▼2 23 |
085 | ▼a 616.8522 ▼2 DDCK | |
090 | ▼a 616.8522 ▼b 2021z2 | |
100 | 1 | ▼a Abramowitz, Jonathan S. |
245 | 1 0 | ▼a 노출치료의 혁신 : ▼b 억제학습이론을 기반으로 / ▼d 조나단 S. 아브레모위츠, ▼e 브렛 J. 디콘, ▼e 스티븐 P.H. 화이트사이드 ; ▼e [김선욱, ▼e 전유진, ▼e 맥락행동과학연구회 역] |
246 | 1 9 | ▼a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 ▼b principles and practice ▼g (2nd ed.) |
260 | ▼a 서울 : ▼b 삶과지식, ▼c 2021 | |
300 | ▼a xii, 424 p. : ▼b 도표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Anxiety disorders ▼x Treatment |
650 | 0 | ▼a Exposure therapy |
700 | 1 | ▼a Deacon, Brett J., ▼e 저 |
700 | 1 | ▼a Whiteside, Stephen P. H., ▼e 저 |
700 | 1 | ▼a 김선욱, ▼e 역 |
700 | 1 | ▼a 전유진, ▼e 역 |
710 | ▼a 맥락행동과학연구회, ▼e 역 | |
900 | 1 0 | ▼a 아브레모위츠, 조나단 S., ▼e 저 |
900 | 1 0 | ▼a 디콘, 브렛 J., ▼e 저 |
900 | 1 0 | ▼a 화이트사이드, 스티븐 P. H.,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522 2021z2 | Accession No. 1118553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노출치료는 불안과 공포에 대해 가장 확고한 근거를 가진 치료 방법이다. 저자는 노출의 이론적 근거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정서처리이론보다 최근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억제학습이론을 강조한다. 새로운 관점을 바탕으로 노출치료의 이론과 구체적인 적용 방법, 다양한 불안과 공포에 대한 노출치료의 실례, 실제 임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노출치료에 테크놀로지의 활용, 노출치료에 수용전념치료 활용하기 등 노출치료에 관한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노출치료는 불안과 공포에 대해 가장 확고한 근거를 가진 치료 방법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노출의 이론적 근거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정서처리이론보다 최근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억제학습이론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노출치료는 위계적 노출과 습관화보다는 공포학습을 억제할 안전학습을 다양한 맥락에서 시행하여 공포에 대한 내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새로운 관점을 바탕으로 노출치료의 이론과 구체적인 적용 방법, 다양한 불안과 공포에 대한 노출치료의 실례, 실제 임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노출치료에 테크놀로지의 활용, 노출치료에 수용전념치료 활용하기 등 노출치료에 관한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진단명과 상관없이 임상에서 만나는 불안과 공포 문제에 대해 노출 방법을 조율하고 노출치료를 시행하는 기술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모든 환자는 동일한 치료 계획에 따라 시행되는 동일한 치료 기법이 필요하며 그 기법에 반응할 것이라는 가정을 뛰어넘는 노출치료를 다룬다. 환자는 노출을 통해 상황과 자극이 생각했던 만큼 위험하지 않으며 불안과 두려움 자체가 해롭지 않다는 걸 배운다. 하지만 임상과 연구 영역에서 필요한 노출치료를 제대로 알려주는 곳은 드물다. 관심이 있는 사람도 자세하게 배울 기회가 없어 몇 번 시도해 보다가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하고 점점 사용하지 않게 된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아이러니가 반복되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노출치료의 혁신을 집필하였고, 다양한 임상 불안 문제에 노출치료를 적용할 때 필요한 포괄적이고 실질적인 지침을 담았다. 이 책은 폭넓은 영역에서 임상과 연구에 밀접하게 관련된 내용을 담았다, 따라서 진료하는 임상의, 연구자, 학생들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이다
2판인 이 책은 노출치료 1판이 출간된 다음에 이루어진 개념과 실제에서의 몇 가지 중요한 발전을 반영하여 학습, 기억, 공포 소거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노출치료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노출을 보는 관점을 1판의 정서 처리 관점에서 억제 학습 관점으로 옮겼다. 억제 학습 모델은 장기적인 공포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소거 학습의 강도와 연속성을 최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1부는 노출치료의 실제에 필수적인 주제를 다루고, 2부는 임상 불안과 공포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과 자극 그리고 효과가 확립된 치료적 노출을 유형별로 다루고, 3부는 임상의들이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부수적이지만 중요한 주제를 다룬다. 이 책이 진료와 연구 현장에서 큰 힘을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나단 S. 아브레모위츠(지은이)
미국 전문심리학 이사회에서 발급한 자격증을 소지한 심리학자이다. 채플 힐에 위치 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에서 심리학과 신경과학 교수 및 정신의학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 불안과 스트레스 질환 클리닉 이사를 맡고 있다. 아브레모위츠 박사는 불안장애 연구를 주도해왔으며 250편 이상의 논문과 여러 권의 책을 발표하였다. Journal of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의 편집자이며 다른 여러 과학 학술지의 편집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행동 및 인지치료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국제 OCD 재단의 과학 및 임상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수상 경력으로는 메이오클리닉의 정신의학 및 심리학과로부터 연구 공헌 우수 교수상, 미국 심리학회 12분과로부터 임상 심리학에서의 저명한 과학 공헌에 대해 데이비드 샤코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브렛 J. 디콘(지은이)
호주 울런공시에 개원하여 진료하고 있는 임상 심리학자로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겸임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약 100편의 연구 논문과 책의 일부 장을 집필하였다. The Behavior Therapist의 편집자 및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의 부편집자를 지냈으며 수많은 과학 학술지의 편집위원회 회원이기도 하다. 디콘 박사는 불안에 대한 노출치료의 보급과 최적의 시행, 그리고 수용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와이오밍 대학으로부터 수많은 우수강의상, 연구상, 학생 멘토상을 수상하였으며, 노던 일리노이 대학교 문리학부로부터 50주년 기념 우수 동문상도 받았다. 디콘 박사는 노출치료 워크숍을 세계 곳곳에서 진행하고 있다.
스티븐 P.H. 화이트사이드(지은이)
미국전문심리학 이사회에서 발급한 자격증을 소지한 심리학자이다. 미네소타주로체스터시에 있는 메이오 클리닉의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며 소아 불안장애 프로그램 이사를 맡고 있다. 화이트사이드 박사의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소아 불안장애와 강박장애 환자들이 근거기반치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이트사이드 박사는 Journal of Anxiety Disorders의 편집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미네소타 심리학회에서 교육 및 수련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6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하였고 노출치료를 돕는 스마트폰 앱인 메이오 클리닉 불안 코치의 공동 개발자이다.
김선욱(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맥락행동과학 연구회 정회원 | 대한정서인지행동의학회 평생회원 · 근거기반 심리치료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임상 진료에서 질환을 넘어 환자의 삶과 가치에 다가가는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한다. 다른 옮긴 책으로 는 <똑똑한 인지행동치료>와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ADHD의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전유진(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맥락행동과학연구회 회원, 現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맥락행동과학 연구회(옮긴이)
인간 행동을 그 행동이 일어나는 맥락과 행동이 가지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바라보는 맥락행동심리학을 공부하고 임상에 적용하며 연구하는 정신건강전문가들의 모임이다(https://kcbs.ne.kr).

Table of Contents
ㆍ 서문 VI ㆍ 감사의 글 X ㆍ 역자 서문 XI 1부 노출치료의 기초 1장 불안에 대한 노출치료의 개요 및 역사 3 2장 노출치료의 효과 20 3장 임상 불안의 특성과 치료 34 4장 치료 계획 I : 기능 평가 56 5장 치료 계획 II : 치료참여 및 노출 목록 작성 82 6장 노출치료의 실행 11 2부 특정 유형의 공포를 위한 노출치료 7장 동물 공포 140 8장 환경 공포 157 9장 사회적 상황 172 10장 원치 않는 침습사고 190 11장 신체 단서와 건강 염려 223 12장 오염 245 13장 외상 공포 265 14장 혈액, 주사, 손상 공포 283 15장 불완전, 비대칭, ‘딱 맞지 않는’ 느낌 298 3부 노출기법 사용 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 16장 복잡한 사례의 노출치료 313 17장 소아에서의 노출치료 328 18장 중요한 사람을 치료에 참여시키기 344 19장 노출치료와 약물의 병용 360 20장 치료 후 호전된 상태 유지하기 372 21장 노출치료에 테크놀로지 활용하기 382 22장 노출치료에 수용전념치료 활용하기 391 23장 노출치료의 위험 편익 분석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