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9044 | |
005 | 20211126112509 | |
007 | ta | |
008 | 211124s2021 ulka b AJ 001c kor | |
020 | ▼a 9788972733775 ▼g 94080 | |
020 | 1 | ▼a 9788972731399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1 ▼2 23 |
085 | ▼a 791.4301 ▼2 DDCK | |
090 | ▼a 791.4301 ▼b 2021 | |
100 | 1 | ▼a 강선형 |
245 | 1 0 | ▼a 철학 극장 : ▼b 철학과 영화의 마주침 / ▼d 강선형 지음 |
260 | ▼a 서울 : ▼b 서강대학교출판부, ▼c 2021 | |
300 | ▼a x, 308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서강학술총서 ; ▼v 135 |
504 | ▼a 참고문헌(p. 292-303)과 색인수록 | |
536 | ▼a '서강학술총서'는 SK SUPEX 기금의 후원으로 제작됨 | |
830 | 0 | ▼a 서강학술총서 ; ▼v 13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21 | 등록번호 51104994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5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철학자들은 때로는 한계로 작동하고 때로는 고유한 역량이 되는 영화의 근본적인 속성 들에 주목하면서 영화를 마주하고 사유해왔다. 벤야민으로부터 시작된 영화에 대한 철학자들의 사유는 여전히 유효하고 풍부한 사유의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철학자들은 때로는 한계로 작동하고 때로는 고유한 역량이 되는 영화의 근본적인 속성 들에 주목하면서 영화를 마주하고 사유해왔다. 우리는 이를 통해 뒤늦게 태어난 예술 로서의 영화는 이미 다른 예술들은 극복했다고 여겨지기도 하는 대중성이나 어떤 산업 으로서의 한계를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 스스로 그 자신의 경계를 넘 어서면서 새로운 사유로 나아가고 있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여전히 여러 철학자들이 지적한 위험성들과 가능성들 사이에서 그 자신을 예술로서 증명하고 있는 영화를 보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벤야민으로부터 시작된 영화에 대한 철학자들의 사유는 여전히 유효하고 풍부한 사유의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_ 「철학자들의 영화와의 마주침」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선형(지은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들뢰즈 철학에서 시간의 종합과 영화>로 석사 학위를, <들뢰즈와 칸트: 들뢰즈 철학의 형성에서 칸트 삼비판서의 역할>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국민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프랑스철학회 총무이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출판간사로 활동하고 있다. 제40회 영평상에서 신인평론상을 받았다. 논문으로는 <칸트와 들뢰즈에서 자아의 동일성 문제>, <랑시에르의 시간과 영화, 그리고 정치>, <아감벤의 잠재성과 무위>, <영화의 사운드와 자유간접적 역량>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자아의 초월성≫(공역), ≪니체, 버스킹을 하다≫, ≪철학극장: 철학과 영화의 마주침≫등이 있다.

목차
제1장 왜 영화인가: 이미지로 말한다는 것의 새로움 제2장 우리 시대의 예술작품, 영화 1. 벤야민과 영화 2. 아우라(Aura)와 영화 3. 다다이즘과 영화 30 4. 예술의 정치화, 벤야민과 채플린 제3장 사르트르, 영화의 운동성 1. 사르트르와 소설, 연극, 그리고 영화 2. 사르트르와 「영화를 위한 옹호」 3. 영화와 앙가주망(engagement) 제4장 메를로-퐁티와 영화의 지각 1. 지각이란 무엇인가 2. 영화가 지각에 대해 알려주는 것 3. 영화는 사유되는 것이 아니라 지각되는 것이다 4. 철학과 영화 제5장 리오타르의 반(反)영화 1. 영화와 반영화 2. 반영화와 새로운 예술 3. 부동성과 운동성의 초과 4. 장면 ‘밖’ 배치(mise ‘hors’ sc?ne) 제6장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1. 창조로서의 철학과 영화 2. 운동으로서의 영화 이미지 3.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 4. 영화의 ‘거짓의 역량’ 5. 들뢰즈와 ‘소수영화 제7장 영화, 유령의 예술 1. 유령 춤 2. 유령론과 영화 3. 타자론과 영화 4. 다른 곳에서, 데리다(D’ailleurs, Derrida) 제8장 바디우와 비미학으로서의 영화 1. 예술과 진리 2. ‘거짓 운동’으로서의 영화 3. 영화와 정화(淨化) 제9장 랑시에르의 시간과 영화, 그리고 정치 1. 잘못 셈해진 부분들의 몫 2. 감각적인 것의 나눔(partage du sensible) 3. 미학과 정치 4. 시간과 영화, 그리고 정치 제10장 아감벤과 영화의 몸짓 1. 몸짓에 관하여 2. 조에와 비오스, 그리고 예외상태에서의 주권권력 3. 영화의 몸짓과 정치 4. 목적없는 수단으로서의 영화 제11장 철학자들의 영화와의 마주침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