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치료사를 위한) 언어학개론 / 제2판

(언어치료사를 위한) 언어학개론 / 제2판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희란, 1969- 이경재, 1972-, 저 오소정, 吳邵定, 1974-, 저
Title Statement
(언어치료사를 위한) 언어학개론 / 이희란, 이경재, 오소정 지음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에이스북,   2021  
Physical Medium
244 p. : 삽화 ; 24 cm
ISBN
979119596699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35-242)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8933
005 20230808140101
007 ta
008 211124s2021 ggka b 001c kor
020 ▼a 9791195966998 ▼g 93370
035 ▼a (KERIS)BIB000015983347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410 ▼2 23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2021z5
100 1 ▼a 이희란, ▼d 1969- ▼0 AUTH(211009)33285
245 2 0 ▼a (언어치료사를 위한) 언어학개론 / ▼d 이희란, ▼e 이경재, ▼e 오소정 지음
250 ▼a 제2판
260 ▼a 고양 : ▼b 에이스북, ▼c 2021
300 ▼a 244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235-242)과 색인수록
700 1 ▼a 이경재, ▼d 1972-, ▼e▼0 AUTH(211009)112878
700 1 ▼a 오소정, ▼g 吳邵定, ▼d 1974-, ▼e▼0 AUTH(211009)154358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2021z5 Accession No. 1118585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2021z5 Accession No. 1118686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2021z5 Accession No. 5110498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언어병리학 전공자들에게 요구되는 언어학의 기본 개념, 한국어에 대한 기초 지식, 그리고 한국어의 분석과 평가에 필요한 한국어 문법의 요소에 이르기까지를 비교적 심도 있게 다루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음운론과 음성학, 통사론, 형태론, 의미론, 화용론에 걸친 언어의 각 구성 요소별 특징과 세부 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개관하였다. 특히, 형태론과 통사론에서는 한국어에서 자세하게 다뤄져야 할 많은 문법 특징들을 포함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언어발달 이론과 더불어 발달 과정과 이정표를 언어습득이라는 장에서 다루었다. 뇌와 언어에서는 최근까지 뇌 과학에서 정리된 언어 관련 학문적 요소들을 개관하고 소개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자와 문해라는 장을 추가하여 읽기와 쓰기에 관련한 언어학적 개념들을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언어치료사를 위한 언어학개론』을 펴낸 다음, 의외로 많은 학생과 언어치료사들이 이 책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감사한 마음도 들었지만 내용에 부족함은 없었는지 걱정도 되었다. 독자들 가운데에는 제2판이 나오게 된다면 참고하길 바라며 관심과 애정이 담긴 수정 제안을 보내주시는 분도 있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리고 싶다.
우리 저자들은 대학에서 각자 심리학, 언어학, 국어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대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전공했으며, 그 배경으로 교육 현장에서 언어학개론 교과목을 담당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는 우리 세 사람이 이 책을 공동집필하게 된 첫 번째 계기였다. 저자들은 강의를 진행하면서 교과서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무엇보다 인문학자들이 집필한 언어학개론 교과서들은 언어치료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서는 너무 깊이 있고 이해하기가 어려웠고, 번역서들은 영어 문법에 대한 설명이 책의 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게다가 한국어 문법은 언어치료사가 반드시 익혀야 하며, 한 학기 이상을 다루어야 하는 분야임에도 전공과목들에 밀려 오히려 비중 있게 다뤄지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 책에서는 언어병리학 전공자들에게 요구되는 언어학의 기본 개념, 한국어에 대한 기초 지식, 그리고 한국어의 분석과 평가에 필요한 한국어 문법의 요소에 이르기까지를 비교적 심도 있게 다루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음운론과 음성학, 통사론, 형태론, 의미론, 화용론에 걸친 언어의 각 구성 요소별 특징과 세부 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개관하였다. 특히, 형태론과 통사론에서는 한국어에서 자세하게 다뤄져야 할 많은 문법 특징들을 포함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언어발달 이론과 더불어 발달 과정과 이정표를 언어습득이라는 장에서 다루었다. 뇌와 언어에서는 최근까지 뇌 과학에서 정리된 언어 관련 학문적 요소들을 개관하고 소개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자와 문해라는 장을 추가하여 읽기와 쓰기에 관련한 언어학적 개념들을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밖에도 언어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언어분석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의사소통장애와의 연결을 도울 수 있는 장을 제공하였다.
제2판에서는 학습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목표와 더불어, 각 장을 마무리하면서 연습문제를 제시하였으므로 해당 장에서 익힌 언어학의 다양한 개념과 주제들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그 동안 대학에서 강의해 온 저자들의 강의 노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이다. 따라서, 언어학과 한국어 문법 전문가들의 입장에서는 일부 학문적 불일치가
예상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앞으로 언어치료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학생들과, 임
상 현장에서 대상자들에게 좀 더 질 높은 언어치료를 제공하려 노력하는 언어치료사들에게는 작게나마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5
제2장 음성학 27
제3장 음운론 47
제4장 형태론 69
제5장 통사론 83
제6장 의미론 103
제7장 화용론 117
제8장 언어습득 133
제9장 문자와 문해 153
제10장 비언어적 의사소통 163
제11장 언어분석과 언어연구 177
제12장 뇌와 언어 193
제13장 언어학과 의사소통장애 207
용어 정리 217
참고문헌 235
찾아보기 24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