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8905 | |
005 | 20211124180746 | |
007 | ta | |
008 | 211124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4477328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5984073 | |
040 | ▼a 247017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5.83 ▼2 23 |
085 | ▼a 335.83 ▼2 DDCK | |
090 | ▼a 335.83 ▼b 2021 | |
100 | 1 | ▼a 황보윤식, ▼g 皇甫允植 ▼0 AUTH(211009)20313 |
245 | 1 0 | ▼a 신채호의 민족주의와 역사철학적 인식 / ▼d 황보윤식 지음 |
260 | ▼a 서울 : ▼b 동연, ▼c 2021 | |
300 | ▼a 364 p. ; ▼c 23 cm | |
490 | 1 0 | ▼a 함석헌평화연구소 시리즈 ; ▼v 5 |
504 | ▼a 참고문헌(p. [345]-351)과 색인수록 | |
600 | 1 4 | ▼a 신채호, ▼g 申采浩, ▼d 1880-1936 |
830 | 0 | ▼a 함석헌평화연구소 시리즈 ; ▼v 5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83 2021 | Accession No. 5110498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황보윤식(지은이)
문학박사 한신대 연구교수를 거쳐 인하대 강단에 있었다. 학생시절부터 민족/통일운동을 하였다. 동시에 사회개혁에도 관심을 갖고 생명운동을 하였다. 나이 60을 넘기자 바람으로, 도시생활을 과감히 접고 그 동안 펴왔던 생명운동을 실천하기 위하여 소백산 산간에 들어와농업에 종사하면서 글방을 열고 있다. 그리고 실천활동으로, “국가보안법폐지를위한시민모임”, “함석헌학회”, “함석헌평화포럼”, “함석헌평화연구소”, “민본주의실천연합”에도 관여를 하고 있다. 글로는 전공논문 외에, 《길을 묻다, 간디와 함석헌》, 《씨알의 희망과 분노》, 《생각과 실천》 1, 2등 다수의 글이 있다. 취래원농사는 연고주의와 지역주의를 반대하여 관계 내용을 적지 않았다.

Table of Contents
추천사 自 序 말들임: 신채호 고난의 역사[歷史] 1장_ 신채호, 고난의 역사를 살다 1. 신채호의 망명 전 삶살이 2. 1910년대 신채호의 망명 삶살이 3. 조선사/조선상고사를 쓰다 4. 이승만과 대립하다 5. 1920년대와 이후 신채호의 삶살이 6. 신채호, 「조선혁명선언」을 쓰다 7. 「용과 용의 대격전」을 쓰다 8. 아나키스트로서 최후의 삶 2장_ 1900년대 사회진화론적 민족주의 1. 1900년대 국내 · 외 역사 상황 2. 1900년대 신채호의 저항 민족주의 3. 1900년대 신채호의 역사철학적 인식: 영웅 사관 3장_ 1910년대 민본주의론적 민족주의 1. 1910년대 국내 · 외 역사 상황 2. 신채호의 민본주의적 민족주의 3. 1910년대 신채호의 역사철학적 인식 4장_ 1920~1930년대 민족주의적 아나키즘 1. 1920년대 이후 국내 · 외 역사 상황 2. 아나키즘의 일반성과 수용 3. 신채호식 민족 아나키즘 4. 신채호의 1920년대 이후 역사철학적 인식 나감말_ 신채호의 선비 사상 별첨 1. 「天鼓」 창간사(1921. 1.) 2. 「조선혁명선언」(「의열단선언」, 1923) 3. 조선상고사 총론: 역사란 무엇인가(1924) 4. 재중국조선무정부의자연맹 「북경회의 선언」(1928. 4.) 5. 국가 폭력: 고문의 양태 신채호 삶살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