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8401 | |
005 | 20211119174516 | |
007 | ta | |
008 | 211119s2021 ulk 000c kor | |
020 | ▼a 9791191503333 ▼g 03350 | |
035 | ▼a (KERIS)REQ0000545874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 ▼2 23 |
085 | ▼a 327.53 ▼2 DDCK | |
090 | ▼a 327.53 ▼b 2021z8 | |
245 | 0 0 | ▼a 미·중 경쟁시대와 한국의 대응 : ▼b 국격있는 외교안보전략 / ▼d 진창수 [외] |
260 | ▼a 서울 : ▼b 윤성사, ▼c 2021 | |
300 | ▼a 185 p.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조윤영, 강준영, 공유식, 김민석, 박원곤, 박홍도, 이상준, 차두현, 홍석훈 | |
700 | 1 | ▼a 진창수, ▼g 陳昌洙, ▼d 1961-, ▼e 저 ▼0 AUTH(211009)107955 |
700 | 1 | ▼a 조윤영, ▼g 曺允榮, ▼d 1964-, ▼e 저 ▼0 AUTH(211009)123510 |
700 | 1 | ▼a 강준영, ▼g 康埈榮, ▼d 1962-, ▼e 저 ▼0 AUTH(211009)136335 |
700 | 1 | ▼a 공유식, ▼g 孔裕植, ▼d 1968-, ▼e 저 ▼0 AUTH(211009)110329 |
700 | 1 | ▼a 김민석, ▼e 저 |
700 | 1 | ▼a 박원곤, ▼d 1968-, ▼e 저 ▼0 AUTH(211009)125797 |
700 | 1 | ▼a 박홍도, ▼e 저 |
700 | 1 | ▼a 이상준, ▼g 李尙俊, ▼d 1965-, ▼e 저 ▼0 AUTH(211009)93421 |
700 | 1 | ▼a 차두현, ▼g 車斗鉉, ▼d 1962-, ▼e 저 ▼0 AUTH(211009)39167 |
700 | 1 | ▼a 홍석훈, ▼g 洪碩焄, ▼d 1972-, ▼e 저 ▼0 AUTH(211009)18597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 2021z8 | 등록번호 1118550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 2021z8 | 등록번호 5110497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진창수(지은이)
일본 도쿄대학교 정치학 박사. 세종연구소 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일본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경제와 정치이며, 저서로는 『일본의 정치경제: 연속과 단절』, 『한국 일본학의 현황과 과제』, 『일본 정치경제의 효율성과 경쟁력 제고』, 『1990년대 구조불황과 일본 정치경제시스템의 변화』, 『일본 민주당 정권의 탄생과 붕괴: 대내외정책 분석을 중심으로(공저)』, 『일본 국내 정치가 한일관계에 미친 영향: 민주당 정권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공유식(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대만국립정치대학교 동아연구소에서 중국정치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 “미중경쟁시대와 한국의 대응”, “세계사속의 러시아 혁명”, “從一所看學科:政大東亞所與台灣的中國大陸.究,” 역서로는 “우화로 배우는 중국경제, 대만의 대학교육” 등이 있다. E-mail: kongfuzi@hufs.ac.kr
강준영(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정치대학 동아연구소에서 중국정치경제학을 전공해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연구센터장이며 한중사회과학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였고 해군발전자문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중국 및 국제관계 시사평론가로 활동중이며,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중국의 정체성』, 『판도라의 상자 중국』등 20여권의 저역서와 약 110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E-mail: jykang@hufs.ac.kr
홍석훈(지은이)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2013년 정치학 박사를 취득한 홍석훈은 현재 국립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에 재직하며 북한정치, 국제정치, 한미· 북미관계, 통일·대북정책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과 기획조정실장,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창원대 미래융합연구소 미래시대준비통일센터장,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한국동북아학회 총무이사 등을 수임하고 있다. 최근 수행한 주요 연구로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박영사, 2022), ‘지속 가능한 대북정책을 위한 남남갈등 쟁점 분석(JNKS, 2022),’ ‘North Korea’s Transition of it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18)’ 등이 있다.
차두현(지은이)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근무했고, 청와대 위기정보상황팀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국방연구원에서 23년간 근무 후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으로 자리를 옮겨 교류협력 이사를 지냈다. 통일연구원 초청연구위원,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한반도 2022』, 『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민주주의와 리더십 이야기』(이상 공저)가 있다.
박원곤(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박사 2022, “Kim Jong Un’s Policy Direction or “Line”: Heading for Radicalization” 2022, “연속된 ‘균형’(balancing): 김정은 시기 대미전략 10년” 2021, “미국의 대중정책과 바이든의 등장: 연속과 변화의 이중 교합” 2021, “쿼바디스(Quo Vadis) 아메리카: 미국의 쇠퇴와 바이든의 등장”
조윤영(지은이)
미국 아메리칸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AU, SIS) 국제정치학 박사 現)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前) 스웨덴 국제평화연구소(SIPRI) 방문학자, 외교부/통일부 정책자문위원
김민석(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現) 중앙일보 논설위원 前) 국방부 대변인, 한국국방연구원(KIDA) 선임연구원
박홍도(지은이)
경남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現) 한국외대 국제지역연구센터 초빙연구원,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 前) 청와대 안보정책실 행정관
이상준(지은이)
러시아 IMEMO 경제학 박사 現)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 前) 한국 슬라브·유라시아 학회장

목차
제Ⅰ부 미ㆍ중 충돌과 동아시아 미ㆍ중 전략 경쟁과 한국의 선택 박원곤19 Ⅰ. 미ㆍ중 갈등에 대한 이해 p.19 Ⅱ. 미국의 ‘더 나은 세계 재건’ 대(對) 중국의 ‘일대일로’ p.26 Ⅲ. 미ㆍ중 관계 전망과 한국의 선택 p.28 미ㆍ중 충돌과 동아시아 해양안보 김민석31 Ⅰ. 중국의 해양굴기 실상 p.31 Ⅱ. 미국의 아태전략과 군사력 전개 동향 p.36 Ⅲ. 해양안보 강화를 위한 제언 p.45 미ㆍ중 충돌과 양안 관계 공유식48 Ⅰ. 양안 관계의 변화 p.48 Ⅱ. 미국의 대만 정책 변화: 전략적 모호성에서 전략적 명확성으로 p.50 Ⅲ. 중국의 대만에 대한 압박: 강온 양동작전 p.51 Ⅳ. 대만의 딜레마: 미국에 올인? 헤지? p.54 Ⅴ. 양안 관계의 전망과 한반도 관계에 대한 시사점 p.56 인권: 미ㆍ중 충돌의 새로운 전장 차두현59 Ⅰ. 현황 p.59 Ⅱ. 더욱 뜨거워질 인권 논쟁 p.60 Ⅲ. ‘인권 외교’와 ‘글로벌 코리아’ 딜레마 p.65 제Ⅱ부 한국의 외교안보전략: 현상과 제언 미ㆍ중 전략 경쟁 속의 한ㆍ미 동맹 차두현69 Ⅰ. 한ㆍ미 동맹, 표정 관리 속의 ‘회색 코뿔소’ p.69 Ⅱ. 한ㆍ미 정상회담과 일시적 봉합 p.73 Ⅲ. 오히려 더욱 뚜렷해진 숙제 p.74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한ㆍ미의 동상이몽 박원곤80 Ⅰ. 문재인 정부의 전작권 전환 추진 현황 p.80 Ⅱ. 전작권 전환시 고려해야 할 사안 p.81 Ⅲ. 제언: 한국의 선택 p.84 한ㆍ중 관계, 정상적 관계를 위한 인식의 전환 강준영86 Ⅰ. 한ㆍ중 관계, 무엇이 문제인가? p.86 Ⅱ. 한ㆍ중 관계의 다층 구조 p.88 Ⅲ. 한ㆍ중 관계의 정상화를 위한 인식의 전환 p.91 Ⅳ. 우리가 해야 할 일들 p.93 중국의 역사ㆍ문화 빼앗기, 신동북공정인가? 강준영97 Ⅰ. 중국의 역사ㆍ문화 찬탈, 무엇이 문제인가? p.97 Ⅱ. 신(新)중화주의 문명사관의 대두인가? p.99 Ⅲ. 중국의 역사ㆍ문화 찬탈 의도는? p.101 Ⅳ.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p.103 한ㆍ일 관계: 과거사는 관리, 이익은 확대, 전략은 공유해야 진창수105 Ⅰ. 한ㆍ일 관계의 현주소 p.106 Ⅱ. 문재인 정부의 대일 정책 문제점 p.107 Ⅲ. 한ㆍ일 관계는 내셔널리즘, 포퓰리즘의 악순환 p.109 Ⅳ. 한ㆍ일 관계의 변화 요인 p.112 Ⅴ. 대일 정책의 방향 p.113 한ㆍ일 간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갈등 진창수116 Ⅰ. 지소미아의 의의와 한계 p.116 Ⅱ. 한ㆍ일 간 지소미아 갈등과 협력의 필요성 p.117 한ㆍ러 관계의 현황과 전망 이상준121 Ⅰ. 한국의 대러 정책 현황과 문제점 p.121 Ⅱ.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 p.128 Ⅲ. 대러 외교전략 및 정책 방향 p.132 북극 개발 참여 방법의 모색 이상준135 Ⅰ. 북극권의 중요성 p.135 Ⅱ. 북극 개발의 핵심 국가 러시아 p.137 Ⅲ. 북극 개발 참여를 위한 제언 p.139 새로운 남북한 관계: 한반도 안보ㆍ평화 균형전략 조윤영142 Ⅰ. 한반도 정세의 지속과 변화 p.142 Ⅱ. 남북한 관계의 진단 p.147 Ⅲ. 한반도 안보ㆍ평화의 균형을 위한 정책 구상 p.154 북한 핵 프로그램 전개와 전략적 해결 방안 모색 홍석훈159 Ⅰ. 북한 핵 개발의 배경과 현황 p.159 Ⅱ. 북한 핵협상 패턴과 특징 p.164 Ⅲ. 북핵 폐기를 위한 전략적 접근법 p.167 외교안보정책 수행 체계: 전문성ㆍ자율성 강화로 리더십 리스크 최소화 박홍도169 Ⅰ. ‘유능한 선장’이 보이지 않는 외교안보정책 p.169 Ⅱ. 과도한 정치화와 국민의 관심 저하로 활력을 잃어가는 외교안보 조직 p.173 Ⅲ. 한국 외교의 정상화를 위한 체계 및 운영상의 우선 과제 p.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