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서기재, 徐己才, 1971-
서명 / 저자사항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 서기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앨피,   2021  
형태사항
270 p. : 삽화 ; 22 cm
총서사항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 ;009
ISBN
979119090160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65-27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8384
005 20211119160534
007 ta
008 211119s2021 ulka b 000c kor
020 ▼a 9791190901604 ▼g 94300
035 ▼a (KERIS)BIB000015980521
040 ▼a 247017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03 ▼2 23
085 ▼a 953.06 ▼2 DDCK
090 ▼a 953.06 ▼b 2021z10
100 1 ▼a 서기재, ▼g 徐己才, ▼d 1971- ▼0 AUTH(211009)106286
245 1 0 ▼a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 ▼d 서기재 지음
260 ▼a 서울 : ▼b 앨피, ▼c 2021
300 ▼a 270 p. : ▼b 삽화 ; ▼c 22 cm
490 1 0 ▼a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 ; ▼v 009
504 ▼a 참고문헌: p. 265-270
830 0 ▼a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 ; ▼v 009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6 2021z10 등록번호 1118549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관광조선》은 1939년 6월부터 1944년 12월까지(1940년 12월 《문화조선文化朝鮮》으로 개칭) 발행된 잡지이다. 《관광조선》은 박물적인 형태의 문화재 소개나 스테레오타입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추상적이고 정형화된 조선의 모습을 담았던 기존의 조선 관광안내서와 달리, 최대한 고유하고 독특한 정보를 전달하고 잡지의 읽는‘즐거움’을 유발함으로써 새로운 ‘조선성朝鮮性’을 보여 주고자 노력했다.

《관광조선》의 창간 배경, 잡지에서 사용된 다채로운 편집과 구성, 책에 수록된 만화와 조선인 문학의 특징, 식민지 문화 전시장으로서 소개하기 위해 내세운 ‘조선 여성’과 ‘도시 경성’의 의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조선’이라는 공간을 향유했던 사람들의 삶의 단면을 들여다보는 계기를 제공한다.

근대 관광잡지《관광조선》이 담은 새로운 ‘조선성朝鮮性’
《관광조선観光朝鮮》은 1939년 6월부터 1944년 12월까지(1940년 12월 《문화조선文化朝鮮》으로 개칭) 발행된 잡지이다. 《관광조선》은 박물적인 형태의 문화재 소개나 스테레오타입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추상적이고 정형화된 조선의 모습을 담았던 기존의 조선 관광안내서와 달리, 최대한 고유하고 독특한 정보를 전달하고 잡지의 읽는 ‘즐거움’을 유발함으로써 새로운 ‘조선성朝鮮性’을 보여 주고자 노력했다.
이 책은 《관광조선》의 창간 배경, 잡지에서 사용된 다채로운 편집과 구성, 책에 수록된 만화와 조선인 문학의 특징, 식민지 문화 전시장으로서 소개하기 위해 내세운 ‘조선 여성’과 ‘도시 경성’의 의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조선’이라는 공간을 향유했던 사람들의 삶의 단면을 들여다보는 계기를 제공한다.

조국 혹은 고향을 갈망하는 사람들의 자기표현의 장
《관광조선》의 발행 주체는 ‘일본여행협회 조선지부’, 곧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들이었다. 당시 조선은 식민지 통치가 수십 년에 이르면서 재조일본인이 70만 명이 넘고, 독립국가 조선을 경험하지 못한 조선인 세대가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었다. 조선에 거주하는 재조일본인들은 ‘동아東亜’라는 이름 하에 묻혀 버릴 수도 있는 ‘조선朝鮮’을 열도일본에 다시 한 번 각인시키고자 했다. 열도일본인의 반도에 대한 무관심은 곧 반도에 있는 일본인에 대한 무관심과 같은 의미였기 때문이다. 《관광조선》의 편집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안타까움을 드러내며 반도를 대륙과 차별화하고 ‘잠재력’, ‘특수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한반도가 특별한 장소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이 사실을 열도의 일본 대중이 알아야 한다고 설파했다. 이에 따라《관광조선》은 읽는 ‘즐거움’을 유발함과 동시에 최대한 고유하고 독특한 정보를 전달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기대와 희망에 가득 찬 시선으로 조선에서 삶을 영위하는 개인들에 주목하였다.
곧 《관광조선》에는 제국주의 정책 실현이라는 우산 아래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재조일본인과 이들의 2, 3세, 그리고 일부 조선인들의 삶과 바람이 농축되어 있다. 일제 말기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서 ‘조국(고향)을 상실한 사람들’의 자기표현의 장이 되었던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서기재(지은이)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여행, 전쟁아동문학, 의학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시대와 인물상을 탐구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 여행에 떠도는 제국》, 《시카타 신과 전쟁아동문학》, 《근대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매매춘과 일본문학》, 《암야행로》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_ 근대 관광잡지 《관광조선》의 탄생

제1장 근대 관광잡지의 대중을 향한 메시지

관광잡지의 창간
관광잡지의 대중화 전략
예술과 관광의 접목

제2장 ‘부負’의 이미지 탈피
조선의 ‘미美’ 발견
다채로운 잡지 구성
편찬 주체의 내적 동기

제3장 만화로 보는 ‘조선’
관광 잡지의 만화
《관광조선》의 만화
《문화조선》의 만화

제4장 관광잡지의 조선인 문학
1930년대 말 조선문학
《관광조선》의 조선문학과 김사량
<산의 신들>과 <거지의 무덤>

제5장 반도와 열도의 일본인, 이들의 거리
재조일본인과 열도일본인의 조선 인식의 거리
《관광조선》의 일본인 소설
조선이라는 공간을 품은 일본인들

제6장 식민지 문화 전시의 장場
조선 여행의 특화
여성을 앞세운 《관광조선》의 전략
‘경성인’의 공간으로서 경성

제7장 ‘환기喚起’된 조선·조선인
유사類似일본인에 대한 두려움
조선≒일본으로의 환기
‘자기 찾기’를 위한 방법으로서
조선인≒외국인

제8장 여행지로서 ‘평양’과 ‘평양인’
여행안내서의 ‘평양’
《문화조선》과 ‘평양인’
‘평양’과 ‘평양인’을 다룬 문학

제9장 경계를 넘나드는 ‘조선’
시류를 반영한 대중잡지
잡지를 횡단하는 사람들
잡지를 횡단하는 조선 여성 이미지

제10장 조선’을 향한 서로 다른 욕망
《관광조선》의 욕망
《모던일본 조선판》의 추구
이향에서 떠도는 이방인들

종장 ‘조선’이라는 공간 인식

자료 _ 《관광조선》, 《문화조선》 출간 목록과 총목차
참고문헌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
三品彰英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