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봉석, 저 장성민, 저 정민수, 저 신동로, 申東魯, 1946-,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 장봉석 [외]공저
발행사항
파주 :   형설출판사,   2020  
형태사항
259 p. : 삽화 ; 24 cm
ISBN
9788947285148
일반주기
공저자: 장성민, 정민수, 신동로  
서지주기
참고문헌(p. 243-252)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5607
005 20211012153228
007 ta
008 211012s2020 ggka b 001c kor
020 ▼a 9788947285148 ▼g 93370
035 ▼a (KERIS)BIB000015685405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20z11
245 0 0 ▼a 교육과정 / ▼d 장봉석 [외]공저
260 ▼a 파주 : ▼b 형설출판사, ▼c 2020
300 ▼a 259 p. : ▼b 삽화 ; ▼c 24 cm
500 ▼a 공저자: 장성민, 정민수, 신동로
504 ▼a 참고문헌(p. 243-252)과 색인수록
700 1 ▼a 장봉석, ▼e
700 1 ▼a 장성민, ▼e
700 1 ▼a 정민수, ▼e
700 1 ▼a 신동로, ▼g 申東魯, ▼d 1946-, ▼e▼0 AUTH(211009)18750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20z11 등록번호 1118538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총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부분에서 교육과정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한 차시의 학습의 양을 고려하였다. 즉 2장과 3장은 각 3주, 4장은 2주, 나머지 장은 1주에 교수-학습할 내용의 분량으로 구성되어 한 학기 수업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간을 빼고 13주간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여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머리말

형식적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학교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바르게 적용해야 한다. 이때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학생에게 있어 의미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학생에게 의미 있는 교육과정이란 어떤 것일까? 쉽게 답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유는 학교교육에서 동일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이 계획·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학교현장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최선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연구하고 수정· 보완하며 나아가야 한다. 이는 학교 구성원들의 노력여하에 따라 교육과정의 질이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고 교사수준의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구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지역수준과 학교수준 그리고 교사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제부분으로 어떻게 재구성되어 가는지 교육현장의 적용가능성을 충족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수준이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편성·운영에 대한 자율권이 강화되고 있는 현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서는 총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부분에서 교육과정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한 차시의 학습의 양을 고려하였다. 즉 2장과 3장은 각 3주, 4장은 2주, 나머지 장은 1주에 교수-학습할 내용의 분량으로 구성되어 한 학기 수업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간을 빼고 13주간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여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각 장의 세부내용으로 1장에서는 교육과정의 정의와 교육과정과 교수가 과연 학문으로 정립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그동안 교육자의 관심을 끌어왔던 여섯 가지의 교육철학, 교육과정의 심리적 기초, 사회문화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의 실제적인 유형과 교육과정의 내용조직에 따른 유형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개발모형, 개발수준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형식적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과정 계획에서 제일 먼저 필요한 요소인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에 관련하여 정리하였다. 6장에서는 설정된 교육목표를 성취시키기 위해 학습자에게 경험시킬 교육내용이 선정되고 조직되는 원리를 다루었다. 7장에서는 기본적인 네 가지 교수방법(제시, 연습, 발견, 강화방법)을 살펴보았다. 9장에서는 교육과정 평가와 학교교육에서의 평가와 유형을 정민수 박사의 집필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각 단원의 내용을 통해 국가, 지역, 학교, 교사 등에 따라 계획되고 운영되는 교육과정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예비교사에게 유익한 과목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며 학교 단위에서 교사 자신의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분야에서 스스로 전문성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20년 6월 28일 저자 일동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동로(지은이)

사범대학 은퇴교수이자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전문가입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The University of Kansas, Curtesy Professor,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전북대학교 입학관리실장을 역임했습니다.

장봉석(지은이)

국립목포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근무하며, 교육과정 분야에 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성민(지은이)

대학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를 중심으로 강의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이론과 교육현장에서의 실천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정민수(지은이)

<수업코칭> 전문가입니다. 현재 전주양현초등학교 수석교사입니다. 1999년부터 수업도시락 엠디랑(www. mdrang.net)을 운영하면서 교육자료 나눔을 지금까지 실천하고 있으며, 가르침과 배움의 연결고리에 대한 교사들의 수업고민을 교실 현장에서 함께 나누고 있습니다. 전주교육대학교에서 예비교사들과 대학원생들에게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공학 등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서울을 비롯하여 인천, 대전, 울산, 대구, 광주,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에서 전국의 선생님들을 만나고, 수업성장을 돕는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정민수 선생님은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형 수업분석과 수업비평이 담긴 <성찰협력형 수업연구> 모델을 완성하였습니다. 지금은 엠디랑 <수업성숙도> 검사를 통해 교사들의 수업상처와 수업스트레스를 아우르고, 수업역량을 강화하는 <성찰협력수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석교사로 활동하며 <수업성숙도>를 활용한 수업코칭 방법과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습 성숙도에 따른 자녀교육, 부모와 아이의 행복교육, 자기주도적 학습코칭, 부모가 길러주는 창의성 등 수업성찰과 협력교육을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20년 이상의 초등학교 교사 경험과 전국 최연소 수석교사의 경험을 담아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고, 교사들의 수업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정민수 선생님은 『수업도시락, 성찰과 협력을 담다』, 『수업성숙도, 교사의 강점을 담다』, 『교육평가 콘서트, 배움을 디자인하다』, 『나는 선생님이 처음입니다』(공저) 등을 출간하였습니다. 이 책을 통해 서로 성찰하고 협력하여 ‘행복한’ 수업 성장을 꿈꾸는 대한민국의 모든 선생님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민수 브랜드>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도서 내용 및 강연 문의│ esfms@naver.com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제1절 교육과정의 어원 및 의미 / 8
제2절 교육과정의 개념체계 / 11
1. 교육과 형식적 교육 및 비형식적 교육 / 11
2. 형식적 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수 /13
3. 교육과정과 교수 및 학습과의 관계 / 15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
제1절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 24
1. 교육과정과 교육철학 / 24
2. 항존주의 / 26
3. 진보주의 / 27
4. 재건주의 / 29
5. 본질주의 / 31
6. 실존주의 / 34
7. 구성주의 / 35
제2절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 40
1. 교육과정과 교육심리학 / 40
2. 성숙주의 / 42
3. 행동주의 / 42
4. 인지주의 / 43
제3절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초 / 45
1. 교육과정의 사회ㆍ문화적 접근 / 45
2. 현대사회의 특징과 교육과정 / 47

제3장 교육과정의 유형
제1절 교육과정의 실질적 유형 / 54
1. 공식적 교육과정 / 54
2. 실제적 교육과정 / 55
3. 잠재적 교육과정 / 56
4. 영 교육과정 / 58
제2절 교육과정의 내용조직에 따른 유형 / 60
1. 파이데이아 교육과정 / 60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64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66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70
5. 구성주의 교육과정 / 77

제4장 교육과정의 개발
제1절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82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82
2.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 83
3.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 / 89
제2절 교육과정 개발모형 / 91
1. Tyler의 합리적 모형(고전적 모형) / 91
2. Walker의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 96
3. Eisner의 예술적 접근모형 / 101
제3절 교육과정 개발수준 / 107
1. 국가수준 교육과정 / 107
2. 지역수준 교육과정 / 108
3. 학교수준 교육과정 / 109

제5장 교육목표
제1절 교육목표의 진술방법 / 122
제2절 교육목표의 진술과 분류 / 124
1. Tyler의 교육목표의 이원분류 / 124
2.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 126
3. Mager의 행동목표 / 136
4. Bloom의 수정된 교육목표분류학 / 141

제6장 교육내용
제1절 교육내용의 선정 / 152
제2절 교육내용의 조직 / 154
1. 계속성의 원리 / 154
2. 계열성의 원리 /154
3. 통합성의 원리 / 160

제7장 교수방법
제1절 교수방법의 유형 / 170
제2절 교수방법과 학습이론 / 175
1. 제시방법과 Ausubel의 유의미학습 / 175
2. 연습방법 / 184
3. 발견학습과 Bruner의 교수이론 / 187
4. 강화방법과 Skinner의 프로그램 학습 / 194

제8장 교육평가
제1절 교육과정 평가 / 214
1.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 214
2. 교육과정 평가모형 / 215
3. 교육과정 평가의 접근방법 / 217
제1절 학교교육과 평가 / 219
1. 교육평가의 의미 / 219
2. 교육평가의 새로운 동향 / 220
3. 성취기준에 의한 교육평가 / 225
제1절 교육평가의 유형 / 234
1. 해석기준 : 임의, 상대, 절대평가 / 234
2. 평가시점 : 진단, 형성, 총괄평가 / 235
3. 행동특성 : 최대능력, 전형행동평가 / 238
4. 판단형식 : 절대, 상대, 자기지향평가 / 239

관련분야 신착자료